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번암집 10

번암집 10

채제공 (지은이), 김정기 (옮긴이)
한국고전번역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번암집 1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번암집 10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28408641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조선 후기의 문신 채제공의 시문집이다. 채제공은 이황, 정구, 허목, 이익을 이은 청남의 영수로서, 노소론 당쟁의 와중에서 탕평을 표방한 영조와 정조의 신임을 받았다. 특히 사도세자의 보호에 앞장선 것이 인정되어 정조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목차

일러두기∙4

번암집 제37권

제문祭文
영의정 문익공 이덕형의 부조에 대한 치제문 領議政文翼公李德馨不祧致祭文∙13
증 이조 판서 행 예조 참판 오광운에 대한 특별 치제문 贈吏曹判書行禮曹參判吳光運別致祭文∙19
고 부윤 정간에 대한 치제문 故府尹鄭榦致祭文∙24
고 지중추부사 권상일에 대한 치제문 故知中樞府事權相一致祭文∙30
고 대사헌 이세택에 대한 치제문 故大司憲李世澤致祭文∙36
사직 기곡 친제에 올리는 제문 社稷祈穀親祭文∙40
경모궁 작헌례 때의 제문 景慕宮酌獻禮祭文∙45
명릉에 대한 친제문 明陵親祭文∙47
현륭원에 올리는 친제문 顯隆園親祭文∙51
비안현 사직단 기우제문 比安縣社稷壇祈雨文∙54
성자암에 재차 올린 기우제문 聖慈巖再次祈雨文∙56
납성정 기우제문 蠟星井祈雨文∙58
이씨의 부인으로서 죽은 누이에게 올리는 제문 祭亡妹李氏婦文∙61
평강현 금평과 목전 양대 선조의 묘소에 올리는 제문 祭平康縣金坪木田兩先壠文∙68
9대조고 주부 부군의 묘를 개축하는 고유문 九代祖考主簿府君墓改築告由文∙74
망실 증 정부인 오씨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亡室贈貞夫人吳氏墓文∙77
외조고 증 판서 이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外祖考贈判書李府君墓文∙81
외증조고 증 참판 이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外曾祖考贈參判李府君墓文∙83
8대조고 호군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八代祖考護軍府君墓文∙88
7대조고 집의 부군 묘에 올리는 제문 祭七代祖考執義府君墓文∙90
6대조고 응교 죽촌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六代祖考應敎竹村府君墓文∙93
5대조고 증 판서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五代祖考贈判書府君墓文∙96
조비 증 정부인 김씨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祖妣贈貞夫人金氏墓文∙99
처녀로 죽은 누님에게 올리는 제문 祭亡姊處子墓文∙103
9대조고 주부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九代祖考主簿府君墓文∙105
종조조부 희암 선생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從祖祖父希菴先生墓文∙107
종고조조부 호주 선생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從高祖祖父湖洲先生墓文∙115
셋째 종조조부 진사 부군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第三從祖祖父進士府君墓文∙119
족숙 응려 께 올리는 제문 祭族叔 膺呂 文∙122
선비 정부인의 묘에 고하는 글 告先妣貞夫人墓文∙127
겸인 장덕량에 대한 제문 祭傔人張德良文∙130
목순호 조순 에게 올리는 제문 祭睦醇乎 祖醇 文∙133
내구 이 상서 휘 지억 에게 올리는 제문 祭內舅李尙書 諱之億 文∙138
고비의 묘에 분황제를 지내며 올리는 제문 考妣墓焚黃祭文∙142
척숙 이 승지 지회 에게 올리는 제문 祭戚叔李承旨 之晦 文∙146
아들 같은 생질 이유사에 대한 제문 祭甥姪子李儒師文∙152
이유사의 졸곡에 지은 제문 祭李儒師卒哭文∙158
이 정주 득일 에게 올리는 제문 祭李定州 得一 文∙160
민 성천 백순 에게 올리는 제문 祭閔成川 百順 文∙164
보통문 중수 고유문 普通門重修告由文∙171
홍진 기양 제문 紅疹祈禳祭文∙174
임와 홍 상서 명한 에게 올리는 제문 祭林窩洪尙書 名漢 文∙178
정 시랑 광충 에게 올리는 제문 祭鄭侍郞 光忠 文∙182
생질부 유씨에게 올리는 제문 祭甥姪婦柳氏文∙187
생질부 유씨의 소상에 올리는 제문 祭甥姪婦柳氏小祥文∙191

