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 근동 역사

고대 근동 역사

(B.C. 3000년경 ~ B.C. 323년)

마르크 반 드 미에룹 (지은이), 김구원, 강후구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 근동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 근동 역사 (B.C. 3000년경 ~ B.C. 323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88934124825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2-12-20

책 소개

고대 근동의 이례적인 복수 문화 문명의 포괄적인 고찰을 제공한다. B.C. 3000년경 기록의 등장부터 시작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최초 도시들의 기원과 바빌로니아와 히타이트 왕국의 성장을 거쳐 아시리아와 페르시아 제국의 등장까지 다룬다.

목차

추천사 1
감사의 글 14
제3판 저자 서문 16
제2판 저자 서문 17
제1판 저자 서문 18
역자 서문 21
저자 노트 23
제1장 서론적 문제 25
1. 고대 근동이란 무엇인가? 25
2. 자료 30
3. 지리 33
4. 선사 시대의 고대 근동 38
제1부 도시 국가 50
제2장 기원: 우룩 현상 51
1. 도시의 기원 53
2. 문자와 행정의 발전 63
3. ‘우룩의 팽창’ 74
4. 우룩 이후 78
제3장 도시 국가들의 경쟁: 초기 왕정 시대 82
1. 문서 자료와 역사적 유용성 83
2.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정치적 발달 87
목 차
3. 초기 왕정 시대의 다른 고대 근동 지역 98
4. 초기 왕정 시대의 사회 104
5. 서기관 문화 109
제4장 제3천년기 후기의 중앙집권화 115
1. 아카드의 왕들 116
2. 우르의 제3왕조 132
제5장 제2천년기 초반의 근동 147
1. 유목민과 정착민 150
2. 바빌로니아 154
3. 아시리와와 동쪽 지역 161
4. 마리와 서부 170
제6장 제2천년기 초기의 영토 국가의 발전 178
1. 삼시-아닷과 북메소포타미아 왕국 180
2. 함무라비의 바빌론 185
3. 고대 히타이트 왕국 198
4. ‘암흑 시대’ 203
제2부 영토 국가 209
제7장 강대국들의 클럽 210
1. 정치 체제 212
2. 정치적 관계: 외교와 무역 217
3. 지역 경쟁: 전쟁 230
4. 공동 이념과 사회 조직 232
제8장 제2천년기 후반의 서부 국가들 241
1. 미타니 242
2. 히타이트의 신왕국 250
3. 시리아-팔레스타인 262
제9장 카시트인, 아시리아인, 엘람인 274
1. 바빌로니아 276
2. 아시리아 285
3. 중세 엘람 왕국 293
제10장 영토 국가 체제의 붕괴와 그 여파 301
1. 역사적 사건들 302
2. 해석 312
3. 여파 317
제3부 제국 328
제11장 제1천년기 초의 근동 세계 329
1. 동쪽 국가들 330
2. 서쪽 지역 343
제12장 아시리아의 등장 361
1. 아시리아 제국 정책의 유형들 362
2. 역사 기록 373
3. 9세기의 팽창 378
4. 아시리아 내부의 쇠퇴 383
제13장 아시리아의 세계 정복 388
1. 제국 기틀의 확립 389
2. 강대국들을 제압 395
3. 행정과 제국의 이념 404
4. 아시리아 문화 407
5. 아시리아 제국의 몰락 417
제14장 메디아인과 바빌로니아인 423
1. 메디아인과 아나톨리아 국가들 425
2. 신-바빌로니아 왕조 431
제15장 세계 제국의 탄생: 페르시아 449
1. 자료와 도전 450
2. 페르시아의 등장과 팽창 452
3. 지배 국가 관리 460
4. 제국적 구조의 탄생 465
제16장 세계 제국의 지배: 페르시아 477
1. 정치 발전 476
2. 제국의 행정 482
3. 페르시아의 지방 행정 형태 487
4. 제국의 종말 498
에필로그 504
왕명록 506
1. 아카드(Akkad) 왕조 506
2. 우르(Ur) 제3왕조 507
3. 이신(Isin) 제1왕조 507
4. 라르사(Larsa) 왕조 508
5. 에스눈나(Eshnunna) 508
6. 마리(Mari) 509
7. 얌캇(YamKhad) 509
8. 바빌론(Babylon)의 제1왕조 510
9. 히타이트(Hittite) 고대왕국 510
10. 미타니(Mittani) 511
11. 히타이트 신왕국 511
12. 시리아-팔레스타인(Syro-Palestinian) 지역의 중요 왕명록 512
13. 제2천년기 말의 바빌로니아(Babylonia) 512
14. 중세 엘람(Elam)의 왕들 513
15. 제1천년기 초기의 바빌로니아 514
16. 신-바빌로니아 왕조 516
17. 페르시아(Persia) 제국 516
18. 아시리아(Assyria) 517

