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3498027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1-10-0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서문
1장 왜 우리는 혼잣말을 할까
위대한 멀티태스커 / 꿈의 나라, 라라랜드로
2장 언제 혼잣말이 역효과를 불러오는가
마법의 수, 4 / 사회 기피증 / 세포 속 피아노 / 자산일까 부채일까
3장 줌아웃
벽에 붙은 파리가 돼라 / 솔로몬의 역설 / 시간 여행과 펜의 힘
4장 내가 ‘너’가 될 때
당신의 이름을 말하라 / 해보는 거야, 프레드 / 모두를 가리키는 총칭적 ‘당신’
5장 타인이라는 존재의 이점과 폐해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프로이트까지 / 공동 반추 / 커크 선장이냐 스팍 중령이냐 / 보이지 않는 지원
6장 밖에서 안으로
자연의 힘 / 자아를 위축시키는 상황 / 라파엘 나달의 원칙
7장 마인드 매직
걱정 인형부터 코 분무기까지 / 큰 기대 / 상어로 낚시하는 마법 / 마음의 마법
결론
도구들
감사의 글
주
옮긴이의 글-마음먹기에 달렸다
용어 설명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채터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정적 생각과 감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자기 성찰이라는 능력은 축복이 아니라 저주로 여겨진다. 채터는 실적과 의사결정, 인간관계와 행복을 위험에 빠뜨린다. 우리는 직장에서 저지른 실수나 사랑하는 사람과 벌인 언쟁에 대한 생각에 몰두하고, 결국 부정적 감정에 휩싸인다. 그런데도 그에 대한 생각을 멈추지 않는다. 우리는 내적 성찰을 통해 내면의 코치를 만나기 바라지만, 안타깝게도 내면의 비판자를 맞닥뜨린다.
_ ‘서문’ 중에서
우리가 마음속으로 말하는 언어적 사고의 흐름은 자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뇌는 자서전적 추론을 통해 의미 있는 이야기를 꾸며낸다. 달리 말하면 우리는 스스로를 주인공 삼아 삶의 이야기를 쓸 때 마음을 이용한다. 그렇게 하면 우리가 더 성숙해지고 중요시하는 가치와 바람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때 연속성을 띤 정체성에 뿌리를 둠으로써 변화와 역경을 견뎌내는 데도 도움이 된다.
_ ‘1장. 왜 우리는 혼잣말을 할까’ 중에서
부정적인 내적 목소리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집행 기능과 관련된 신경세포를 독차지한다. 독백을 수반한 반추를 하면 주의력이 정서적 고통의 원인에 제한적으로 집중되며, 우리에게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신경세포까지 빼앗긴다. 결국 우리는 ‘이중 과제dual task’(하고 싶은 것이면 무엇이든 해야 하는 과제와 고뇌에 찬 내적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과제)를 처리함으로써 집행 기능을 어려움에 빠뜨린다. 신경학적으로 말하면, 채터는 이런 식으로 주의력을 분산시킨다.
_ ‘2장. 언제 혼잣말이 역효과를 불러오는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