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가/혁명가
· ISBN : 978893231663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3-05-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투사’이자 ‘신사’였던 도산 안창호
프롤로그 ‘박제된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참모습
1부 ‘무실역행’의 한 길, 1878~1909
1장 출생에서 청년 명사가 되기까지
차별의 땅 서북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나다 | 선각 필대은에게 신문화를 배우다 | 독립협회 참여, 쾌재정 연설의 명성 | 점진학교를 세워 계몽운동을 펼치다
2장 미국 유학, 노동, 공립협회 조직
교육학과 기독교 연구 목적으로 떠난 미국 유학 | 최초의 미주 한인친목회와 공립협회 조직 | 을사늑약 소식에 통분, 반대 시위 주도
3장 독립운동과 공화제의 근간 신민회 조직
5년 만의 귀국, 비밀결사 추진 | 상동교회 지사들과 신민회 결성 | 해외 독립군기지 설치 등 ‘독립전쟁전략’ 마련 | 평양 대성학교세우고 인재를 양성 | 이토 히로부미의 ‘청년내각’ 제의를 단호히 거절하다 | 안중근 의거로 긴급 체포를 당하다
2부 대한 독립을 향한 뜨거운 점진, 1910~1931
4장 제1차 해외 망명과 청도회담 시기
“간다간다 나는 간다” 「거국가」 남기고 | ‘청도회담’을 마치고 러시아를 거쳐 다시 미국으로 |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회장에 선임 | 흥사단 조직, 국가의 독립과 부흥의 중추로
5장 상해 임시정부 탄생 산파를 맡다
3ㆍ1운동 소식 듣고 상해로 달려가다 | 국무총리서리와 내무총장을 맡아 임정을 이끌다 | 안창호의 신념과 철학이 담긴 ‘6대 사업’ | ‘독립전쟁의 해’ 선포, 무력전쟁 준비 | 임시정부의 분열, 안창호의 열과 성 | 임시정부 2년의 핵심 사업들
6장 국민대표회의 소집 주도, 결렬의 아픔
임정을 떠난 이유를 밝히다 |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한 까닭 | 개조파와 창조파로 대립되고 | 부인에게 보낸 청절한 사연 | 『아리랑』의 님 웨일즈가 그린 안창호
7장 다시 중국으로, 한국독립당 창당과 임시정부 복귀
이광수의 변절과 《동아일보》 연재 중단 | 짧은 체미 기간, 다시 중국으로 | 민족유일당 건설 위해 동분서주 | 부일세력의 ‘자치론’ 비판 | 친일 이광수와 관계를 단절하다 | 한국독립당 창당, 대통합 시도 | 일제치하 고국의 동포들에게
3부 의로운 죽음, 1932~1938
8장 망명 23년 만에 국내로 압송 투옥
만보산 사건 터지자 중국인들에게 호소 | 윤봉길 의거 소식 듣고 동지의 집에서 피체 | 판사 심문에 나타난 독립 의지 | 일제, 치안유지법 들어 4년형 선고 | 감옥에서 부인에게 보낸 편지
9장 재수감 병고 끝에 만 60세로 서거
대전형무소에서 가출옥 | 대보산에 손수 송태산장 짓고 기거 | 출감 후 각지를 돌아보고 활동 계획 구상 | 독립운동가 양성을 위한 이상촌 건설의 꿈 | 수양동우회에서 제기된 내부 비판 | ‘흥사단은 독립운동 단체’, 종로경찰서 심문 | 두 번째 수감, 다시 서대문형무소에 | 병고 끝에 부속병원으로 이감 | 일왕의 죄 문책하면서 눈감다
에필로그 애국가와 대공주의 철학
부록 도산 안창호 추모의 글과 회고, 평가
후주 도산 안창호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