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산유고 3

고산유고 3

윤선도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산유고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산유고 3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3134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우리나라 문학사 정치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 윤선도의 문집이 아직까지 완역되지 못한 것은 내용의 난해성 때문이었다. 그래서 이 책은 평생 한문 번역에 정열을 쏟아 온 이상현 선생이 맡아 필생의 역작으로 꼽으며 1년에 한 권씩 번역하고 있다.

목차

일러두기 ·· 4

고산유고 제4권

서書 단單
이 현풍 필성 에게 답하는 글 임신년 答李玄風 必成 書 壬申 ·· 17
예조 판서에게 올리는 글 임신년 上禮曹判書書 壬申 ·· 21
서제 선하에게 부치는 답서 갑술년 寄答庶弟善下 甲戌 ·· 28
백 생원 상빈 에게 답하는 글 을해년 答白生員 尙賓 書 乙亥 ·· 34
어떤 사람에게 답하는 글 정축년 答人書 丁丑 ·· 37
이 사부 심 에게 주는 글 병술년 與李師傅 襑 書 丙戌 ·· 47
강진 성주에게 올리는 글 呈康津城主書 ·· 50
이 사부 심 에게 답하는 글 무자년 答李師傅 襑 書 戊子 ·· 53
정 판서 세규 에게 올리는 글 무자년 上鄭判書 世規 書 戊子 ·· 55
어떤 사람을 대신하여 상주 관아에 올리는 글 代人呈尙州 ·· 58
해남 성주에게 올리는 단자 무자년 呈海南城主單子 戊子 ·· 64
정 판서 세규 와 심 판서 액 에게 올리는 글 기축년
上鄭判書 世規 沈判書 詻 書 己丑 ·· 71
정 정언 세보 에게 답하는 글 기축년 答鄭正言 世輔 書 己丑 ·· 74
정 판서 세규 에게 올리는 글 기축년 上鄭判書 世規 書 己丑 ·· 76
권반금 해에게 부치는 글 경인년 寄權伴琴海書 庚寅 ·· 78
탐라백 이원진 에게 답하는 글 答耽羅伯 李元鎭 書 辛卯 ·· 80
탐라백 이원진 에게 주는 글 신묘년 與耽羅伯 李元鎭 書 辛卯 ·· 82
홍 경력 면경에게 답하는 글 계사년 答洪經歷勉卿書 癸巳 ·· 84
거산 우관 이화봉에게 주는 글 을미년 與居山郵官李華封書 乙未 ·· 86
송 좌윤 시길 에게 답하는 글의 별폭 을미년 6월
答宋左尹 時吉 書別幅 乙未六月 ·· 87
전남 아막에게 보내는 글 을미년 10월 抵全南亞幕書 乙未十月 ·· 89
전남 방백에게 올리는 글 병신년 呈全南方伯書 丙申 ·· 91
전남 방백에게 올리는 단자 병신년 呈全南方伯單 丙申 ·· 100
전남 순상에게 올리는 단자 병신년 呈全南巡相單 丙申 ·· 103
전남 순상 조계원 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10월
答全南巡相 趙啓遠 書 丙申十月 ·· 107
전남 순상에게 주는 별폭 병신년 11월 與全南巡相別幅 丙申十一月 ·· 108
족제 윤선각에게 답하는 글 정유년 答族弟尹善覺書 丁酉 ·· 113
성주에게 올리는 글 정유년 上城主書 丁酉 ·· 116
성주에게 올리는 글 정유년 8월 上城主書 丁酉八月 ·· 120
변 서천 인길 에게 답하는 글 무술년 答邊舒川 麟吉 書 戊戌 ·· 125
권 찬선 시 이 타인의 소지를 보내온 것에 답하는 글 무술년 7월
答權贊善 諰 抵他人小紙 戊戌七月 ·· 128
이 사간 무 에게 주는 글의 별폭 무술년 10월 與李司諫 袤 書別幅 戊戌十月·· 134
정 지사 세규 에게 올리는 글 무술년 11월 上鄭知事 世規 書 戊戌十一月 ·· 136
정 진사 길보의 《대학》 문목에 답하다 무술년 12월
答鄭進士吉甫大學問目 戊戌臘月 ·· 138
별지 別紙 ·· 138
정 진사 길보에게 주는 글 기해년 1월 與鄭進士吉甫書 己亥正月 ·· 144
별폭 別幅 ·· 145
정 진사 길보에게 주는 글 기해년 1월 與鄭進士吉甫書 己亥正月 ·· 148
격물과 물격에 대한 설 格物物格說 ·· 148
정 지사 세규 에게 올리는 별폭 기해년 1월 上鄭知事 世規 別幅 己亥正月 ·· 153
정 진사 길보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2월 答鄭進士吉甫書 己亥二月 ·· 156
외손 이양원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答外孫李養源書 己亥 ·· 158
외손 심주 심단 형제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答外孫沈柱檀兄弟書 己亥 ·· 159
정 진사 길보의 문목에 답하다 기해년 3월 答鄭進士吉甫問目 己亥三月 ·· 160
정 진사 길보의 별폭에 답하다 기해년 3월 答鄭進士吉甫別幅 己亥三月 ·· 161
이 해남 휴징에게 주는 짧은 편지 기해년 윤3월
