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손자병법

손자병법

손자 (지은이), 박삼수 (옮긴이)
문예출판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8,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900원 -10% 590원 10,120원 >

책 이미지

손자병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손자병법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31020090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9-09-10

책 소개

박삼수 교수는 고전 번역에 있어서 학문적 엄밀성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오랜 시간 학생과 시민들에게 고전을 강연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고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쉽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꼼꼼하게 주석을 달고, 해석을 추가하고 번역을 다듬었다.

목차

머리말 싸우지 않고 이기는 온전한 승리를 위하여

제1편 계(計)
제2편 작전(作戰)
제3편 모공(謀攻)
제4편 형(形)
제5편 세(勢)
제6편 허실(虛實)
제7편 군쟁(軍爭)
제8편 구변(九變)
제9편 항군(行軍)
제10편 지형(地形)
제11편 구지(九地)
제12편 화공(火攻)
제13편 용간(用間)

참고문헌

저자소개

손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 손무孫武. 자는 장경長卿. 산둥성山東省 러안樂安 출생. 제齊나라 사람. BC 6세기경 오吳나라의 왕 합려闔閭를 섬겨 절제 있고 규율 잡힌 군대를 조직했고, 초楚·제齊·진晋 등의 나라를 굴복시켜 오왕 합려를 중원의 패자覇者로 만들었다. 싸우지 않고 적을 굴복시키는 것을 으뜸으로 생각한 병법가. 중국 고대의 가장 위대한 군사이론저서 『손자병법』을 쓴 이가 바로 손무이다. 그는 출생과 죽음이 불분명하나 그의 업적만은 뚜렷하게 중국 역사에 남아 있다. 그가 활동했던 시기는 기원전 6세기 춘추전국시대로 그는 제나라 사람으로 태어났으나 계속된 전쟁으로 떠돌아다녀야했다. 그러다가 그는 오나라 군대에 합류하여 군사경험을 쌓게 되는데, 부상을 당해 잠시 회복을 하는 동안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투와 정치들은 그로 하여금 전쟁을 바라보는 눈을 길러주게 되었다. 그는 전쟁에 숨겨져 있는 보편적인 원리를 책으로 저술하여 오나라 왕에게 선물했는데, 이를 계기로 오나라 왕은 그를 장군의 재목으로 등용하게 된다. 오나라 군대는 손무의 지휘하에 3만의 병력으로 초국의 20만 대군을 대파하였고 그 이후에도 제후국들과의 전쟁에서 계속된 승리를 거두었다.
펼치기
박삼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 예천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타이완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서 각각 중문학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울산대학교 중문학과 교수와 출판부장,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동아시아언어학과 방문교수, 중국 산동사범대학교 대학원 교외 논문 지도교수를 거쳤으며, 현재 울산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옮긴 책으로는 《논어》(상・하), 《대학·중용》, 《노자》, 《장자》, 《손자병법》(이상 문예출판사), 《주역》(현암사), 《왕유 시전집》(지만지), 《맹자의 왕도주의》(울산대학교출판부) 등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공자와 논어, 얼마나 바르게 알고 있는가?》(지혜의바다), 《논어 읽기》(세창미디어), 《당시의 거장 왕유의 시세계》, 《고문진보의 이해와 감상》(이상 울산대학교출판부),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3》(공저, 휴머니스트)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사회에서 전쟁은 그야말로 다반사였다. 중국 역사상 전무후무(前無後無)의 난세였던 춘추·전국시대는 더더욱 그러하였으니, 약육강식의 겸병(兼幷) 전쟁이 끊일 날이 없었다. 당시 주 周 왕조의 권위는 땅에 떨어지고, 수많은 제후국들이 병기(竝起)한 가운데 각국 사이에 정치 외교적 모순과 갈등이 격화되면서 무력 충돌이 빈발하였다. 사서(史書)의 기록에 따르면, 크고 작은 제후 열국이 전후하여 무려 일백수십 여(餘) 국이나 출현해 부침을 거듭하였다. 빈발하는 전쟁은 걸출한 전쟁 영웅들을 무수히 길러 내는 한편, 병법 兵法의 이론적 체계화에 대한 욕구를 분출시켰다. 그러한 가운데 전쟁 영웅들의 풍부한 경험은 곧 병법 이론가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용병(用兵) 전쟁의 실례(實例)와 이론적 사유(思惟)의 소재(素材)를 제공하였다. 『손자병법』은 바로 그 같은 배경하에서 탄생된 현존 최고(最高)의 고대(古代) 병법서(兵法書)이다.


이 편에서 손자는 먼저 전쟁을 대하는 태도와 자세가 최대한 진지하고 신중할 것을 요구하였다. 왜냐하면 “전쟁이란 나라의 중대사로 백성의 생사가 걸린 영역이요, 나라의 존망이 달린 관두(關頭)이기〔兵者, 國之大事,死生之地,存亡之道〕” 때문이다. 그러니 전쟁은 진정“ 깊이 궁구하고 신중히 임하지 않을 수가 없다〔不可不察也〕”는 얘기다. 한나라의 최고 통치자는 사전에 반드시 피아에 대한 제반 여건과 요소들을 세심히 따져 꼭 군사를 일으켜야 할 당위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철저히 분석해 신중히 판단하여야 한다. 만약 전쟁을 꼭 해야 한다면 어떻게 승리를 쟁취할 것인지를 깊이 고민하고 탐구하여야 하며, 절대로 감정에 치우쳐 함부로 군사를 움직여서는 안 된다. 이 같은 전쟁에 대한 신중론은 바로 손자의 병법 연구와 군사 전략의 기본정신이다.


전쟁은 양날의 칼과 같다. 적을 무찌를 수도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자신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당대(唐代) 이전(李筌)이 이른 대로, 이로움과 해로움은 서로 상대에게 기대어서 발생하는 것인 만큼, 먼저 그 해로운 바를 자세히 안 연후에야 비로소 그 이로운 바를 제대로 알 수가 있다. 세상만사는 일정한 조건하에서 그 이해득실이 서로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면 폐해와 환난을 미연에 방지하는, 적절한 대책과 전략을 마련할 수가 있다. 하여 손자는 힘주어 말한다. 전쟁할 뜻이 있다면 ‘용병의 이점을 생각하기 전에, 먼저 용병의 폐해에 대해 자세히 알고 그 최소화를 위해 고민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102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