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25545745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2-01-02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멋진 게임의 신세계_ 정지훈(명지병원 IT융합연구소 소장)
프롤로그 게임 세계를 향한 인류 대이동이 시작되다
1부. 게임, 세상을 흔들다
01 게임이로소이다
게임의 4가지 특징│게임이 주는 재미의 아이러니, 일하니 즐겁다│역경과 고난을 바라는 감정, 피에로
02 게임과 행복의 상관관계
재미와 몰입의 노동, 게임│어떤 경험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가?│능동적인 행복의 탐구자, 게이머
03 행복한 생산성의 세계, 와우WOW
진정한 재미는 500시간의 노동 후부터│끊임없이 일하게 되는 3가지 이유│그저 무언가 일어나게 하는 능력만으로도 즐겁다
04 게임에만 존재한다, 즐거운 실패
실패할수록 성공에 대한 욕망이 커진다│가능한 목표에만 집중한다│록스타로 성공할 수 있다는 아주 현실적인 희망
05 게임으로 다시 잇는 끈끈한 유대감
호의가 또 다른 호의를 부르는 선순환의 구조, 소셜 게임│조롱과 놀림이 기껍다, 행복한 수치심│사촌이 땅을 사야 배부르다, 대리 자부심│같은 게임을 하는 것만으로도 반갑다, 은근한 사교성
06 누구나 영웅이 될 수 있다
웅장한 서사가 영웅을 만든다│장엄한 환경이 영웅을 부른다│상상을 초월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2부. 게임, 현실을 혁신시키다
07 대체 현실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것
본격 가사 도움 서바이벌, 허드렛일 전쟁│세계 최초의 게임 학교, 퀘스트 투 런│심신 회복 게임, 슈퍼베터
08 현실에서의 레벨 업
빠져 나올 수 없다면 들어가자, 비행 게임│세계인과 함께 달리는 나이키 플러스│시장이 된 자가 배지를 차지한다, 포스퀘어
09 공통의 경험이 재미를 만든다
타인에서 커뮤니티로, 모일수록 즐겁다│게임하는 만큼 더 보이는 박물관 참여 게임│전화 통화로 넘는 세대 극복, 바운스
10 행복을 포위하는 군중 게임
행복에 이르는 구체적인 접근법, 행복 해킹│칭찬에 쓰러지는 게임, 친절한 암살자│관습을 뒤엎어라, 공동묘지에서의 포커 게임│잠자는 댄스의 열정을 깨워라, 탑 시크릿 댄스 오프
3부. 게임, 세상을 바꾸다
11 가상 세계를 넘어 현실 세계를 구원하다
영국의 게이머는 어떻게 국회의원들의 비리를 파헤쳤나?│전 세계가 참여하는 인류 문제│쌀 적립 게임으로 기아를 해결하다, 프리 라이스│암을 고치는 즐거움, 폴딩앳홈
12 인류의 선한 능력을 깨우다
2분 만에 슈퍼 히어로가 되는 법, 비범한 사람들│소망이 이루어지는 문자 보내기, 현장 요원│플러그를 뽑는 자 승리하게 될지어다, 잃어버린 줄
13 협력이라는 슈퍼 파워
진화하는 게임, 협업의 플랫폼│그들만의 올림픽에서 모두의 올림픽으로
14 세상을 바꾸는 게임
생존의 문제, 게임에서 답을 찾다│지구 멸망을 대비하는 초능력 조직, 슈퍼스트럭트│창의성이라는 흑진주가 아프리카를 구원하다, 이보크│천 년의 플레이 시간이 걸리는 길고도 ‘긴 게임’
에필로그 세상은 더 나아질 수 있다
감사의 말씀
부록
미주
리뷰
책속에서
현실 세계에서는 세심하게 디자인된 쾌락이나 짜릿한 도전, 강력한 결속감을 가상 세계만큼 쉬이 누릴 수가 없다. 또 가상 세계만큼 의욕이 생기지도 않는다. 현실은 우리가 가진 잠재력을 극대화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애당초 현실이 설계될 때부터 우리의 행복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그러니 게이머들의 커뮤니티에 다음과 같은 인식이 싹트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게임과 비교한다면 현실은 망가져 있다.”
게임 개발자들은 게이머들로 하여금 끈질긴 노력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나 눈물겨운 노력에 보상하는 방법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이전에는 상상도 못할 엄청난 규모의 사람들이 모여 협업하는 방법 역시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21세기의 필수적인 기술에 힘입어 우리는 세상에 지속적이고 큰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착안해낼 수 있다. 게임 디자인은 단순한 기술을 다루는 일이 아니라 21세기형 사고와 통솔 방식이다. 게임 역시 단순한 오락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변화시키는 21세기형 협력 방식이다.
오늘날 큰 성공을 거둔 컴퓨터·비디오 게임이 그토록 중독성과 자극성이 강한 이유는 바로 감정이 극도로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낙관적 열중Optimistic Engagement 상태에 들어가는 순간 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 긍정적 사고, 사회적 교류, 강점 개발이 훨씬 수월해진다. 능동적으로 심신을 조절해 행복감을 키우는 것이다. 현실에서도 똑같은 효력이 있다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