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녹문집 3

녹문집 3

임성주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녹문집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녹문집 3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3967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16-10-04

책 소개

조선 성리학 6대가의 한 사람, 녹문 임성주의 문집. 조선후기를 살며 사유하고 탐구한 녹문의 사상과 철학을 통해 조선후기 성리학사에서 그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2권에서는 녹문이 예론에 대해 논한 것을 볼 수 있다.

목차

녹문집 제9권
서書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무자년 7월 答宋靜深 戊子七月∙17
송정심에게 보내는 글 8월 與宋靜深 八月∙19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答宋靜深∙20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答宋靜深∙22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계사년 7월 答宋靜深 癸巳七月∙25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8월 答宋靜深 丙申八月∙26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단옷날 答宋靜深 庚子端陽日∙31
송정심에게 답하는 글 신축년 答宋靜深 辛丑∙33
홍태화에게 답하는 글 계사년 5월 答洪太和 癸巳五月∙37
송백인에게 답하는 글 무자년 7월 答宋伯仁 戊子七月∙39
송중고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答宋仲高 壬寅∙40
맹직경에게 답하는 글 答孟直卿∙42
성사범에게 답하는 글 정해년 2월 答成士範 丁亥二月∙43
이영이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答李永而 丁未∙44
이지경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答李止卿 丙申∙48
이지경에게 답하는 글 정유년 3월 答李止卿 丁酉三月∙50
성효승과 성사명에게 답하는 글 答成孝繩士明∙52
성효승에게 답하는 글 答成孝繩∙53
성효승에게 답하는 글 答成孝繩∙55
이백경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7월 答李伯擎 丙申七月∙56
이백경에게 답하는 글 8월 答李伯擎 八月∙64
김양지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答金養之 壬寅∙66
김정택에게 답하는 글 병오년 8월 答金正宅 丙午八月∙67
김정택에게 답하는 글 12월 答金正宅 十二月∙69
김정택에게 답하는 글 答金正宅∙72
김정택과 김대우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7월 答金正宅大宇 丁未七月∙73
김정택에게 답하는 글 10월 答金正宅 十月∙75
김정택과 김대우에게 보내는 글 與金正宅大宇∙78
이사함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11월 答李士涵 丁未十一月∙81
정백유에게 답하는 글 임자년 2월 答鄭伯游 壬子二月∙84
정백유에게 답하는 글 정사년 6월 答鄭伯游 丁巳六月∙95
임후이에게 답하는 글 기미년 8월 答林厚而 己未八月∙99
임후이에게 답하는 글 答林厚而∙101
윤생 만에게 답하는 글 정축년 6월 答尹生璊 丁丑六月∙103
유원보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答柳元輔 己亥∙106
홍생 윤승에게 답하는 글 정축년 答洪生允升 丁丑∙108
방생 석필에게 답하는 글 무자년 11월 答房生錫弼 戊子十一月∙112
방생 석필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6월 答房生錫弼 丙申六月∙116
윤생 진승에게 답하는 글 무술년 答尹生晉升 戊戌∙119
권생 경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6월 答權生炅 丙申六月∙121
나생 상신에게 답하는 글 무자년 2월 答羅生尙信 戊子二月∙124
김생 덕양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4월 答金生德養 丙申四月∙125
박생 광묵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10월 答朴生光默 丙申十月∙129
어떤 이에게 답하는 글 신유년 2월 答或人 辛酉二月∙130
어떤 이에게 답하는 글 을축년 6월 答或人 乙丑六月∙133
어떤 이에게 보내는 글 정묘년 與或人 丁卯∙135
어떤 이에게 답하는 글 무진년 5월 答或人 戊辰五月∙140
어떤 이에게 답하는 글 答或人∙151
어떤 이에게 답하는 글 정해년 答或人 丁亥∙153
어떤 이에게 보내는 글 기축년 3월 與或人 己丑三月∙157

