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34910824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4-07-29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크기, 만물의 척도
‘크다’와 ‘작다’ 사이
더욱 큰 것에 집착하는 현대 세계
극단과 그것을 알아낸 방법
2장 지각, 착시, 측정
예상과 놀람: 선호하는 시점과 거대한 화면
크기의 망상과 없는 것 보기
측정: 큰 키의 장점
3장 비례, 대칭, 비대칭
비례: 몸, 건물, 그림
대칭: 어디에나 있을까
황금비: 흔할까, 아니면 상상일까
4장 크기 설계: 좋은 것, 나쁜 것, 이상한 것
인간 척도: 인체측정학과 항공기 좌석
크기 변화: 소득, 기계, 허영
크기의 한계, 어떤 기록은 왜 깨지지 않을까
5장 크기와 스케일링
스위프트의 오류, 갈릴레이의 설명
상대 성장의 짧은 역사: 피부와 게 집게발
장기의 스케일링: 뇌, 심장, 뼈
6장 대사 스케일링
대사 스케일링: 우리를 살아 있게 만드는 것
대사 이론, 예외 사례, 불확실성
인공물의 스케일링: 기계의 대사
7장 평균 중심의 대칭
정상은 어떻게 정규가 되었을까
정규분포, 거대한 나무, IQ, 농구
정규곡선: 사슴뿔에서 품질관리까지
8장 대칭이 지배할 때
크기 분포의 이중성
역거듭제곱 법칙: 희소와 풍요 사이
질서 정연한 비대칭일까, 바라는 마음이 빚어낸 착각일까
9장 전자 시대에 걸맞은 요약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참고 문헌과 주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우리 몸의 크기와 감각의 질은 우리가 사람, 동물, 사물, 풍경의 크기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결정한다. (…) 어떤 새로운 얼굴을 볼 때 우리는 의식적으로 이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앞니의 길이를 추정하고 웃음의 매력을 판단해보자.” 잠재의식적으로, 자동적으로 그렇게 한다.
사람의 다리 길이와 건강 연구에서 나온 흥미로운 발견은 더 있다. 유달리 다리가 짧으면 심장동맥 질환 가능성이 더 큰 것을 비롯해 건강 위험이 더 높다고 나왔다. 주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포도당과 인슐린 조절에 문제가 있고 혈압이 높고 혈액 응고 수치도 높기 때문이다. 유년기에 영양 부족에 시달리면 성년이 되었을 때 키에 비해 다리가 짧을 뿐 아니라, 대사장애도 생길 수 있다. 과체중과 비만, 당뇨병, 고혈압, 낮은 뼈 밀도, 그 밖에 건강 문제의 위험 증가와 짧은 다리 길이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이유는 그 때문일 것이다.
근대 이전 세계는 자연적인 크기가 지배했고, 상징적 기념물이라는 두드러진 예외 사례를 제쳐놓고 보면, 주택과 실내용품과 경작에 쓰이는 단순한 도구와 장치의 디자인은 주로 인간 척도에 맞게 조정하거나 가축화한 동물의 신체와 능력에 적합한 규모를 유지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현대의 발전은 비용이나 불편함에 개의치 않고 더욱 크고 더욱 극단적인 크기를 설계하려는 노력을 의도적이면서 단계적으로 계속해온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 수많은 소비재뿐 아니라 건물의 높이, 다리와 터널의 길이, 공장 기계와 운송 기계의 크기와 무게도 신기록을 경신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