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 1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 1

(어문학.고문서학.역사학 권)

노용필 (지은이)
  |  
한국사학
2017-11-29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 1

책 정보

· 제목 :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 1 (어문학.고문서학.역사학 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85368030
· 쪽수 : 472쪽

목차

서론:통섭인문학의 지향과 비교사적 연구 방법의 지향
논문기록
일러두기

제1부 어문학.고문서학 편

제1장 한국 고대 문자학과 훈고학의 발달

1. 머리말
2. 고구려의 <자림>.<자통>.<옥편> 수용과 문자학의 발달
3. 신라의 <이아>.<방언> 수용과 훈고학의 발달
4. 맺는 말

제2장 신라.발해의 <이아> 수용과 훈고학의 발달

1. 머리말
2. <이아>의 내용 구성과 편찬 시기
3. 중국 한―당대 <이아>의 유전 양상과 그 영향
4. 신라 최치원의 <이아> 수용을 통한 저술 활동과 훈고학의 진흥
5. 발해의 <이아> 수용과 훈고학의 진흥
6. 맺음말:신라.발해의 <이아> 수용을 통한 훈고학 진흥의 문화적 배경

제3장 고구려.신라의 <문선> 수용과 한문학의 발달

1. 머리말
2. <문선> 편목의 구성과 그 특징
3. 당대 문선학의 발달과 그 영향
4. 한국 고대 <문선> 수용의 여러 양태
5. 맺음말:한국 고대 <문선> 수용의 역사적 의의

제4장 신라 중대 <문관사림> 수용과 한문학.고문서학의 발달

1. 당 허경종의 <문관사림> 편찬과 측천무후의 전권
2. 신라 신문왕의 <문관사림> 수용
3. <문관사림> 구성 및 내용의 특징
4. <문관사림> 수용과 신라 중대 한문학의 진흥
5. <문관사림> 수용과 신라 중대 고문서학의 진흥

제2부 역사학 편

제1장 고구려의 손성 <진춘추> 수용과 춘추필법의 역사학 정립

1. 머리말
2. 고구려의 손성 <진춘추> 수용과 그 배경
3. 손성 <진춘추>의 내용과 그 특징
4. 고구려 손성 <진춘추> 수용의 역사적 의의
5. 맺는 말

제2장 신라 이주 고구려인의 역사 편찬

1. 서언
2. 전통과 계승
3. 종류와 내용
4. 특징과 목적
5. 찬자와 시기
6. 결어

제3장 신라의 <사기>.<예기> <악본>편 수용과 김대문의 <악본> 저술

1. 머리말
2. 신라의 <사기>.<예기> 수용
3. <사기> 「악서」와 <예기> 「악기」의 체재 및 내용 비교 분석
4. <사기> 「악서」의 「악기」 및 <예기> 「악기」의
편목 구성과 그 중 「악본」편의 특징
5. <사기> 및 <예기>의 「악본」편과 김대문의 <악본>과의 연관성 검토
:<삼국사기> 「악지」의 <신라고기>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6. 맺는 말:김대문 <악본> 저술의 역사적 의의

제4장 김대문 사학사상의 저서별 추이와 그 특징

1. 서언:<삼국사기> 김대문전 분석
2. 김대문 저서에 대한 김휴의 문헌학적 분류 검토
3. <한산기> 저술과 사학사상의 형성
4. <세기> 저술과 사학사상의 정립
5. <계림잡전> 저술과 사학사상의 발전
6. <고승전> 저술과 사학사상의 확충
7. <악본> 저술과 사학사상의 만개
8. 결어:김대문 저술 및 사학사상 특징의 시기별 추이

제5장 최치원의 <문심조룡> 수용과 비.전 중심의 역사 인식 및 서술

1. 머리말
2. 최치원의 <문심조룡> 수용과 전.비 중심의 역사 인식
3. <문심조룡>의 내용 구성과 그 특징
4. 최치원 전.비 중심 역사 인식 및 서술의 시기별 및 사상적 경향
5. 최치원 전.비 중심 역사 인식 및 서술의 구체적인 내용
6. 맺음말:최치원의 역사 인식 및 서술의 사학사적 의의

제6장 최치원 <법장화상전>의 역사이론

1. 서론:최치원 <법장화상전> 사학이론의 핵심
2. 최치원 <법장화상전> 서사의 구조.구성.특징과 내용의 요점
3. 최치원 <법장화상전> ‘십과’ 설정의 특성
4. 최치원 <법장화상전>에 담긴 사학이론의 구체적인 내용
5. 결어:최치원 <법장화상전> 사학이론의 사학사적 의의