與李海南休徵小牘 己亥閏三月 ·· 164
정 진사 길보에게 주는 글 기해년 윤3월 與鄭進士吉甫書 己亥閏三月 ·· 166
정길보의 별폭 문목에 답하다 기해년 4월 答鄭吉甫別幅問目 己亥四月 ·· 168
정 지사 세규 의 별폭에 답하다 기해년 4월
答鄭知事 世規 別幅 己亥四月 ·· 172
정 진사 길보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5월 答鄭進士吉甫書 己亥五月 ·· 174
총호사에게 올리는 글 기해년 6월 上摠護使書 己亥六月 ·· 176
심 승지 광수 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6월 答沈承旨 光洙 書 己亥六月 ·· 179
총호사에게 올리는 글 기해년 7월 上摠護使書 己亥七月 ·· 182
황 서산 도명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7월 答黃瑞山道明書 己亥七月 ·· 189
정 진사 길보의 문목에 답하다 기해년 9월 答鄭進士吉甫問目 己亥九月 ·· 191
정 진사 길보의 문목에 답하다 기해년 9월 答鄭進士吉甫問目 己亥九月 ·· 194
정 진사 길보의 문목에 답하다 기해년 12월
答鄭進士吉甫問目 己亥十二月 ·· 198
족제 윤선각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1월 答族弟尹善覺書 庚子正月 ·· 202
정 진사 길보의 문목에 답하다 答鄭進士吉甫問目 ·· 204
이 사간 무 에게 주는 글 경자년 與李司諫 袤 書 庚子 ·· 211
정 진사 길보의 문목에 답하다 答鄭進士吉甫問目 ·· 213
백헌 상공에게 올리는 글 경자년 2월 上白軒相公書 庚子二月 ·· 214
정 진사 길보에게 부치다 경자년 3월 柬鄭進士吉甫 庚子三月 ·· 216
백헌 상공에게 올리는 글 경자년 3월 上白軒相公書 庚子三月 ·· 218
이 해남 휴징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答李海南休徵書 庚子 ·· 221
함경 도사 황도굉에게 주는 글 경자년 與咸鏡都事黃道宏書 庚子 ·· 222
정 진사 길보에게 주는 글 경자년 6월 與鄭進士吉甫書 庚子六月 ·· 224
서제 선양에게 부치는 글 경자년 7월 寄庶弟善養書 庚子七月 ·· 225
별감 윤기문과 진사 윤기장을 위로하는 글 경자년
慰尹別監機文進士機章書 庚子 ·· 227
정 상서 세규 에게 주는 글 경자년 與鄭尙書 世規 書 庚子 ·· 229
이생 보만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答李甥保晩書 庚子 ·· 232
안생 서익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答安甥瑞翼書 庚子 ·· 235
이 진사 만봉에게 주는 글 신축년 與李進士萬封書 辛丑 ·· 237
정 상서 세규 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6월 答鄭尙書 世規 書 辛丑六月 ·· 240
어떤 사람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答人書 辛丑 ·· 242
외손 이양원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答外孫李養源書 辛丑 ·· 247
안서익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6월 答安瑞翼書 辛丑六月 ·· 248
소아 예미 에게 부치는 글 신축년 寄小兒 禮美 書 辛丑 ·· 250
양제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答養弟書 辛丑 ·· 252
이 진사 만봉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7월 答李進士萬封書 辛丑七月 ·· 254
아손에게 주는 글 신축년 與兒孫書 辛丑 ·· 256
안생 서익에게 답하는 별폭 신축년 9월 答安甥瑞翼別幅 辛丑九月 ·· 258
정 진사 길보에게 부치는 글 신축년 寄鄭進士吉甫書 辛丑 ·· 261
조용주에게 주는 글 임인년 與趙龍洲書 壬寅 ·· 262
조용주의 답서 趙龍洲答書 ·· 264
외손 심주와 심단 형제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答外孫沈柱檀兄弟書 壬寅 ·· 267
정 진사 길보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2월 答鄭進士吉甫書 壬寅二月 ·· 268
이 진사 만봉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2월 答李進士萬封書 壬寅二月 ·· 271
외손 심주와 심단 형제에게 주는 글 임인년 與外孫沈柱檀兄弟書 壬寅 ·· 273
정자 강석규에게 주는 글 임인년 與姜正字錫圭書 壬寅 ·· 275
갑산 일향에 답하는 글 임인년 4월 答甲山一鄕書 壬寅四月 ·· 277
객목 임인년 4월 客目 壬寅四月 ·· 279

