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1590128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0-10-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우리는 누구인가?
01. 반만년 역사에 나타난 우리
02. 우리 민족의 혼, 백두산 천지
03.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 고조선
04. 첨단 물류 시스템의 고구려
05. 기술 창조의 나라, 백제
06. 철의 하이테크, 가야
07. 천 년의 신라
08. 국제 물류의 중심, 발해
09. 격동의 대외 환경에서 빛을 발한 고려의 국력
10. 기록의 역사 그리고 선비의 나라, 조선
11. 개항과 독립운동의 근대
12. 4차 산업 혁명과 현대
제2장 국민 특성과 국토가 물려준 진로유산
01. 21세기의 언어, 한글
02. 명품은 손끝에서, 대한민국 진로유산 1호 ‘젓가락 문화’
03. 일등주의의 강박 관념과 목표 지향성
04. 속도와 진취성 그리고 적응력
05. 정(情)의 문화
06. 여백의 미, 심미성
07. 21세기의 역량, 다양성
제3장 성장 동력의 진로유산
01. 교육 훈련의 강국, 대한민국
02. 최강의 제철 기술
03. 5,000년의 섬유
04. 건설과 건축의 우수성
05. 제지술과 인쇄술의 자부심
06. 세계 최강의 조선술
07. 금속 공예의 극치
08. 우아하고 아름다운 도예
09. 독창적인 디자인
10. 뛰어난 식품 저장 기술
제4장 직업관과 역사 속 직업 인물들
01. 직업관과 직업윤리
02. 우리 선조들의 진로 모델링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고려는 항쟁과 교섭의 역동적인 대외 여건에서 정치 세력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사회 구조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개혁을 단행하고 고용에 대한 엄격성을 적용하였다. 고려는 도로망과 해운업을 발달시켰고, 고도의 기술이 발달하였으며, 우아하고 화려한 수준의 상품을 교역하였다. 또 나라를 지키기 위한 ‘팔만대장경’을 만들고 세계 최초 금속 활자를 발명하였으며, 고려청자가 있는 국가였다.
_제1장 우리는 누구인가? 중에서
한국인은 손재주가 뛰어나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이 손재주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정교한 일을 잘 해내는 우리 민족의 재능은 젓가락 문화에서 출발한다. 젓가락은 단순한 음식 도구가 아니며, 신체의 한 부분인 손이 연장된 개념으로, 생명의 지팡이 또는 음식의 교량, 만능 찬구라고 불린다. … 우리에게 두 가지 진로유산을 제공해 주는 젓가락 문화는 길이 전수되고 보존되어야 할 ‘대한민국 진로유산 제1호’이다.
_제2장 국민 특성과 국토가 물려준 진로유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