부록모음

1. <문선> 편목 중 확인되는 전거의 필자명 가나다순 분석표
2. <문선> 편목 중 확인되는 전거명 가나다순 분석표
3. <문관사림> 잔권의 권별 분석표
4. <문관사림> 잔권 「시」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5. <문관사림> 잔권 「송」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6. <문관사림> 잔권 「칠」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7. <문관사림> 잔권 「비」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8. <문관사림> 잔권 「조」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9. <문관사림> 잔권 「칙」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10. <문관사림> 잔권 「령」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11. <문관사림> 잔권 「교」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12. <사림잔권> 「칙」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13. <사림잔권> 「표」의 시대별 작가별 분석표
14. <태평어람>의 손성 <진양추> 인용문 내용 분석표
15. 황석 <일서고>의 <손성진양추> 인용문 전거 분석표 (등재순)
16. 황석 <일서고>의 <손성진양추> 인용문 전거 분석표 (가나다순)
17. 양구 <진양추집본>의 손성 <진양추> 인용문 전거 분석표
18. <사기> 「악서」와 <예기> 「악기」의 교감
19. <문심조룡>의 내용 구성 분석에 대한 중국학계의 학설 대조표
20. <문심조룡>의 내용 구성 분석에 대한 한국학계의 학설 대조표
21. <문심조룡> 39 「연자」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2. <문심조룡> 11 「명잠」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3. <문심조룡> 12 「뢰비」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4. <문심조룡> 18 「논설」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5. <문심조룡> 16 「사전」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6. <문심조룡> 38 「사류」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7. <문심조룡> 45 「시서」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8. <문심조룡> 26 「신사」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29. <문심조룡> 3 「종경」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30. <문심조룡> 17 「제자」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31. <문심조룡> 1 「원도」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32. <문심조룡> 4 「정위」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33. <문심조룡> 6 「명시」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34. <문심조룡> 29 「통변」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35. <문심조룡> 47 「재략」편 서술 내용의 중점 및 세부 항목 구성 분석표

참고문헌
영문초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노용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석사․박사 졸업 (문학박사, 한국사전공)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연구교수 전북대학교 HK교수 한국사학연구소 소장 [저서ㆍ역서ㆍ편저ㆍ공저 목록] — 저서 — 『한국도작문화연구』 (한국연구원, 2012) 『한국고대인문학발달사연구』 (1) 어문학ㆍ고문서학ㆍ역사학 권 (한국사학, 2017) 『한국고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07)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 (일조각, 1996) 『신라고려초정치사연구』 (한국사학, 2007) 『朝鮮後期天主學史硏究』 (韓國史學, 2021) 『한국천주교회사의 연구』 (한국사학, 2008); 金京善 译, 『韩国摄取西方文化史硏究』 (北京:學苑出版社, 2021) 『한국 근ㆍ현대 사회와 가톨릭』 (한국사학, 2008) 『≪동학사≫와 집강소 연구』 (국학자료원, 2001) 『한국근현대사회사상사탐구』 (한국사학, 2010) 『한국현대사담론』 (한국사학, 2007) 『이기백한국사학기초연구』 (일조각, 2016) — 역서 — 『고대 브리튼, 그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일조각, 2009) 『교요서론-18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천주교 교리서-』 (한국사학, 2013) 『天主實義ㆍ텬쥬실의』 하권 (한국사학, 2021) 『천주실의』 (어진이, 2021) — 편저 — 『벗은 제2의 나다:마테오 리치의 교우론』 (어진이, 2017) 『한국중국역대제왕세계연표』 (한국사학, 2013) — 공저 — 『최승로상서문연구』 (일조각, 1993) 『이기백한국사학의 영향』 (한국사학, 2015)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서문]

한국학을 더욱 진흥시키려면 가장 근본인 인문학 모든 분야의 수준 높은 성과를 시대적인 발전 추이를 반영하여 역사학의 폭넓은 시야에서 제대로 기필코 ‘통섭’해내려는 연구의 지향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인문학 전반에 대한 이러한 통섭을 한마디로 정의定義해서 ‘통섭인문학通攝人文學’이라 규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역사적으로 검토해보면 이 ‘통섭’이라는 용어가 오늘날에 이르러 비로소 창출된 게 결코 아니라 일찍이 불학佛學에서 신라新羅의 원효元曉에 의해 이미 정립定立된 개념이었으니, 이를 되살려 인문학 전반에 대한 통섭으로 승화昇華시키자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학을 중심으로 이 통섭인문학을 온전히 정립하고 또한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역사적 사실 관계의 실증實證을 바탕으로 삼고, 기왕의 비교사적比較史的 연구 방법을 충실히 표준으로 삼아 이를 따르고 적용하는 준용準用이야말로 필수적임을 더욱 강조하고자 한다.


이로써 보면 최치원이 여러 역사이론을 적용하면서 <법장화상전>을 저술한 것은 결국 단지 한 사람의 전기로서 그랬던 것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는 오늘날의 시점에서 보자면 사상사로서 사학과 철학의 소통을 염두에 두고 그랬던 게 아니었나 싶어진다.
그리고 크로체의 ‘철학과 역사의 합일’ 이론은, 길현모의 정리로서 비로소 완성되었다고 하면 지나친 과장이라고 탓할지 모르겠으나 저자의 부족하기 그지없는 실력으로서는 고작 이렇게 밖에는 표현 못하겠는데, 어쨌든 크로체의 ‘철학과 역사의 합일’ 지향은 최치원이 <법장화상전>을 저술하며 그 속에서 배태胚胎해낸 역사이론들과 동렬同列로 견줄 수 있는 게 아닐까? 이 역시 <법장화상전>을 위시한 '사산비명四山碑銘' 등 최치원의 모든 저술들을 영어가 되었건 라틴어가 되었건 서양의 언어로 완벽하게 번역하여 제공한 뒤, 세계사 안목을 제대로 갖춘 서양의 역사학자들에게 연구하게 하면 그들 중 어느 하나는 동의하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