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녹문집 4

녹문집 4

임성주 (지은이), 이상현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녹문집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녹문집 4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5671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19-01-04

책 소개

조선 성리학 6대가의 한 사람, 녹문 임성주의 문집. 조선후기를 살며 사유하고 탐구한 녹문의 사상과 철학을 통해 조선후기 성리학사에서 그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2권에서는 녹문이 예론에 대해 논한 것을 볼 수 있다.

목차

일러두기∙4

녹문집 제13권
잡저雜著
경의 經義
논어 기유년 論語 己酉∙11
학이 學而∙11
위정 爲政∙26
재증 再證∙35
팔일 八佾∙43
중용 을묘년 中庸 乙卯∙54
서 序∙54
수장 首章∙57
2장 二章∙77
11장 十一章∙78
12장 十二章∙81
13장 十三章∙90
15장 十五章∙91
16장 十六章∙91
17장 十七章∙113
18장 十八章∙114
20장 二十章∙115
25장 二十五章∙121
27장 二十七章∙122

녹문집 제14권
잡저雜著
경의 經義
의례 신유년 임술년 儀禮 辛酉壬戌∙129
상복 喪服∙129
주역 임술년 계해년 周易 壬戌癸亥∙193

녹문집 제15권
잡저雜著
경의 經義
상서 을유년 병술년 尙書 乙酉丙戌∙237
요전 堯典∙237
순전 舜典∙244
대우모 大禹謨∙261
고요모 皐陶謨∙272
익직 益稷∙277
우공 禹貢∙282
오자지가 五子之歌∙301
윤정 胤征∙303
탕서 湯誓∙304
중훼지고 仲虺之誥∙305
탕고 湯誥∙306
이훈 伊訓∙309
태갑 太甲∙315
함유일덕 咸有一德∙318
반경 盤庚∙323
열명 說命∙327
서백감려 西伯戡黎∙334
미자 微子∙334
태서 泰誓∙335
목서 牧誓∙337
무성 武成∙338
홍범 洪範∙338
여오 旅獒∙350
금등 金縢∙353
대고 大誥∙354
강고 康誥∙354
주고 酒誥∙355
소고 召誥∙357
낙고 洛誥∙360
다사 多士∙361

녹문집 제16권
잡저雜著
경의 經義
대학 신축년 大學 辛丑∙365
경 1장 經一章∙365
전 수장 傳首章∙391
전 2장 傳二章∙392
전 3장 傳三章∙395
보망장 補亡章∙401
전 6장 傳六章∙407
전 7장 傳七章∙421
전 8장 傳八章∙427
전 9장 傳九章∙428
전 10장 傳十章∙429

저자소개

임성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11년(숙종37)∼1788년(정조12). 조선 후기의 학자로, 본관은 풍천(?川),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이다.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문인이며, 송명흠(宋明欽), 송문흠(宋文欽), 김원행(金元行) 등과 교유하였다. 1733년 사마시에 입격하였다. 1750년 익위사 세마가 되었고 이어 익위사 시직, 공조 좌랑, 임실 현감 등을 지냈다. 1758년 공주 녹문(鹿門)에 은거하였다. 1762년 익위사 위솔이 되어 세손이었던 정조(正祖)를 보도하였다. 이후 사옹원 주부, 전주 판관, 성주 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774년 사직하고 공주 녹문, 원주 산호(山湖) 등지에서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초년에는 스승인 이재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에 동조하였으나, 점차 기존 학설을 비판하고 이기동실(理氣同實)의 이기론(理氣論)을 정립하여 조선 성리학 6대가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1845년 대사헌 겸 성균관좨주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녹문집》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펼치기
이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문고전번역가로, 1949년 전주에서 출생하였다. 모친은 거출(巨出)이라고 불렀다. 종말론에 빠져들어 종교학과에 들어갔다가 자아모순동일률의 그물을 찢고 빠져나왔으며, 불교대학원에서 한국불교의 대중화를 꾀하여 삼계교(三階敎)를 연구하고 발표하였다. 기자 생활 중에 새종교 현장을 취재 및 발굴하였고, 역사 유적 탐방 기행문을 발간하였다. 해직된 뒤에 한문 고전의 세계에 뛰어들어 강의와 번역에 종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한국문집총간 중 《가정집》, 《간이집》, 《계곡집》, 《고산유고》, 《고운집》, 《녹문집》, 《도은집》, 《목은집》, 《상촌집》, 《죽석관유집》, 《택당집》, 《포저집》 등을, 한국불교전서 중 《기암집》, 《몽암대사문집》, 《무용당유고》, 《부휴당대사집》, 《사명당대사집》, 《월파집》, 《청허당집》, 《침굉집》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