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

제임스 아서 (지은이), 이기연, 김형렬, 김하연, 양해성, 허윤회, 정창우 (옮긴이)
교육과학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교과교육론/기타 전공
· ISBN : 9788925417400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23-02-10

책 소개

시민적 우정과 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다양한 쟁점들을 포괄하고 있는 이 책은 시민적 우정과 덕이 공적 영역에서 왜 중요하고, 진리에 대한 관심의 부족, 빈약한 리더십, 속임수와 극심한 편견의 위협으로부터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3
서문/ 제임스 오셔네시(Lord James O’shaughnessy) 6
개관/ 제임스 아서(James Arthur) 17

제1부 공적 영역에서 덕과 악덕
제1장/ 존 밀뱅크(John Milbank)
주권에 대항하는 덕 27
제2장/ 알레산드라 타네시니(Alessandra Tanesini)
공적 논쟁에서 오만함을 줄이기 77
제3장/ 조나단 제이콥스(Jonathan Jacobs)
도덕교육, 시민다움의 기술, 그리고 공적 영역에서의 덕 99
제4장/ 조니 로빈슨(Jonny Robinson)
악덕, 공공선, 개인적 비참함 121
제5장/ 캐서린 필립스(Kathryn Phillips)
인내, 절제, 그리고 정치 147

제2부 시민적 우정과 덕
제6장/ 블레인 파워스(Blaine J. Fowers)
시민적 우정을 위해 적합한 도덕 심리학이 있는가 173
제7장/ 랜달 커렌(Randall Curren)
포퓰리즘과 시민적 우정의 운명 201
제8장/ 앤드류 피터슨(Andrew Peterson)
다양성의 나라 영국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교육 -시민적 우정, 화합과 심의를 위한 역할은? 233
제9장/ 낸시 스노(Nancy E. Snow)
회복탄력성과 민주시민적 덕으로서 희망 263
제10장/ 워런 폰 에셴바흐(Warren J. von Eschenbach)
공공의 덕으로서 신뢰 293
제11장/ 마크 조나스(Mark E. Jonas)
유덕한 시민 만들기: 정치적 리더십의 역할에 대한 플라톤의 생각 325
제12장/ 메리 엘리엇 & 제프리 딜(Mary Elliot & Jeffrey S. Dill)
자기이익과 공공선에 대한 재고(再考): 미국의 홈스쿨러들 351
제13장/ 켄들 코튼 브롱크 & 레이첼 바움스타이거(Kendall Cotton Bronk & Rachel Baumsteiger)
시민적 우정 함양을 위한 방법: 목적 있는 삶 377

제3부 덕에 대한 관점들과 공적 영역: 왜 공적 이성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제14장/ 존 할데인(John Haldane)
불화에 대한 응답: 공적 이성은 왜 불충분한가 405
제15장/ 해리 존스(Harry H. Jones)
대화를 디자인하기: 공적 담론을 통한 덕의 계발 429
제16장/ 에드워드 스키델스키(Edward Skidelsky)
비르투(virtu)의 재조명 453
제17장/ 조셉 워드(Joseph Ward)
영국에서의 민주적 변화와 ‘국민 투표 효과’: 정치 참여의 선 재확인하기 473

결론/ 제임스 아서(James Arthur) 505

□ 찾아보기 … 511

저자소개

제임스 아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버밍엄 대학교의 대학 부총장 대행이자 인성과 덕을 위한 쥬빌리 센터장 및 교육 연구 학회장이다. 아서 교수는 영국의 인성교육 및 교육에서의 정책 기업가 정신 분야에서의 선도적 학자이다. 교육에서의 이론과 실천 간의 관계, 특히 공동체주의와 사회적 덕, 시민성, 종교 및 교육 간의 연결 고리들에 대해 광범위한 저술 활동을 펼쳐 왔다.
펼치기
정창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인성교육연구센터장, 국가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위원, 국회인성교육실천포럼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중학교 『도덕 1, 2』, 고등학교 『통합사회 1, 2』, 『윤리와 사상』, 『현대사회와 윤리(생활과 윤리)』 과목의 교과용 도서 개발 책임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변혁적 도덕역량 증진을 위한 도덕교육론』, 『토론의 미학』(공저),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21세기 인성교육 프레임』,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교사, 인성교육을 생각하다』(공저), 『도덕과 교육의 이론과 쟁점』, 『도덕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공저), 『윤리와 논술Ⅰ』, 『Teacher Effectiveness』(공저), 『Critical Perspectives on Values Education in Asia』(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도덕 발달과 실재』(공역),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공역), 『도덕 발달의 이론과 적용』, 『도덕철학과 도덕교육』,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도덕적 민주적 역량, 어떻게 기를 것인가』(공역), 『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공역),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공역), 『정의와 배려』(공역), 『실패하는 학교』(공역), 『다문화주의 윤리학』(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하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에서 교육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관심 분야는 도덕교육, 도덕심리학, 인성교육이다. 역서(공역)로는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 『신경과학과 교육』, 『평화교육』이 있고, 저서(공저)로는 『세계의 시민교육』, 『디지털 시민성 핸드북』이 있으며, 그밖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과서 『인문학적 상상여행』과 『인문학적 감성과 도덕적 상상력』을 집필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 측정 도구 개발」, 「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 특성의 잠재프로파일분석」, 「예비초등교사의 교직 적·인성 질적 평가도구 개발」, 「긍정심리학의 최적 발달 이론에 대한 고찰: 목적의 기능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및 대학원에서 윤리교육을 전공하였다. Fulbright Graduate Student Fellowship 수혜를 받고 미국 UCLA에서 국제 비교 교육과 시민교육을 전공하여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고교유형별 청소년 사회참여역량의 차이」, “Immigration status and adolescents’voting intention in 17 European countries: The importance of immigrant integration policy context”, “A Cross-national examination of political trust in adolescence: The effects of adolesc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country’s democratic governance” 등이 있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고교유형이 학생의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주배경 청소년의 정치 사회화에 대한 연구”, “북한 이탈 청소년의 정치 사회화에 대한 연구” 등의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를 수행해 왔다.
펼치기
이기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도덕 심리학, 덕 윤리, 인성교육 및 도덕과교육이다.
펼치기
양해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윤리교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분야는 도덕 심리학 및 도덕교육이다.
펼치기
허윤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대학원에서 「견제 민주주의의 시민교육적 함의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응용윤리, 시민 교육, 다문화 교육 등이다. 주요 연구로는 『시민성, 시민적 우정과 의무』(공역), 「넛지의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와 활용 방안」, 「공화주의적 심의와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 「회복적 정의의 비판적 검토」, 「담론윤리의 도덕과 교육에의 함의와 적용 방안」, 「도덕과에서 토의·토론 교육 방안 연구」, 「자율 개념과 도덕 교과서 내용 분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