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34924289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07-03-20
책 소개
목차
지식인마을로의 초대
1. 의미의 문제
2. 존재의 문제
지식인과의 만남
1장 아주 엄격한 선생과 신비한 매력의 제자
2장 현상학, 위기에 빠진 철학을 위한 돌파구
심리학주의와의 대결, 그리고 과학보다 더 엄밀한 철학이라는 꿈
수학조차도 엄밀한 학문은 아니다? | 정수와 자연수의 집합 중 어느 것이 더 클까?
3장 의식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발견
문제는 의식이다! | 현상학의 행동강령 : 사태 자체로! | 지향성,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
4장 자연과학적 방법 VS. 현상학적 방법
인과적 가설을 사양합니다! | 기술과 환원
5장 존재의 의미 그리고 인간 실존
이제 존재의 의미를 물어보라 | 오이디푸스의 고뇌-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
6장 물음을 던지는 일, 그리고 사유의 길을 따라서
부단한 탈은폐의 과정 | 유럽 문명의 위기 그리고 인간
지식토크, 테마토크
철학도와 공학도의 동아리방 세미나
이슈@지식
1. ABO 인간?
2. 상품으로서의 문화 VS. 존재 기반으로서의 문화 : 문화상대주의를 다시 묻다!
징검다리
같이 토론하기
영어로 보는 원문
지식인 지도
지식인 지도
키워드 찾기
깊이 읽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하이데거가 주목한 것은 '이미 존재를 이해하고 있는' 현상이었다. 그리고 그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 오직 인간만이 그런 '존재'에 대해 '물음을 던질 수 있는' 존재자라는 것이다. 어떤 동물도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머리를 쥐어짜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하이데거에게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도출된 생각은 존재의 의미를 묻는 문제는 이미 존재를 이해하고 있는 아주 독특한 존재자인 '인간'을 이해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었다.-p32 중에서
1929년 후설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세세히 읽고 난 뒤, 그 책이 자신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고 고백했다. 아마도 후설은 하이데거의 철학이 인간을 상황적 존재자로 만들어 버림으로써, 바꾸어 말해 이 세계를 늘 자신이 처한 상황 속에서 인식한다고 말함으로써 진리를 상대화하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p118-11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