고산유고 제5권 상

서 書
갑산 부사 조부에게 주는 글 임인년 5월 與甲山伯趙裒書 壬寅五月 ·· 283
조주봉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6월 答趙柱峯書 壬寅六月 ·· 285
남병사 이여발에게 주는 글의 별폭 임인년 11월
與南兵使李 汝發 書別幅 壬寅十一月 ·· 287
삼수의 교생 등이 본군에 정소하는 글 임인년 12월
三水校生等呈本郡書 壬寅十二月 ·· 291
남병상 이여발에게 주는 글 계묘년 1월 與南兵相李 汝發 書 癸卯正月 ·· 296
이석과 이후 두 손자에게 답하는 글 갑진년 2월 答錫厚兩孫書 甲辰二月 ·· 298
청해 소부 황도굉에게 주는 글 갑진년 4월 與靑海少府黃道宏書 甲辰四月 ·· 300
손자 이후에게 답하는 글 갑진년 4월 孫爾厚答書 甲辰四月 ·· 302
주부 권념에게 답하는 글 갑진년 윤6월 答權主簿惗書 甲辰閏六月 ·· 304
남병상 구문치에게 사례하는 글 갑진년 8월
謝南兵相具 文治 書 甲辰八月 ·· 306
조용주에게 답하는 글의 별폭 갑진년 9월 答趙龍洲別幅 甲辰九月 ·· 308
이석과 이후 두 손자에게 부치는 답서 을사년 1월
答寄兩孫爾錫爾厚書 乙巳正月 ·· 315
대아에게 부치는 답서 을사년 答寄大兒書 乙巳 ·· 317
하 의흥 홍도 에게 답하는 글 을사년 答河義興 弘度 書 乙巳 ·· 319
조 판서에게 올리는 글의 별폭 병오년 4월 上趙判書別幅 丙午四月 ·· 321
태인의 수재 이민정에게 주는 글 병오년 7월 與泰仁倅李敏政書 丙午七月 ·· 324
별지 別紙 ·· 324
정유악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1월 答鄭維岳書 丁未正月 ·· 327
대아에게 부치는 글 寄大兒書 ·· 329
어떤 사람에게 답하는 글 答人書 ·· 337
어떤 사람에게 보내는 글 抵人書 ·· 338

고산유고 제5권 하

제문 祭文
윤명보에 대한 제문 을묘년 祭尹明保文 乙卯 ·· 343
현고에 대한 제문 기미년 祭顯考文 己未 ·· 345

회문 回文
파산 선조의 묘에 가토하고 개사초하는 회문 기축년 坡山先祖墓加土改莎草回文 己丑 ·· 353
오대조 고비 삼위의 신주를 매봉하는 회문 기축년 五代祖考妣三位神主埋奉回文 己丑 ·· 355
선조의 묘제에 대하여 입의한 조약의 회문 기축년
先祖墓祭立議條約回文 己丑 ·· 358
파산 제파의 미포를 수합한 것과 관련한 회문 기축년
坡山諸派米布收合回文 己丑 ·· 362
파산 제파의 미포를 수합한 것과 관련한 회문 坡山諸派米布收合回文 ·· 364
제사에 쓰는 미포에 대해서 핑계를 댄 사람들 아래에 표시한 제목 기축년 祭用米布托故之人下立標題目 己丑 ·· 366

축문 祝文
파산 육대조 묘제의 축문 기축년 坡山六代祖墓祭祝文 己丑 ·· 370
산신의 축문 山神祝文 ·· 371
파산 오대조 묘제의 축문 기축년 坡山五代祖墓祭祝文 己丑 ·· 372
산신의 축문 山神祝文 ·· 373
부용동 토신제의 축문 芙蓉洞土神祭祝文 ·· 374

