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2558953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좋은 브랜드 네임이란 무엇인가?
1장 기업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브랜드 네임
일상에서 쓰는 모든 제품에는 ‘네임’이 있다 | 잘 지은 브랜드 네임이란
2장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네이미스트
끌리는 브랜드 네임, 누가 지을까 | 잘 지은 네임 하나가 매출을 올린다 | 네이미스트가 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3장 8가지 네이밍 불변의 법칙
선도자의 법칙 | 후발자의 법칙 | 포괄성의 법칙 | 확장성의 법칙
전문성의 법칙 | 차별화의 법칙 | 보호성의 법칙 | 부정 연상 배제의 법칙
4장 브랜드 네임 개발 프로세스
회사 자체적으로 개발할 경우 | 네이밍 전문 회사에서 개발할 경우 | 글로벌 브랜드 네임을 개발할 경우
5장 1단계 : 브랜드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네임 기획
프로젝트 목표를 설정하라 | 시장을 분석하면 네이밍의 방향이 보인다 | 콘셉트를 도출해 가장 적합한 방향으로 포지셔닝하라 | 언어적 이미지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표현하라
6장 2단계 : 소비자를 끌어당기는 네임 발상
열린 자세와 객관성은 필수 요건이다 | 발상에 도움이 되는 42가지 네이밍 기법
7장 3단계 : 네임 선정과 상표등록
브랜드 네임 후보안 선정 기준은 무엇일까 | 브랜드 네임 후보안을 5점 척도로 평가하라 |
상표등록을 위한 요건을 검토하라
8장 브랜드 네임 개발 사례
신규 브랜드 네임을 통한 기대 효과 | 시장 외부 환경 분석과 자사 | 내부 환경 분석 | 브랜드 네임 개발 전략 | 브랜드 네임 표현 전략 | 후보안 및 최종안 선정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네임 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어떤 언어로 어떤 네임을 만드느냐가 아니다. 어떤 분석을 통해 어떤 전략을 도출하고 어떻게 기획하느냐가 훨씬 중요한 경우가 많다. 즉, 네이밍은 단순히 언어적 지식만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완벽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니다. 자사와 경쟁사, 소비자를 비롯한 시장 상황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력을 지녀야 하고, 브랜드 전략 및 콘셉트를 도출해낼 수 있는 기획력과 좋은 네임안을 선별할 수 있는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요즘 소비자는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를 구매하기보다는 브랜드 자체를 구입하는 브랜드 지향적 구매 행위를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소비자가 어떤 브랜드를 인식하고 그에 관해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다면 타사 제품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비자는 브랜드 지식에 근거해 제품을 판단하며 아울러 그 브랜드와 관련해 알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기대를 형성한다. 따라서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브랜드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따른 탐색 비용을 줄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