심화학습을 위한 안내 520
연대표 528
참고 문헌 532
색인 547

저자소개

마르크 반 드 미에룹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럼비아대학교 역사학 교수이다. 그는 고대 근동과 이집트 역사의 다양한 분야에 관한 책을 저술하였다. 대표 저서로 The Ancient Mesopotamian City(1997, 1999), King Hammurabi of Babylon(Blackwell, 2004),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the Age of Ramesses II(Wiley-Blackwell, 2009), A History of Ancient Egypt(Wiley-Blackwell, 2010)가 있다.
펼치기
마르크 반 드 미에룹의 다른 책 >
김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구약성서와 고대 근동 연구자로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학사) 미국 웨스트민스터에서 목회학 석사, 시카고대학 근동언어문명학과에서 2010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개신대학원대학교와 단국대를 거처, 현재 전주대에서 성서와 인문 교양을 가르치며, 히브리어 성서와 고대 근동의 역사와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강후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장신대학교 교양학과 부교수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고고학과(박사) 미국 듀북신학교 신학과(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석사, 학사)
펼치기

책속에서

다른 지역에서 우룩 사람들은 기존의 정착지에 정착하여 자기 나름의 촌을 형성하였다. 우룩 이민자와 지방 인구와의 상호작용은 그 지역에 거대 구조물과 같은 문화적 혁신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북동 시리아의 텔 브락에서 거대신전이 건설되었다. 그 신전은 지방의 종교 전통을 따라 건설되었으나 건축기법은 남부 우룩에 영향받은 것이다. 신전의 내부 구조, 건물 기초 단상, 고깔 모자이크 장식, 신전 내용물 등은 모두 남부 우룩에서 수입된 문화 요소들이다. 어떤 지역에서는 우룩의 문화 영향은 몇몇 건물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지역 인구에 대한 영향은 지대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아슬란 테페에서 지방 엘리트들은 남부 관습들을 모방하는 경향을 보였고 거대 구조물들을 건설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룩의 문화 영향이 전혀 없었던 테페 가우라와 같은 고대 정착지들도 있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아카드의 왕들은 바빌로니아에서만 정치 권력을 행사한 것은 아니었다. 몇몇 초기 왕정 시대의 왕들도 근동의 여러 지역으로 군사 원정을 나갔지만 누구도 사르곤 왕조의 왕들이 이룬 업적을 따라갈 수가 없다. 아카드 왕국의 영향권과 그 영향의 성격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왕의 비문들을 살펴야 한다. 이
비문들은, 닙푸르를 최고의 도시로 여기는 초기 왕정 시대의 전통을 따라 닙푸르 신전의 앞마당에 세운 석비들 위에 새겨져 있다. 군사적 문제들이 이 비문 내용의 주를 이룬다.


히타이트의 국경은 언제나 유동적이었다. 수도는 중앙 아나톨리아, 즉 키질이르막강의 상류에 위치했다. 그리고 그들의 군사 원정은 주로 남쪽으로 집중되었다. 전성기 때의 하티는 서부 시리아도 통치하였다. 그러나 북쪽과 서쪽 국경이 흑해 해안과 에게 해까지 이르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국가 조직은 영토에 대한 직접 통치가 아닌 속국 왕들에 의한 통치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국경은 실제적 패권보다는 히타이트의 영향권 안에 있는 속국들이 얼마나 히타이트에 의존하는가에 따라 결정되었다. 여기에서 논의되는 시대를 통틀어 히타이트는 아나톨리아의 변방 지역보다 시리아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히타이트의 정치적 중심은 영토의 북쪽 끝자락에 위치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