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88935655588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05-12-30
책 소개
목차
- 옮긴이의 말 / 영국 사회인류학에 대한 훌륭한 입문서
- 서문 / 사회인류학은 세계적인 학문이 되어갔다
1. 말리노프스키
1. 새로운 학문의 창시자
2. 사회인류학: 원시문화에 대한 '기능주의적' 민족지 연구
3. 말리노프스키의 지적 배경
4. 현대적 현지조사 방법의 창시자
5.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
6. 기능적 상호연관성
7. 도구로서의 문화
8. 민족지적 현실
9. 말리노프스키의 유산
2. 래드클리프 브라운
1.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 브라운
2. 민족학적 관심으로부터 사회학적 관심으로
3. 인간 래드클리프 브라운
4. 안다만 연구와 맥락적 분석방법
5.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조직 연구
6. 영향력의 성장: 영국 사회인류학의 새로운 지도자
7. 뒤르켐 사회학의 계승자
8. 사회형태론
9. 토테미즘 연구
10. 친족체계 연구
11. 비교사회학으로서의 사회인류학
12. 생산적 분석틀의 제공자
3. 1930년대와 1940년대: 기능에서 구조로
1. 1930년대: 말리노프스키 시대
2. 기능에서 구조로, 오세아니아에서 아프리카로
3. 1930년대 기능주의 연구: 이론의 결여
4. 추상화 실험: 베이트슨의 '네이븐'
5. 추상화 실험: '아잔데족의 마술, 신탁 그리고 주술'
6. 1940년대: 신래드클리프 브라운 식의 사회구조분석
7. '아프리카의 정치체계'
8. '누에르족'
9. '누에르족'에 쏟아지는 비판들
10. 1940년대: 친족이론의 눈부신 발전기
11. 영국 사호인류학의 혁신적 발전기
4. 인류학과 식민주의
1. 인류학은 식민지 행정에 유용한 학문이었는가
2. 인류학에 대한 식민주의자들의 무관심
3. 식민지 정책의 전환과 인류학의 성장
4. 응용인류학
5. 인류학자와 식민주의자들의 관계
6. 식민지적 환경이 영국 사회인류학의 발전에 미친 영향
5. 카리스마에서 일상사로
1. 전후 영국 사회인류학의 급격한 팽창
2. 영국 사회인류학의 중심지와 주역들
3. 1950년대: 옥스퍼드 구조주의정통설에대한 도전
4. 에번스프리처드
5. 나델, 퍼스, 포티스
6. 외부인의 입장에서 본 영국 사회인류학의 한계
7. 1950년대 영국 사회인류학의 주류: 옥스퍼드 정통파 연구
6. 리치와 글럭먼
1. 1950년대와 1960년대 비주류의 지도자들
2. '갈등'에 대한 글럭먼의 구조적 분석
3. 글럭먼의 기여
4. 멘체스터 학파의 농촌사회연구
5. 맨체스터 학파의 도시연구
6. 리치의 사회구조 변동연구<
7. 터너, 바스, 베일리
7. 레비 스트로스와 영국 신구조주의
1. 개관: 영국 신구조주의 인류학
2. 레비 스트로스의 친족연구
3. 니덤과 리치의 친족연구
4. 출계론 대 결연론
5. 레비 스트로스, 인간 사고의 보편적 구조 탐구
6. 1960년대 영국 신구조주의자들
8. 끝과 시작
1. 학문적 정체성의 위기
2. 제도적 기반의 위축
3. 학문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
4. 이론적 위기
5. 미국 문화인류학의 '문화' 개념
6. 진화주의 인류학
7. 세계적인 사회인류학의 가능성
- 영국 사회인류학사에 대한 저작들
- 주
- 찾아보기
책속에서
말리노프스키는 영국 사회인류학 분야의 창시자라고 주장할 만한 확고한 자격을 갖추었다. 이는 그가 사회인류학의 독특한 훈련과정 - 즉 이국적인 한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집중적인 현지조사 - 을 확립시켰기 때문이다.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 돌아온 후 런던 정경대학에서 15년을 가르치는 동안 그는 영국에서 민족지학(ethnography)의 유일한 대가였다. 그리고 새로운 방식의 현지조사를 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거의 누구나 그의 지도를 받으러 갔다. - 본문 2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