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의 고저장단

우리말의 고저장단

('고저(高低)'는 살아 있다)

손종섭 (지은이)
  |  
김영사
2016-11-27
  |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의 고저장단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의 고저장단 ('고저(高低)'는 살아 있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한국어/한문
· ISBN : 9788934976172
· 쪽수 : 480쪽

책 소개

저자인 손종섭 선생은 우리말의 고저를 복권시키고 성조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대안으로서 학계의 관심, 학교 교육에서의 고저 교육 수용, 그리고 고저장단을 명시한 시범적인 국어사전 제작을 제안한다. 특히 사전에서의 고저 표기 방식까지 예시한다.

목차

서문

제1부 서론

제2부 본론
1. 고저장단의 개요
(1) 사성(四聲)이란 무엇인가?
(2) 사성(四聲)과 평측(平仄)
(3) 평측(平仄)과 고저
(4) 고조(高調)와 저조(低調)
(5) 측고조(仄高調)란 무엇인가?
(6) 평고조(平高調)란 무엇인가?
2. 평고조(平高調)의 실제
(1) 생활어에 실현되는 평고조(平高調) 현상
(2) 평고조(平高調)의 변별
(3) 평고조(平高調)와 다른 성조(聲調)와의 대비
3. 평고조(平高調)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
(1) 평고조(平高調)가 되는 그 심리적 동기
(2) 평고조(平高調)의 음성학적 소견
(3) 평측(平仄)의 역추리
4. 평성단음절어(平聲單音節語)의 고조(高調) 현상
5. 고저와 장단의 유기적 상호관계
6. 우리말의 성조(聲調) 체계
(1) 성조(聲調)의 분류
7. 측고조(仄高調)의 여러 형태
(1) ‘仄仄’형
(2) ‘仄平’형
8. 다음절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 3음절어
(2) 4음절어
9. 고유어에서의 평고조(平高調)
10. 우리말의 평측성성(平仄聲性)
(1) 평측성성(平仄聲性)의 성전환
(2) 체언과 조사 간의 성조(聲調) 대응
(3) 체언과 조사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4) 복합어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5) 용언과 어미 간의 성조(聲調) 대응
(6) 용언과 어미 간의 정조(正調)와 변조(變調)
(7) 2음절 이상의 용언과 어미 간의 대응
(8) 수식사(修飾詞 ; 부사・관형사)에서의 성조(聲調) 대응
11. 한자어의 활용
(1) 한자어의 용언화 조건
12. 고저장단의 현황
(1) 고저의 체계 변이
(2) 장단의 체계 변이
13. 성조단위(聲調單位)와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 성조단위(聲調單位)
(2)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14. 고저장단의 이모저모
(1) 전통적 성조(聲調)에 벗어난 현관용어
(2) 평측(平仄) 구조가 같아 어의 구별이 안 되는 말들
15. 언어의 성조(聲調) 질서
(1) 사성(四聲)과 고저장단
(2) 말소리의 입체성
(3) 언어 질서의 자생력
16. 성조(聲調)의 고금
(1) 우리말 성조(聲調)의 연원
(2) 표준어와 방언의 성조(聲調)
(3) 한시문의 독송에서 다져진 평측(平仄)
17. 고저는 소멸한 것이 아니다
(1) 고저가 소멸했다는 논리의 부당성
(2) 평고조(平高調)가 약화된 원인
18. 장단에 대하여
(1) 고저를 배제한 장단의 부실성(不實性)
(2) 장단의 몇 가지 문제점
(3) 장단음(長短音) 발음의 불명확성
(4) 제2음절 장음의 단음화
(5) 사전상 장단 표시의 불일치성

제3부 결론
(1) 고저장단의 기준
(2) 평측(平仄)과 고저의 관계
(3) 우리말의 성(性)
(4) 연접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새 질서
(5)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의 원리
(6) 고저장단의 사전 표시 시안

