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

이부영 (지은이)
한길사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150원 -5% 0원
1,850원
3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500원 -10% 1120원 19,13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고통과 치유의 상징을 찾아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88935660087
· 쪽수 : 760쪽
· 출판일 : 2012-01-20

책 소개

융학파 분석가 이부영 박사의 필생 역작. 저자는 현대사회 내의 낡은 고대 종교체제의 엄존이라는 ‘한국적 기이성’에 대한 흥미에서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한국 샤머니즘의 연구는 저자가 분석심리학자일 뿐 아니라 정신과 의사이고 정신과 교수였던 까닭에 두 가지 방향에서 실시되었다.

목차

책을 내면서 17
프롤로그 혼과의 대화: 치유의 곳에서 27

제1장 샤머니즘과 인간 심리: 나의 탐구, 시작과 과정 33

제2장 샤머니즘과 무속은 다른 것인가 47

1 샤먼과 샤머니즘의 정의 47
1)엘리아데의 관점 48
2)슈뢰더와 슈미트의 관점 50
3)핀트아이젠의 관점 51
4)루이스와 퍼스와 관점 51
5)샤머니즘은 주술인가, 종교인가 52

2 무당의 호칭과 역할 53
1)무 격 미코 53
2)무당 박수 55
3)당골 마신 56

3 명도 구치요세 56

4 빙신체험의 변천 57

5 제주도의 신방 60

6 무속의 한계 62

제3장 입무과정: 샤먼이 되는 길 65

1 입무과정의 특성 66
1)고통의 의미 66
2)고행의 방법: 해체 69
3)골격으로의 환원: 해체(찢김)와 먹힘 74
4)저승으로의 여행 78
5)맺는 말 81

2 입무의 병-무병: 소명인가, 정신병리인가 82

3 강신의 꿈과 그 상징성 90
1)해체와 빙의의 꿈 91
2)신물 획득과 꿈 94
3)꿈에서 신성한 존재가 건네주는 귀중한 것 99
4)저승으로의 여행 101
5)개성화의 상징 103
6)영혼의 인도자, 상처 입은 자와 치유의 주제 108

4 내림굿 118
1)내림굿에 관한 민속조사 사례 119
2)신내림과 말문 열기의 심리역동 132
3)맺는 말 169

제4장 귀령현상과 그 심리학적 상징성 173

1 귀령의 세계 173

2 한국 샤머니즘의 만신전과 신들의 계위 178
1)잊혀진 신 179
2)천상신의 운명 182
3)몸주신과 그 상징성 187

제5장 한국민간의 질병관 및 정신병관 203

1 조사대상 자료 204

2 질병관의 종류 205
1)자연의 순리와 질병 205
2)귀신의 분노 신벌 복수 206
3)귀신의 체내 침입 혹은 빙의 210
4)영혼의 상실 212

3 정신병관 214
1)고대문헌에 나타난 정신병관 214
2)민속조사자료에서 본 민간의 정신병관 216

4 민간 질병관과 분석심리학 225
1)샤머니즘 사회와 원시종족의 질병관 225
2)실혼 탈혼 그리고 빙의의 분석심리학 233
3)시간과 공간에 결부된 귀령학 239
4)저주와 죽은 자의 원한 242

5 요약 및 맺는 말 244

제6장 한국민간의 정신병치료 247

1 대상 자료 249

1 민간 치료 일반 249
1)역사적 문헌에 나타난 주술적 치료 249
2)1930년대 이후에 기술된 주술적 치료 256

2 정신병의 주술적 치료 264
1)허주굿 265
2)복숭아나무 가지로 때리는 법 265
3)꿈과 치병 268
4)두린 굿 269
5)심신질환의 치료: 칠성새남 270

2 고찰 273

1 샤머니즘과 한국민간 치병방식의 비교 273

2 주술적 원시 치병방식과 문화심리학 276

3 원시치병의 상징적 이해 285

4 정신병의 주술적 치료: 도지구타법의 상징성 292
1)복숭아와 복숭아나무 가지의 상징적 의미 293
2)주술적 구타법 300

3 맺는 말 305

제7장 빙의현상과 증후 307

1 빙의란 무엇인가 307

2 우리나라의 빙의 현상 312

3 빙의증후의 개념과 연구 314

4 빙의증상을 수반한 임상사례 316
1)한국의 사례 318
2)대만 일본 사례와의 비교 322

5 빙의증후의 횡문화적 비교 327
1)발생 빈도 327
2)진단 배경 327
3)빙의 내용 328
4)사회인구학적 배경과의 고나련성 329

6 빙의증후 및 체험의 정신역동적 해석 329

7 맺는 말 332

제8장 무속신앙과 정신장애 335

1 머리말 335

2 개별적 증례의 임상적 심리학적 분석 337
1)증례 분석 337

3 종합적 고찰 368
1)굿은 때때로 왜 위험한가 368
2)정신장애와 체험내용의 특성 369
3)원초적 대극성 370
4)신앙의 갈등 372
5)치료적 접근 방향 373

