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기백 한국사학 기초연구

이기백 한국사학 기초연구

노용필 (지은이)
일조각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000원 -0% 0원
330원
32,6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기백 한국사학 기초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기백 한국사학 기초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33707098
· 쪽수 : 470쪽
· 출판일 : 2016-06-02

책 소개

평생 한국사학 발전을 꾀하면서 그 기틀 마련을 위해 노력하였던 이기백의 한국사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연구서이다. 저자인 노용필은 이기백한국사학의 진면목을 밝히고자 매년 한 편씩의 논문을 발표했고, 이 논문들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된 것이 <이기백한국사학기초연구>이다.

목차

서장: ‘학문적 자서전’에 나타난 이기백한국사학의 시기 구분

제1부 검토 편

제1장 이기백 『국사신론』·『한국사신론』의 체재와 저술 목표
1. 머리말
2. 이기백의 한국사학 저술에 대한 연도별 계량적 분석
3. 『국사신론』·『한국사신론』 여러 판본의 체재
4. 『국사신론』·『한국사신론』 여러 판본의 저술 목표
5. 이기백 『국사신론』·『한국사신론』 저술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6. 맺는 말

제2장 『국사신론』·『한국사신론』 본문의 사론
1. 머리말
2. 본문 사론의 내용
3. 본문 사론의 구성
4. 본문 사론의 유형
5. 본문 사론의 대세
6. 본문 사론의 개별성
7. 맺는 말

제3장 이기백한국사학 사론집 삼부작의 출간 의도
1. 머리말
2. 『민족과 역사』의 특징과 그 출간의 의도
3. 『한국사학의 방향』의 특징과 그 출간의 의도
4. 『한국사상의 재구성』의 특징과 그 출간의 의도
5. 사론집 삼부작 출간의 사학사적 의의
6. 나머지 말

제2부 탐구 편

제1장 이기백의 역사주의 수용과 한국사학의 초석 확립
1. 한국사 연구를 통한 세계사 연구에 대한 공헌 강조
2. 일본 유학시절 이기백의 역사이론 공부
3. 역사주의의 수용과 이기백의 사학사 연구
4. 역사주의의 수용과 이기백의 사론 연구
5. 이기백의 주체적 한국사관 및 상대적 평가 사론의 정립
6. 이기백의 민족적 자주성과 개별성 파악
7. 이기백의 한국사학연구에 끼친 역사주의 역사학의 영향
8. 이기백이 ‘역사주의’라는 용어를 쓰지 않은 까닭

제2장 이기백한국사학의 보편성 추구와 개별성 파악
1. 개화기 이후 한국학의 특징으로서 ‘보편성에 대한 인식’이해
2. 보편성·특수성 인식의 지향과 보편성 위에서의 특수성 규명 추구 및 개별성 터득
3. 이기백의 보편성·특수성·개별성 개념 이해에 끼친 외국학자들의 영향
4. 백남운 유물사관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검증
5. 개별성 파악과 보편적 개념의 성격 규정을 통한 한국사의 세계사 공헌
6. 맺는 말

제3장 이기백의 『한국사 시민강좌』 간행과 민족의 이상 실현 지향
1. 머리말
2. 간행의 목적과 취지
3. 편집의 체재와 변화
4. 특집의 선정과 구성
5. 「독자에게 드리는 글」 중 논평과 전망 제시
6. 게재한 글에 나타난 민족의 이상 실현 지향
7. 1997·2002년 대통령 선거와 관련한 현실 인식 표명
8. 맺음말