제4부 별론
1. 중국 한자음 사성(四聲)과 우리 어음(語音)의 사성(四聲)
(1) 한자음과 귀화한자음(歸化漢字音)
(2) 중국 사성(四聲)과 고유어 사성(四聲)
2.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
(1) 훈민정음에서의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2) 최세진(崔世珍)이 본 상성(上聲)의 운가(韻價)
(3)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에 대한 여러 논거
(4) 상성(上聲)의 선고후고(先高後高)와 상거상혼(上去相混)
3. 거성(去聲)의 정체
(1) 거성(去聲)의 음장(音長)
(2) 거성(去聲)의 발생 기서(機緖)
(3) 평단음(平短音)과 측단음(仄短音)
(4) 거성(去聲)・입성(入聲)의 음장 대비
4. 입성(入聲)의 음장(音長)
(1) 입성(入聲)의 특징
(2) 한자의 입성(入聲)과 고유어의 입성(入聲)
(3) 입성(入聲)과 평성(平聲)의 대비
(4) 입성(入聲)과 거성(去聲)의 대비
5. 한자 사성(四聲)의 변이 현황

・부록 1 성조가(聲調歌)
・부록 2 고저일람표
・부록 3 용어풀이

저자소개

손종섭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18년생으로 연희전문학교 문과 3년을 졸업. 한학자인 선친 월은 손병하 선생에게서 시종 가학을 전수했다. 30여 년 교직에 있다가 지병으로 사직하고, 시난고난 어렵게 지내다가 70세에야 건강이 회복되자, 그동안 답쌓였던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이 책에서는 젊었을 때부터의 숙제였던 우리말 성조의 난맥상을 바로잡는 평측平仄 고저의 법칙을 밝히고 있다. 최치원부터 정약용까지 옛 시인들의 마음을 우리말로 고스란히 되살려낸 《옛 시정을 더듬어 上, 下》, 진솔한 마음을 담은 한시 280수를 18가지 주제로 나누어 묶고 시조의 가락으로 번역한 《손끝에 남은 향기》, 동아시아 문학의 거대한 산맥인 이백과 두보의 시를 다시 조탁한 《이두시신평李杜詩新評》, 당시唐詩를 다루면서 특히 운율을 중시한 《노래로 읽는 당시》,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 출강하면서 역대 우수한 매화시 136편을 뽑아 다시 꽃피워본 《내 가슴에 매화 한 그루 심어놓고》를 펴냈으며 그 밖에 《다정도 병인 양하여》 《국역 충의록》 《청원시초淸苑詩抄》 《송강가사정해松江歌辭精解》 등도 펴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여기서 한 번 돌이켜보건대, 고저가 죽었다는 소문은 아니 땐 굴뚝의 연기만은 아니었다. 감기에서 와병→중병→불치→사망으로 과장된 유언비어의 소치로도 보아질 만큼, 우리말의 고저가 한때 변화를 겪은 것은 사실이다. 곧 우리말의 악센트 격인 평고조平高調가 최고조에서 한 단계 낮아져 고조로 완화된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전통적 고저를 계승ㆍ현행하고 있는 경상언어권에서는 여전히 평고조가 최고조를 이룸으로써, 말씨가 규각圭角이 나고 거칠다는 인상을 주는 반면, 비경상권 언어에서는 이미 그 규각의 돌기가 다분히 마모되어 꽤나 부드럽고 매끄럽게 세련된 감을 주게 된 점이다.
-<서문> 중에서

평측平仄이란 세분해 놓은 사성四聲을 그 성질에 따라 통합하여 양립하는 체계로 개편해 놓은 것의 명칭이다. 곧 ‘平’은 사성 중의 평성平聲이요, ‘仄’은 사성 중의 상성上聲ㆍ거성去聲ㆍ입성入聲을 뭉뚱그린 이름이다. 그것은 상성ㆍ거성ㆍ입성은 그 소리가 한결같이 중후하고 높은 공통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한데 묶어 ‘仄’으로 삼아, 이와는 대조적인 짧고 가볍고 낮은 ‘平’과 대립 개념으로 파악함이 고저장단을 논함에 있어 한결 편리하기 때문에 생긴 체계인 것이다. 사실 한자음의 고저를 운위할 때는 평측으로 족하다. 상성·거성이 상혼되어 구별하기 힘들지만 평측으로 말한다면 그 둘은 똑같은 측성仄聲이기 때문에 아무 문제도 없는 것이 된다. 시부詩賦의 율조나 한시문의 독송에도 평측으로 족하며, 한자어의 성조에도 평측의 양립체계로 족한 것이다. 또한 평측은 한자어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고유어의 어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국어의 성조를 가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2부 본론 <고저장단의 개요> 중에서