녹문집 제10권
서書
삼형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4월 答三兄 丁未四月∙161
삼형에게 올리는 글 上三兄∙164
삼형에게 올리는 글 上三兄∙166
사형에게 올리는 글 무신년 5월 上四兄 戊申五月∙169
사형에게 답하는 글 6월 答四兄 六月∙172
사형에게 답하는 글 8월 答四兄 八月∙177
사형에게 답하는 글 9월 答四兄 九月∙181
사형에게 답하는 글 10월 答四兄 十月∙184
사형에게 올리는 글 기유년 1월 上四兄 己酉正月∙191
사형에게 답하는 글 4월 答四兄 四月∙193
사형에게 답하는 글 신해년 10월 答四兄 辛亥十月∙196
사형에게 답하는 글 갑신년 5월 答四兄 甲申五月∙199
사형에게 답하는 글 갑오년 11월 答四兄 甲午十一月∙201
사형에게 올리는 글 정유년 1월 上四兄 丁酉正月∙203
사형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2월 答四兄 己亥二月∙205
사형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1월 答四兄 庚子正月∙207
사형에게 답하는 글 계묘년 7월 答四兄 癸卯七月∙211
사제 직중에게 답하는 글 갑인년 答舍弟直中 甲寅∙214
팔제 흥보에게 보내는 글 기해년 與八弟興甫 己亥∙219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계미년 11월 與舍弟稺共 癸未十一月∙221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무자년 8월 答舍弟稺共 戊子八月∙223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경인년 1월 答舍弟稺共 庚寅正月∙225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임진년 8월 答舍弟稺共 壬辰八月∙227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계사년 9월 與舍弟稺共 癸巳九月∙228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與舍弟稺共∙232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與舍弟稺共∙235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與舍弟稺共∙237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갑오년 4월 與舍弟稺共 甲午四月∙241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11월 與舍弟稺共 十一月∙242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을미년 6월 答舍弟稺共 乙未六月∙245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4월 答舍弟稺共 丙申四月∙247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7월 與舍弟稺共 七月∙252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9월 答舍弟稺共 九月∙255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答舍弟稺共∙257

녹문집 제11권
서書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병신년 10월 與舍弟稺共 丙申十月∙261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與舍弟稺共∙264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정유년 5월 答舍弟稺共 丁酉五月∙265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무술년 2월 答舍弟稺共 戊戌二月∙268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6월 答舍弟稺共 六月∙270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기해년 8월 答舍弟稺共 己亥八月∙272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12월 與舍弟稺共 十二月∙279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경자년 1월 與舍弟稺共 庚子正月∙281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정월 대보름 與舍弟稺共 上元∙282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3월 答舍弟稺共 三月∙284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6월 答舍弟稺共 六月∙285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10월 答舍弟稺共 十月∙287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신축년 7월 與舍弟稺共 辛丑七月∙288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계묘년 7월 答舍弟稺共 癸卯七月∙290
사제 치공에게 보내는 글 갑진년 1월 與舍弟稺共 甲辰正月∙293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7월 答舍弟稺共 七月∙294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8월 答舍弟稺共 八月∙301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을사년 3월 答舍弟稺共 乙巳三月∙307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병오년 윤7월 答舍弟稺共 丙午閏七月∙310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11월 答舍弟稺共 十一月∙314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4월 答舍弟稺共 丁未四月∙316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8월 答舍弟稺共 八月∙319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9월 答舍弟稺共 九月∙324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答舍弟稺共∙325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무신년 1월 答舍弟稺共 戊申正月∙327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答舍弟稺共∙328
사제 치공에게 답하는 글 答舍弟稺共∙329
사매 신씨부에게 답하는 글 병오년 答舍妹申氏婦 丙午∙332
사매 신씨부에게 답하는 글 答舍妹申氏婦∙338
사매 신씨부에게 답하는 글 答舍妹申氏婦∙341
사매 신씨부에게 보내는 글 정미년 1월 與舍妹申氏婦 丁未正月∙342
사매 신씨부에게 답하는 글 11월 答舍妹申氏婦 十一月∙345
사매 신씨부에게 답하는 글 무신년 2월 答舍妹申氏婦 戊申二月∙347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기축년 5월 答從姪焴 己丑五月∙349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答從姪焴∙352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경자년 答從姪焴 庚子∙355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갑진년 3월 答從姪焴 甲辰三月∙360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윤3월 答從姪焴 閏三月∙361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4월 答從姪焴 四月∙367
종질 육에게 답하는 글 答從姪焴∙368
종질 육에게 보내는 글 정미년 12월 與從姪焴 丁未十二月∙370
종자 열에게 답하는 글 임인년 7월 答從子烈 壬寅七月∙371
족질 노에게 답하는 글 계묘년 9월 答族姪魯 癸卯九月∙372
족질 노에게 보내는 글 與族姪魯∙376
족질 노에게 답하는 글 무신년 1월 答族姪魯 戊申正月∙378
종자 걸에게 답하는 글 병신년 2월 答從子杰 丙申二月∙381
조아에게 답하는 글 을사년 여름 答照兒 乙巳夏∙383
종손 지상에게 답하는 글 정미년 2월 答從孫持常 丁未二月∙384
종손 지상에게 답하는 글 6월 答從孫持常 六月∙386
종손 지상에게 답하는 글 7월 答從孫持常 七月∙387