조약 條約
향사당의 조약 병신년 鄕社堂條約 丙申 ·· 375

서 序
봉사 숙을 전송하는 서 送奉事叔序 ·· 384
장한이 강동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는 서 送張翰歸江東序 ·· 389
이 제주를 전송하는 서 정유년 送李濟州序 丁酉 ·· 397
〈삼수군선생안〉의 서 三水郡先生案序 ·· 403

기 記
금쇄동의 기문 金鎖洞記 ·· 405

설 說
예설 禮說 ·· 429
말이 개를 짓밟은 것에 대한 설 馬踐犬說 ·· 430

비명 碑銘
증 가선대부 이조 참판 행 통훈대부 시강원 필선 정공의 신도비명 병서 신축년 贈嘉善大夫吏曹參判行通訓大夫侍講院弼善鄭公神道碑銘 幷序 辛丑 ·· 431
통훈대부 행 한성부 판관 조공의 묘갈명 병서 병오년 通訓大夫行漢城府判官曺公墓碣銘 幷序 丙午 ·· 443
통훈대부 행 통례원 상례 이공의 묘갈명 병서 通訓大夫行通禮院相禮李公墓碣銘 幷序 ·· 449
금산군의 묘갈명 병서 錦山君墓碣銘 幷序 ·· 461
군자감 봉사 백공의 묘갈명 병서 軍資奉事白公墓碣銘 幷序 ·· 478

잡저 雜著
신해년 원일에 회포를 적다 辛亥元日記懷 ·· 483
전답 상송 문안의 결미에 붙여 쓴 책자의 앞면에 제하는 글 題田畓相訟決尾傅書冊面 ·· 487
기해년 봄에 동고와 율곡 양공의 문집을 보고 느낀 점이 있기에 쓰다 己亥春見東皐栗谷兩公文集有感 ·· 488
회포를 적다 敍懷 ·· 494
을사년 8월 18일의 꿈을 기록하다 乙巳八月十八日記夢 ·· 499

의 議
산릉의 기해년 山陵議 己亥 ·· 501
김영렬의 묘산 金英烈墓山 ·· 501
윤반의 묘산 尹磻墓山 ·· 502
광주 속달의 동래군 묘산 廣州束達東萊君墓山 ·· 502
남양 홍 정승의 묘소와 홍기영의 족장 南陽洪政丞墓所洪耆英族葬 ·· 503
수원 호장 집의 뒷산 水原戶長家後山 ·· 504
낙생역의 이증 묘소 樂生驛李增墓 ·· 505
양재의 새로 천거하는 산 良才新薦山 ·· 505
벌아치산 伐兒峙山 ·· 505
왕십리의 산 王十里山 ·· 506
건원릉 안에서 새로 얻은 산 健元陵內新得山 ·· 506
건원릉 좌측의 첫 번째 언덕 健元陵左一岡 ·· 507

잡록 雜錄
성산 현감에서 체차된 뒤에 추고를 받고 함답하는 글 을해년 겨울
星山遞來後推考緘答 乙亥冬 ·· 509
공사 무인년 4월 供辭 戊寅四月 ·· 513
산릉을 간심할 때 추고를 받고 함답하는 글 기해년
山陵看審時推考緘答 己亥 ·· 530