제9장 죽음, 저승, 사령과 살 377

1 죽음과 저승길 377
1)무가 <죽음의 말>에 나타난 저승길 377
2)<차사본풀이>와 저승길 390
3)<죽음의 말>의 심리적 기능과 그 상징성 393
4)김태곤이 수집한 <저승사자>와 <저승길>이야기들 398
5)이야기<도랑 선비와 청정 각시>의 의미 402
6)죽음과 살아남은 자의 심리 404

2 죽음과 죽음 뒤의 삶에 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407
1)C.G. 융의 생각 407
2)M.L. 폰 프란츠의 생각 411

3 사령현상 421
1)상문-갓 죽은 자의 혼 422
2)영산-원한 맺힌 혼 429
3)무신으로서의 사령 433
4)입무 주재자로서의 사령 435
5)어린이의 사령 438

4 사령의 무속적 치료와 정신치료 443
1)사령제의 구분과 구성 445
2)사령제의 몇 가지 과정의 심리적 고찰 455
3)맺는 말 486

5 살과 헛장 491
1)살 491
2)헛장의 심리 494

제10장 굿과 정신치료 503

1 샤머니즘과 정신치료 503

2 병굿의 특징 506

3 병굿 사례 507
1)사례1 507
2)사례2 513
3)사례2,3의 고찰 550

4 굿의 치료효과 566

4 맺는 말 570

제11장 한국 샤머니즘과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상 577

1 대극합일의 상질 578
1)이승과 저승의 합일과 소통 578
2)신성혼 579

2 고통의 의미와 자기실현, 치료자원형상 582
1)무조 바리공주 583
2)제주도 무조신화 586
3)손님굿 무가 593
4)샤먼과 '상처 입은 치료자' 594

3 엑스터시 이념의 한국적 변이 598
1)중심과 변두리의 상관성 598
2)솟대와 물새의 상징 600

4 귀령의 상징과 어린이의 혼 615

5 춤 부적 미로의 상징 617
1)춤 617
2)부적 626

제12장 한국 민간신앙과 윤리의식 641

1 윤리의식이란 무엇인가 641

2 민간싱아의 특징과 윤리성 643
1)무속신앙과 그 윤리적 기능의 문제 644
2)부락제와 윤리적 문제 657
3)점복 가신신앙 그리고 풍수신앙 658

3 맺는 말 663

제13장 무속문화를 배경에 둔 환자와 정신과 진료 667

1 문화와 의료 667

2 한국인의 종교적 배경 670

2 무속문화를 배경에 둔 환자란 무엇인가 673

4 무속사회의 질병관과 정신장애에 대한 무속인의 태도 675

5 무속문화를 배경에 둔 환자의 특징과 정신과 진료 676
1)치료자에 대한 마술적 기대 677
2)의료에 대한 기대와 요구 677
3)귀령신앙의 영향 677

6 맺는 말 681

제14장 샤머니즘과 한국인 685

1 엑스터시로의 희구 688

2 신인관계의 특성과 그 사회적 표현 689

3 조상과의 유대와 모성 콤플레긋 690

4 미래에 대한 불안과 점복 심리 691

5 도덕적 무분별성고 잡합성 692

6 투사의 문제 693

7 샤머니즘의 창조적 측면 694

에필로그 '샤머니즘'을 넘어서 697

용어해설 701
참고문헌 709
영문차례 735
찾아보기 737

저자소개

이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수료, 의학박사, 신경정신과 전문의 스위스 취리히 체. 게. 융(C.G. Jung)연구소 수료, 국제분석심리학회 정회원, 스위스 취리히 C.G. 융 연구소 강사 역임, 미국 하와이 동서센터 초빙연구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주임교수,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과장 역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장 및 이사장, 동아시아문화정신의학회 창립회장, 한국분석심리학회장, 국제 표현정신병리 및 예술요법학회 부회장 역임, 미국 뉴욕 유니온신학대학원(정신의학과 종교강좌) 석좌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한국융연구원 원장 및 이사장, 학술지 『심성연구』 발행인 주요 저서 『분석심리학 -C.G. Jung의 인간심성론』, 분석심리학의 탐구 ① 『그림자』, 분석심리학의 탐구 ② 『아니마와 아니무스』, 분석심리학의 탐구 ③ 『자기와 자기실현』,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한국의 샤머니즘과 분석심리학』, 『노자와 융 -노자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지중해의 회상』, 『의학개론』, 『분석심리학 이야기』, 『개정증보판 정신건강 이야기』, 『잃어버린 그림자』, 『괴테와 융』 -『파우스트』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동양의학 연구』 외 다수 역서 『C. G. 융 : 현대의 신화』, 『C. G. 융 기본저작집』, 『C. 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인간과 상징』, M. L. 폰 프란츠 : 『C. G. 융-우리시대 그의 신화』, M. L. 폰 프란츠 :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M. L. 폰 프란츠 : 『민담 속의 그림자와 악』 외 다수 수상 분쉬의학상(1995, 대한의학회), Ernst Kris 은상, 금상(2000, 미국표현정신병리학회), Robert Volmat상(2009, 국제표현정신병리학 및 예술요법학회),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등재(2016)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5670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