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구봉집 3

구봉집 3

송익필 (지은이), 정선용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구봉집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구봉집 3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28409556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2-12-31

책 소개

조선 전기의 학자 구봉 송익필의 문집이다. 송익필은 이이나 성혼이 우러러볼 정도로 학문이 높았으며, 제갈량에 비견될 정도로 지략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 책을 통해 송익필 연구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이며, 더 나아가 16세기 정치와 사상 및 예학과 문학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제6권

예문답禮問答
계함의 물음에 대한 답 答季涵問|호원의 물음에 대한 답 答浩原問|김희원에게 답한 편지 答金希元|숙헌이 서모를 대하는 예에 대해 논하여 성호원에게 보낸 편지 與浩原論叔獻待庶母禮|숙헌의 물음에 답한 편지 答叔獻問|숙헌에게 답한 편지 答叔獻書|숙헌에게 거듭해서 답한 편지 重答叔獻書|호원에게 답한 편지 答浩原書

제7권

가례주설1家禮註說一
서 序|사당 祠堂|심의 深衣|거가잡의 居家雜儀|관례 冠禮|혼례 昏禮

제8권

가례주설2家禮註說二
상례 喪禮|거상잡의 居喪雜儀

제9권

가례주설3家禮註說三
제례 祭禮

제10권

부록附錄
신원소 을축년 伸冤疏 乙丑|행장 行狀|병술소 丙戌疏|정해소 丁亥疏|갑자신원소 甲子伸冤疏|묘갈문 墓碣文|묘표음기 墓表陰記|제문 경자년 祭文 庚子|제문 계묘년 祭文 癸卯|포증해 주기를 요청하는 서장 경오년 6월 15일 請褒贈狀 庚午六月十五日|신미년 12월 12일의 경연설 辛未十二月十二日筵說|예조의 복달 신미년 12월 15일 禮曹覆達 辛未十二月十五日|이조 정사의 망단자 임신년 1월 11일 吏曹政事望 壬申正月十一日|시집후서 1 詩集後序|시집후서 2|시집후서 3|운장의 시에 차운하다 次雲長韻|송구봉의 〈현승편〉 뒤에 쓰다 書宋龜峯玄繩編後|장계곡이 〈현승편〉에 대해 논박한 것에 대해 변론하는 글 張谿谷駁玄繩編辨

《구봉집》의 지 龜峯集識|김상성(金相聖)∙477

저자소개

송익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534(중종29)~1599(선조32). 자는 운장(雲長), 호는 구봉(龜峯),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아버지는 판관(判官) 송사련(宋祀連)이고 어머니는 연일 정씨(延日鄭氏)이다. 어렸을 때부터 신동으로 이름나 젊은 나이에 향시(鄕試)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할머니가 노비 출신이었던 관계로 금고(禁錮)를 당해 더 이상 과거를 보지 못하고 고양(高陽)의 구봉산(龜峰山) 아래로 옮겨가 살았다. 21세 때 이이(李珥), 성혼(成渾), 정철(鄭澈)을 만나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었으며, 학식과 인품이 뛰어나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제자들과 함께 학문을 연구하면서 지냈다. 1586년(선조19) 동인들로부터 ‘서인의 모주(謀主)’라는 무함을 받아 노비 신세로 전락하게 되자 성과 이름을 바꾼 채 도망쳐 숨어살았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이 일어난 뒤 정철의 도움으로 천인 신분에서 벗어났으나, 정철이 실각한 뒤에는 다시 도피 생활을 하다가 자수하여 평안도 희천(熙川)으로 유배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뒤에 석방되어 이곳저곳을 떠돌았으며, 1596년 충청남도 당진(唐津)의 마양촌(馬羊村)에 우거하면서 학문을 강론하다가 1599년 66세를 일기로 졸하였다. 그 뒤 1625년(인조3) 천적(賤籍)을 씻었으며, 1751년(영조27) 지평(持平)에 추증되었다. 송익필은 노비 출신이라는 신분적 제약과 동인과 서인이 대립하는 붕당의 폐해로 인해, 자신의 경륜을 펴지 못한 채 도망자 신세로 떠돌다가 일생을 마쳤다. 그런 가운데서도 송익필은 좌절하지 않고 학문에 몰두하여 성리학(性理學)과 예학(禮學) 분야에 큰 업적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에도 큰 성취를 이루었다. 이로 인해 송익필은 이이ㆍ성혼과 함께 ‘파주삼현(坡州三賢)’으로, 최경창(崔慶昌)ㆍ백광홍(白光弘)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김시습(金時習)ㆍ남효온(南孝溫)과 함께 ‘산림삼걸(山林三傑)’로 칭해졌다.
펼치기
정선용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충북 괴산 연풍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을 졸업하였다. 2018년에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정년퇴직하고 한국고전번역원 번역자문위원으로 있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번역에 참여하였다. 번역서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고종) 외에 《해동역사》, 《백제사자료집》, 《잠곡유고》, 《학봉전집》, 《지산집》, 《사계전서》, 《우복집》, 《청음집》, 《삼탄집》, 《동명집》 등 19종 70여 책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