저자소개

노용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 졸업 (문학박사, 한국사전공)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연구교수 전북대학교 HK교수 한국사학연구소 소장 [저서ㆍ역서ㆍ편저ㆍ공저 목록] — 저서 — 『한국도작문화연구』 (한국연구원, 2012)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연구』 (1) 어문학ㆍ고문서학ㆍ역사학 권 (한국사학, 2017) 『한국고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07)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 (일조각, 1996) 『신라고려초정치사연구』 (한국사학, 2007) 『朝鮮後期天主學史硏究』 (韓國史學, 2021) 『한국천주교회사의 연구』 (한국사학, 2008); 金京善 译, 『韩国摄取西方文化史硏究』 (北京:學苑出版社, 2021) 『한국 근ㆍ현대 사회와 가톨릭』 (한국사학, 2008) 『≪동학사≫와 집강소 연구』 (국학자료원, 2001) 『한국근현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10) 『한국현대사담론』 (한국사학, 2007) 『이기백한국사학기초연구』 (일조각, 2016) — 역서 — 『고대 브리튼, 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일조각, 2009) 『교요서론-18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천주교 교리서-』 (한국사학, 2013) 『天主實義ㆍ텬쥬실의』 하권 (한국사학, 2021) 『천주실의』 (어진이, 2021) — 편저 — 『벗은 제2의 나다:마테오 리치의 교우론』 (어진이, 2017) 『한국중국역대제왕세계연표』 (한국사학, 2013) — 공저 — 『최승로상서문연구』 (일조각, 1993) 『이기백한국사학의 영향』 (한국사학, 2015)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이기백은 연구 생활의 중기 초반에 한국사학을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으로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염원을 간절히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그 자신의 글 가운데 아래의 대목에서 확연할 뿐더러, 여기에서 당시에 그것을 실행하기 위한 나름의 구체적인 원칙까지 설정해 두고 있었다는 사실을 또한 확인할 수가 있어 크게 주목이 된다.

어떻든 ⓐ 나는 한국사학을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으로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염원을 잠시라도 잊은 적이 없다. 그러기 위하여 나는 나의 마음속으로부터 몇 가지 유혹을 뿌리쳐야만 했다.
그 첫째는 애매한 개념槪念을 사용하고 비논리적非論理的인 추리를 하는 일을 극복하는 것이었다. 개념을 분명히 하고, 논리적으로 이론을 전개하는 것은 어느 학문에 있어서나 필수적인 요건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러한 훈련이 거의 없는 나는 제 멋에 겨워 마음내키는대로 휘두르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둘째로는 공식주의公式主義로부터 탈피하는 일이었다. 안이하게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한국사학을 과학으로 정립시키는 일로 흔히 생각되어 온 것은 불행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의 극복은 부정만으로서는 안 되며 자신의 이론을 내세워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다.
ⓑ 셋째는 권위주의權威主義나 사교주의社交主義의 유혹을 물리치는 일이었다. 사교적인 방법으로 기성의 권위와 타협함으로써 자기의 권위를 세우고, 그 권위에 굴복하도록 남에게 요구하는 방식은 가장 달콤한 유혹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종종 이 달콤한 유혹에 말려들어가는 자신을 발견하고는 놀라는 일 한두 번이 아니다.

그는 “한국사학을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염원을 “잠시라도 잊은 적이 없다(ⓐ)”고 강조하면서, 그러기 위해 “유혹을 뿌리”치기 위한 3가지 점의 원칙을 정했던 것이다. 첫째는 “애매한 개념을 사용하고 비논리적인 추리를 하는 일을 극복하는 것”으로, “어느 학문에 있어서나 필수적인 요건”인 “개념을 분명히 하고, 논리적으로 이론을 전개하”겠다는 다짐이었다.
둘째는 “공식주의로부터 탈피하는 일”이라 하였는데, 이 ‘공식주의’라고 함이 뒤이어 “공식을 적용하는 것이 한국사학을 과학으로 정립시키는 일로 흔히 생각되어 온 것”이라는 설명으로 보아서 분명 유물사관唯物史觀을 지칭하는 게 틀림이 없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한마디로 유물사관의 탈피를 선언한 것이라고 풀이된다. 그러면서 이를 극복한다는 게 “부정만으로서는 안 되며 자신의 이론을 내세워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코 쉬운 일만은 아니다”라고 언급함으로써, 종국에는 자신 나름의 이론 정립을 지향하고 있음도 내비쳤던 것이라 하겠다.그리고 셋째는 “권위주의나 사교주의의 유혹을 물리치는 일(ⓑ)”로, 이로써 오로지 학문 연구에만 정진하고자 했음이 확연하다. 결국 이 시기에는 이렇게 함으로써 이기백은 ‘한국사학을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온 힘을 쏟았던 것이었다.

-「‘학문적 자서전’에 나타난 이기백한국사학의 시기구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