번암집 제38권

제문祭文
심 정언 복 에게 올리는 제문 祭沈正言 墣 文∙195
심 상서 각 에게 올리는 제문 祭沈尙書 瑴 文∙202
윤씨에게 시집간 외종매에게 올리는 제문 祭外從妹尹氏婦文∙210
충정공 양호당 우 선생 현보 을 숭양서원에 배향할 때 묘소에 올리는 고유문 忠靖公養浩堂禹先生 玄寶 配享崧陽書院時墓所告由文∙214
경주 운천사에 태사 권공의 사판을 봉안하며 올리는 제문 慶州雲泉祠太師權公祠版奉安祭文∙217
운천사 상향 축문 雲泉常享祝文∙221
조성익 시겸 에게 올리는 제문 祭趙聖益 時謙 文∙222
정 상국 홍순 에게 올리는 제문 祭鄭相國 弘淳 文∙226
망실 증 정경부인 오씨의 무덤을 이장하기 위하여 파묘할 때의 고유문 亡室贈貞敬夫人吳氏遷葬破墓告由文∙229
죽산 율현에서 파토하며 토지신에게 올리는 제문 竹山栗峴破土祀地神文∙233
율현에 빈소를 마련한 후 고하는 글 栗峴成殯後告文∙235
망실에게 올리는 제문 祭亡室文∙237
재종제 성눌 민공 에게 올리는 제문 祭再從聖訥 敏恭 文∙238
사당에 신주를 옮겨 모실 때 고하는 글 祠宇移安告文∙241
9대조고 돈녕부 주부 부군의 묘에 해마다 지내는 제사에 상용하는 축문 九代祖考敦寧府主簿府君墓歲一祭常用祝文∙243
망실 정경부인 권씨에게 올리는 제문 祭亡室貞敬夫人權氏文∙245
할아버님과 할머님의 사당에 고하는 글 무신년 祖考妣廟告文 戊申∙251
부모님 묘에 분황제를 지낼 때의 제문 考妣墓焚黃祭文∙252
할아버님의 묘에 분황제를 지낼 때의 제문 祖考墓焚黃祭文∙255
금오 유수오에게 올리는 제문 祭兪金吾秀五文∙257
할머님의 묘에 분황제를 지낼 때의 제문 祖妣墓焚黃祭文∙259
부모님의 사당에 고하는 글 考妣廟告文∙260
정경부인 권씨의 묘에 고하는 글 貞敬夫人權氏墓告辭∙263
죽은 서자 홍근에게 보내는 제문 祭亡庶子弘謹文∙264
처녀로 죽은 누님에게 올리는 제문 祭亡姊氏處子文∙270
홍근의 소상에 올리는 제문 祭弘謹小祥文∙272
부모님 묘에 성묘하고 올리는 고유문 考妣墓省掃告由文∙275
증 정경부인 오씨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贈貞敬夫人吳氏墓文∙278
정경부인 권씨의 묘에 올리는 제문 祭貞敬夫人權氏墓文∙280
홍근의 묘에 대한 제문 祭弘謹墓文∙282
망실 정경부인 권씨에게 올리는 제문 祭亡室貞敬夫人權氏文∙283
막계의 묘소를 개봉축하고 올리는 고유문 幕溪墓所改封築告由文∙285
개봉축한 후에 위안하는 축문 改封築後慰安祝文∙286
삭녕 표절사 심 충장공 대 에게 올리는 상향 축문 朔寧表節祠沈忠壯公 岱 常享祝文∙287
배위인 세 종사관 윤 충장공 경원, 강 충렬공 수남, 양 충장공 지 에게 올리는 상향 축문 配位三從事尹忠壯公 慶元 姜忠烈公 壽男 梁忠壯公 誌 常享祝文∙289
비장, 검률, 역학 3위에게 올리는 상향 축문 裨將檢律譯學三位常享祝文∙291
이우당 이 선생의 영정을 옮겨 모실 때의 축문 二憂堂李先生影幀移安祝文∙292
다시 제자리로 모셔 올 때의 축문 還安祝文∙293
화성 성터를 개기할 때의 축문 華城城址開基祝文∙295
도연서원에 문정공 미수 허 선생을 추배향할 때 원위 문목공 한강 정 선생께 고하는 글 道淵書院文正公眉叟許先生追配時告原位文穆公寒岡鄭先生文∙299
배위 문정공 미수 허 선생께 고하는 글 告配位文正公眉叟許先生文∙302

애책문애사哀冊文哀辭
인숙 원빈 애책문 仁淑元嬪哀冊文∙305
애책문을 지어 올린 후에 소회를 진달한 소 부록 哀冊文製進後陳所懷疏 附∙312
오씨의 부인이 된 사촌 누님에 대한 애사 병서 從姊吳氏婦哀辭 幷序∙315

번암집 제39권

행장行狀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 겸 동지경연의금부사 홍문관제학 동지춘추관성균관사 오위도총부부총관 세자좌부빈객 행 통정대부 홍문관부제학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창석 선생 이공 행장 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提學同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世子左副賓客行通政大夫弘文館副提學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蒼石先生李公行狀∙325
역양 문공 행장 嶧陽文公行狀∙398

번암집 제40권

행장行狀
백종조 조부 승의랑 홍문관수찬 지제교 겸 경연검토관 춘추관기사관 오시재 선생 행장 伯從祖祖父承議郞弘文館修撰知製敎兼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五視齋先生行狀∙417
가선대부 경주 부윤 병와 이공 행장 嘉善大夫慶州府尹甁窩李公行狀∙438
통훈대부 행 홍문관 교리 권공 행장 通訓大夫行弘文館校理權公行狀∙474
목사 풍암 문공 행장 牧使楓菴文公行狀∙494

저자소개

채제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720년(숙종46)~1799년(정조23).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암(樊巖)․번옹(樊翁)이며,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1743년 문과 정시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에 임명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748년 11월 영조의 특명으로 시행한 한림소시(翰林召試)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예문관 사관이 되었고, 이후 대사간, 한성 판윤, 병조 판서, 예조 판서,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780년 역적 홍국영과의 친분, 사도세자에 대한 신원 주장으로 공격을 받자 사직하고, 명덕산(明德山)과 노량(鷺梁) 등지에서 은거하였다. 1788년 우의정이 되었으며 2년 후 좌의정으로 승진하면서 3년간 혼자 정승을 맡아 국정을 운영하였다. 영조가 사도세자의 죽음을 후회하여 기록한 〈금등(金縢)〉을 정조와 함께 보관할 유일한 신하로 채택될 만큼 두 국왕의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정조의 탕평책을 추진한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사후인 1801년 황사영 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823년 영남만인소로 신원되었다. 문장은 소차(疏箚)에 능했고, 시풍은 위로는 이민구(李敏求)․허목(許穆), 아래로는 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문집으로 《번암집》이 있다.
펼치기
김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와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문헌번역실 번역위원이며, 한국국학진흥원 영남선현문집번역 객원연구원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