녹문집 제12권
잡저雜著
경의 經義
심경 무신년 心經 戊申∙393
찬 贊∙393
심학도 心學圖∙402
위미정일장 危微精一章∙410
역건구이장 易乾九二章∙411
곤육이장 坤六二章∙414
손지상장 損之象章∙419
익지상장 益之象章∙421
복초구장 復初九章∙424
안연문인장 顔淵問仁章∙426
예악불가사수거신장 禮樂不可斯須去身章∙431
반정화지장 反情和志章∙435
인개유불인인지심장 人皆有不忍人之心章∙437
시인장 矢人章∙440
구방심장 求放心章∙442
겸소애장 兼所愛章∙444
어아소욕장 魚我所欲章∙445
계명이기장 鷄鳴而起章∙446
과욕장 寡欲章∙448
범씨심잠 范氏心箴∙449
후론 後論∙450
소학 무신년 기유년 小學 戊申己酉∙454
제사 題辭∙454
입교 立敎∙457
명륜 明倫∙461
경신 敬身∙474
계고 稽古∙479
가언 嘉言∙485
선행 善行∙497

저자소개

임성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11년(숙종37)∼1788년(정조12). 조선 후기의 학자로, 본관은 풍천(?川),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이다.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문인이며, 송명흠(宋明欽), 송문흠(宋文欽), 김원행(金元行) 등과 교유하였다. 1733년 사마시에 입격하였다. 1750년 익위사 세마가 되었고 이어 익위사 시직, 공조 좌랑, 임실 현감 등을 지냈다. 1758년 공주 녹문(鹿門)에 은거하였다. 1762년 익위사 위솔이 되어 세손이었던 정조(正祖)를 보도하였다. 이후 사옹원 주부, 전주 판관, 성주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774년 사직하고 공주 녹문, 원주 산호(山湖) 등지에서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초년에는 스승인 이재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에 동조하였으나, 점차 기존 학설을 비판하고 이기동실(理氣同實)의 이기론(理氣論)을 정립하여 조선 성리학 6대가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1845년 대사헌 겸 성균관좨주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녹문집》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고전번역가로, 1949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모친은 거출(巨出)이라고 불렀다. 종말론에 빠져들어 종교학과에 들어갔다가 자아모순동일률의 그물을 찢고 빠져나왔으며, 불교대학원에서 한국불교의 대중화를 꾀하여 삼계교(三階敎)를 연구하고 발표하였다. 기자 생활 중에 새종교 현장을 취재 및 발굴하였고, 역사 유적 탐방 기행문을 발간하였다. 해직된 뒤에 한문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어 강의와 번역에 종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문집총간 중 《가정집》, 《간이집》, 《계곡집》, 《고산유고》, 《고운집》, 《녹문집》, 《도은집》, 《목은집》, 《상촌집》, 《죽석관유집》, 《택당집》, 《포저집》 등을, 한국불교전서 중 《기암집》, 《몽암대사문집》, 《무용당유고》, 《부휴당대사집》, 《사명당대사집》, 《월파집》, 《청허당집》, 《침굉집》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