저자소개

윤선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시대에 활동했던 문인이자, 시조 작가다. 본관은 해남(海南)이고, 자(字)는 약이(約而)이며, 호(號)는 고산(孤山) 혹은 해옹(海翁)이다. 1612년 26세의 나이로 진사(進仕)에 급제했고, 성균관 유생 신분으로 1616년 당시의 권신(權臣) 이이첨(李爾瞻) 일파를 탄핵하는 상소(<병진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다. 이 시기 유배지에서 <견회요>와 <우후요> 등의 시조를 창작했다. 1618년 유배지가 경상도 기장으로 옮겨졌다가, 인조반정(1623) 직후 대사면령이 내려 유배에서 풀려 전라도 해남으로 돌아갔다. 남인(南人)에 속했던 윤선도는 본격적으로 관직에 나아가기 전부터 치열한 당쟁의 와중에서 유배를 떠나는 등 시련을 겪었던 것이다. 42세(1628)의 나이로 별시 문과에 장원 급제를 해, 당시 이조판서이던 장유(張維)의 천거로 봉림대군과 인평대군의 사부가 되었다. 47세 때인 1633년에 다시 증광 별시에 장원으로 급제해, 예조정랑에 임명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나 해남에서 생활하던 무렵, ‘병자호란’(1636)이 발발하자 향족(鄕族)과 집안의 노복(奴僕)들을 이끌고 배에 태워 강화도로 향했다. 강화도 인근에서 강화도와 남한산성이 이미 적군에 의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배를 타고 제주도로 향하던 중, 태풍을 피해 잠시 머물던 곳이 바로 보길도였다. 이후 윤선도는 자연 풍광이 수려한 보길도에 정착하게 된다. 52세 때인 1638년에는 병자호란 당시 서울을 지척에 두고도 ‘임금을 알현하지 않았다(不奔問)’는 혐의로 탄핵을 받고, 경상도 영덕으로 유배를 갔다가 이듬해에 풀려나게 된다. 이후 해남에 돌아와 집안의 대소사를 차남에게 맡겼으며, 1640년부터 해남의 금쇄동에 거처를 마련해 은거했다. 이후 10여 년간 정치와는 거리를 두고 보길도와 금쇄동을 오가며 자연 속에서 한가로운 생활을 즐겼다. 그의 나이 56세 때인 1642년에 금쇄동에서 <산중신곡> 연작 18수의 시조 작품을 창작했으며, 2년 후에는 <산중속신곡> 2수와 <증반금> 등의 시조를 짓기도 했다. 윤선도가 63세 되던 1649년 인조(仁祖)가 승하하고, 세자로 있던 봉림대군이 효종(孝宗)으로 즉위했다. 윤선도는 효종의 대군 시절 사부를 지낸 바 있었기에, 이해에 나라를 올바르게 다스릴 요체를 논한 <기축소(己丑疏)>를 올렸다. 1651년에는 자신이 거처하던 보길도의 부용동에서 <어부사시사> 40수를 창작했다. 66세가 되던 1652년에는 왕의 특명으로 관직에 나아갔다가, 탄핵을 받고 사직했다. 이때 경기도 양주의 고산에 있는 별장에 머물면서 <몽천요> 3수를 창작했다. 하지만 이내 효종에 의해 다시 관직이 제수되어 조정에 나아갔고, 당시 권신인 원두표(元斗杓)의 비리를 논한 상소를 올렸다가 관직을 삭탈당해 해남으로 돌아갔다. 1657년(71세)에는 조정에 불려 갔다가 다시 관직에 제수되었고, 1659년에 효종이 승하해 왕릉을 정하는 산릉의 간심(看審)에 참여하기도 했다. 남인을 대표한 논객으로 예송(禮訟)에 참여했다가 패배해, 당시 권력을 장악한 서인들에 의해 1650년 함경도 삼수에 유배되었다. 1665년(79세)에는 전라도 광양으로 유배지가 옮겨져 백운산 아래의 옥룡동에서 거처하기도 했다. 이후 2년 후인 1667년 유배에서 풀려나, 고향인 해남으로 돌아왔다. 85세의 나이로 보길도 부용동에 있는 거처 낙서재(樂書齋)에서 운명해, 해남의 금쇄동에 묻혔다. 사후에 이조판서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충헌(忠憲)이라는 시호(諡號)를 하사받았다. 윤선도의 삶은 한마디로 파란만장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사부로 있었던 봉림대군이 후에 효종으로 등극하는 것을 지켜보았고, 중앙 정계의 요직을 두루 거치는 등 비교적 행복한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생애의 절반 이상을 관직보다는 유배지 은거지에서 지내야만 했으며, 반대 당파의 비방에 결연하게 맞서며 치열한 삶을 살아야 했기 때문이다. 그는 경사(經史)에 해박했으며, 의약과 복서 및 지리 등에도 널리 통했다고 한다. 저서로는 ≪고산유고(孤山遺稿)≫(6권 6책)가 있다. <어부사시사>·<오우가> 등 75수의 시조를 남겼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빛낸 작품들로 인해 ‘자연미의 시인’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송강 정철과 더불어 조선 시대의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고전번역가로, 1949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모친은 거출(巨出)이라고 불렀다. 종말론에 빠져들어 종교학과에 들어갔다가 자아모순동일률의 그물을 찢고 빠져나왔으며, 불교대학원에서 한국불교의 대중화를 꾀하여 삼계교(三階敎)를 연구하고 발표하였다. 기자 생활 중에 새종교 현장을 취재 및 발굴하였고, 역사 유적 탐방 기행문을 발간하였다. 해직된 뒤에 한문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어 강의와 번역에 종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문집총간 중 《가정집》, 《간이집》, 《계곡집》, 《고산유고》, 《고운집》, 《녹문집》, 《도은집》, 《목은집》, 《상촌집》, 《죽석관유집》, 《택당집》, 《포저집》 등을, 한국불교전서 중 《기암집》, 《몽암대사문집》, 《무용당유고》, 《부휴당대사집》, 《사명당대사집》, 《월파집》, 《청허당집》, 《침굉집》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