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고려시대
· ISBN : 978893370529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7-11-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제1장 사패전의 성격과 그 유형
1. 사패전의 용례 검토
2. 사패전의 두 유형
3. 사패전의 성격
4. 맺음말
제2장 공신사패전의 분급과 국왕의 국정 운영
1. 수종공신(隨從功臣)의 책정과 정치적 역할
2. 공민왕 대의 군공공신 책정과 정치적 역할의 변화
3. 맺음말
제3장 개간사패전의 분급과 개간 정책
1. 고려의 군량 지원과 권농 정책
2. 개간사패전의 분급과 개간 주도 세력
3. 맺음말
제4장 개간사패전의 개간과 경영
1. 개간사패전의 개간
2. 개간사패전의 경영
3. 맺음말
제5장 모수사패전과 겸병
1. 사패전과 모수사패
2. 사패전과 겸병
3. 사패전과 사전(私田) 혁파
4. 맺음말
제6장 조선초기 사패전의 운영과 전제의 변화
1. 사패전의 유형과 분급
2. 사패전 운영과 직전법의 성립
3. 사패전의 농장화와 관수관급법
4. 맺음말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패전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사패전을 분급한 목적으로 구분하면, 하나는 공을 우대하기 위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개간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었다. 전자가 공신사패전이었고, 후자는 개간사패전이었다. 분급한 전지를 보면, 공신사패전은 간전으로, 개간사패전은 한전으로 분급했다. 공신사패전은 당연히 공신에게 분급했고, 개간사패전은 개간 비용을 댈 수 있는 신하와 기관에 분급했다. - p.47 중에서
원 간섭기에 국왕은 수종공신을 지지 세력으로 삼아서 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반원적인 개혁 정치의 추진 세력을 결집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공신들은 정치적으로 국왕을 지지해 주고 공신사패전을 받아서 주요한 경제 기반으로 삼았다. 공민왕 대의 군공공신들은 신돈 집권기에 배제되었지만 공신사패전은 그들의 경제적인 토대가 될 수 있었다. 공신 책정과 공신사패전의 분급은 이들의 정치적 진출과 경제적 성장에 일정한 기여를 했던 것이다. - p.94 중에서
태조가 공신전을 분급한 까닭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개국 초에 조선을 개창하는 데 많은 공을 세운 신료들을 우대하기 위해서였다. 조선 왕조를 개창한 사람들은 고려 말 사전(私田)의 폐해를 극도로 우려했다. 특히 세습되는 사전을 폐해의 주요 원인으로 보아서 이를 혁파했던 것이다. 하지만 조선을 건국하자 태조는 세전이 가능한 공신전을 분급했다. 태조는 자신을 도와서 왕조 개국에 공을 세운 사람들의 공로를 치하하고 지속적인 신료의 충성을 기대하기 위해 공신전을 분급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p.186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