측상평고조仄上平高調는 그 정황대로 말한다면 측상평고도仄上平高跳라 함이 더 실감날지 모른다. 이는 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낮다는 평성이 높다는 측성을 만나는 순간 갑자기 긴장 앙양하여 측성보다도 더 높은 소리로 뛰어오르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와 같은 현상은 어찌하여 일어나게 되는 것일까? 이를 도보에 비유하여, 평성은 가벼운 걸음걸이로 사뿐사뿐 경쾌하게 걸어갈 수 있는 평탄한 노면이라 한다면, 측성은 노상에 우뚝 나타난 장애물이라 할 수 있다. 평탄한 길을 걷다 무심코 이런 장애물을 만났을 때의 행인은 아연 긴장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평평한 길을 걷던 그런 보조로는 그 장애물을 극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패顚沛의 봉변을 면키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에 취하게 되는 아연 긴장의 자세, ‘仄’을 극복하기 위하여 거의 반사적ㆍ무의식적으로 취하게 되는 이 결연한 대응 태세, 이것이 다름 아닌, 평고조 현상이 빚어지게 되는 유력한 기서機緖라 할 것이다. 이는 목전에 다닥친 장애물인 ‘仄’을 극복하기 위한 자율적 반사심리에서의 물리적ㆍ역학적 대응 자세라 할 만하다.
-2부 본론 <평고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중에서

고조에는 측고조仄高調와 평고조의 두 가지가 있거니와, 그 어느 경우를 막론하고, 한 성조단위 내에서는 측하무고조(仄下無高調 ; 측성 아래는 고조가 없다는 뜻)의 원칙이 적용된다. 곧 측성에 연접된 음절들은 모두 그 측성의 고조 산하에 들게 되므로, 다음의 측성들은 약화되어 비고비저非高非低의 상태가 되고 만다는 뜻이다. 이를 더 자세히 말한다면, ‘일단 고조된 음절에 후속되는 측성들은 평성보다는 높고, 고조된 앞의 측성보다는 낮다’라고 할 수 있다. 측하무고조의 원리는 이렇다. 측기어仄起語는 어두출발음에서 이미 고조로 발음하느라 많은 힘을 소모했기 때문에 이하 가까운 거리에서 다시 고조를 반복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같은 이치로, 평고조를 일으키는 平仄 구조어도 어두 어복 할 것 없이, 그 일어나는 고조 다음의 후속 음절 또한 고조를 반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니, 이는 다 생리의 자연 현상인 것이다.
-2부 본론 <성조단위와 측하무고조> 중에서

고저가 약화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그 직접적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발음에 들이는 힘을 가급적 덜 들이고자 하는 자연 심리에서라 할 수 있다. 정통대로라면 이들 평고조의 높이는 평성 본연의 음고音高인 이단고二段高로 도약한 높이로서, 측고조보다도 더 많은 힘이 소모되는 발음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될 수 있는 대로 힘을 덜 들이고도 뜻이 통하는 선에서 절충한 높이, 곧 2단이 아닌 1단의 측고조 높이만큼의 높이로 타협하려는 경제 심리에 이끌리게 되었으며, 2) 15세기 이후 언제부터인지 또 어느 지방에서부터인지 확언할 수는 없으나, 아마도 서울 말씨에서 비롯됐을 듯도 한 현상으로, 연속되는 말가락을 빗가락〔傾斜調〕으로 멋을 부리는 엇가락 현상이 나타나, 유행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그것은 말가락의 미적 장식 같은 것으로서, 또렷한 고저장단의 말가락에 얼기설기 엇가락으로 서리는 굴곡조의 선율과도 같은 부차적인 억양이 그것이다. 경상도 사람들은 이런 말씨를 경사조(京辭調ㆍ傾斜調) 또는 엇진말이라 한다. 이러한 매끄럽고 세련된 가락은 평고조의 이단고의 돌기와 서로 용납할 수 없는 마찰을 빚게 마련이어서 돌기는 서서히, 극히 서서히 마모되어 갈 수밖에 없었으니, 이처럼 1)과 2)는 상부상조하여 평고조를 측고조의 높이로 끌어내리는 데 각각 일조를 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2부 본론 <고저는 소멸한 것이 아니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