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랑그도크의 농민들 1

랑그도크의 농민들 1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지은이), 김응종, 조한경 (옮긴이)
한길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랑그도크의 농민들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랑그도크의 농민들 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프랑스사
· ISBN : 9788935661077
· 쪽수 : 554쪽
· 출판일 : 2009-12-21

책 소개

<랑그도크의 농민들>은 르 루아 라뒤리가 1960년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그는 이 논문을 지리학자인 레몽 뒤그랑의 권유로 쓰기 시작했다. 프랑스 서남부의 랑그도크 지방에 콩푸아라고 하는 토지대장이 많이 남아 있어 연구하기 좋은 여건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목차

랑그도크의 농민들 1권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현대 역사학의 증인|김응종 15
화폐 가치 및 도량형 43
프랑스의 계산 화폐·43 기타 화폐·44 도량형·45
약어표 46
서문 55

제1부 힘의 자장

제1장 기후의 자극 65
I. 여름과 포도수확 67
II. 추운 계절 105
체계적 관찰들·106 사건 자료들·114


제2장 남부의 식물과 기술들 119
I. 초목 문명 119
종자와 곡물의 품종들·120 과거의 포도품종·125
과수원과 채원·131 아메리카의 식물들·148
중계지와 원산지·155
II. 지중해 지역의 기술 159
낫과 쟁기·159 물과 불·177

제3장 북부에서의 이주와 유혹 185
I. 이주 영역의 구조 186
랑그도크의 거지들·186 노동의 이주와 인구의 쇄신·199
남부의 하찮은 기여·206 보헤미아인, 무어인, 마라노·208
II. 주요 인구 이동의 대차대조표 216
인류학·216 축산 문명의 기여: 인간의 이주와 동물의 이주·218
외지인 장인들과 농촌 상인들·235 문화적 기여·243
남부의 문명, 북부의 문화·251

제2부 맬서스의 부활

제1장 한 사회의 최저 수위 257
사람이 드물던 세기·257 결과: 농촌 풍경·267
토지의 재통합·275 동일 가계의 재통합·291 지대의 불행·303
임금의 황금 시기·315 고기와 밀·321

제2장 인구, 생계, 수입: 16세기의 ‘가위들’ 335
I. 인구 폭발 335
“곳간의 쥐처럼”·335 확장적 반격`: 한계지의 개간·347
집약적 반격`: 혼합 재배·352
세벤 지방의 사례`: 밤, 숯, 생사(生絲)·372

II. 고난을 향해 387
밀의 비극·387 실질 소득의 정돈(停頓)·396

제3장 분할, 집중, 빈곤화 411
헥타르 또는 스테레·412 토지대장상의 리브르·418
완전히 분할된 세 마을·419 분할지들의 압축·425
상속지의 축소`: 상속자들의 빈곤화·441

제4장 임금, 지대, 이익: ‘토지 노동자들’의 빈곤화 445
실질임금의 하락 445
여성 노동자들의 어려움 464
실질 지대의 지속적인 정돈 470
이익의 승리 488
‘아웃사이더’`: 십일조, 토지세(cens), 타유세·488
농업 경영자와 그의 수입·497 자본임(任)과 토지임·505
농민 부르주아와 젠틀맨-파머·517

제5장 전체적 조망 523
빈민들의 세계·523 심층의 위기·528
자본주의의 유산(流産)·538 랑그도크와 카탈루냐·540

찾아보기 543



랑그도크의 농민들 2권


제3부 의식화와 사회적 투쟁

제1장 글쓰기의 길 23
두 가지 문화의 흐름·23 종교개혁과 수용 구조`: 도시와 시골·28
위그노파 소모공과 교황파 농민·37 세벤에서`: 촌부들의 가담·49

제2장 위그노들의 공세와 사제들의 땅 63
교회 재산에 굶주린 자들·63 구매자들의 유형·70

제3장 십일조는 개혁인가, 혁명인가? 87
개혁교도들이 십일조를 빼앗다·87
십일조 납세자들이 납세 거부 투쟁을 벌이다·96
곡물 십일조·100 현금 십일조·101

제4장 ‘하층 계급’의 투쟁과 행동 113
로망의 사육제·116 랑그도크와 중부 지방의 크로캉·124
‘시골뜨기’ 투사들·129

제5장 사바트와 반란 135
전도(顚倒) 의지·143
제4부 지대의 공세

제1장 인구 153
완만한 증가(1600~70)·153 죽음의 마을들과 1629년의 위기·158

제2장 생산 171
포도와 생사(生絲), 첨단 분야·171 아캅트와 콩플랑·178
완만한 확장, 제로 성장·189

제3장 분배(제1악장) 207
르 냉의 세기의 외양, 장식·207 토지의 분할, 세분화의 지속·212

제4장 징수 219
지대의 승리, 임금의 안정, 이익의 하락·219 십일조의 재상승·234
세금 ‘짜내기’·246 더 무거워진 채무·253
‘순이익’의 승리·258 농민들의 시련·261

제5장 봉기 265
빵과 세금·271 의식(儀式)적인 절단·278

제5부 역류
가격과 연대(年代)·291

제1장 총생산의 부침 299
포도주·299 밀·308 기름·312 가축·315
실질 총수입: 최종적인 감소, 전반적인 무기력·318 죽은 땅·326

제2장 인구의 재감소 355
호적대장과 부활절 성체배령자들·335 하락 추세`: 호적대장·343
저항의 극점들`: 도시·344 총생산과 농촌 인구·346
왜 그렇게도 많이 죽었나?·349 만혼? 산아 제한?·360
사라진 마을들·364 부락도 죽는다·369

제3장 분할에서 재통합으로 373
토지대장상의 인구`: 타유세 납세자 수의 감소·373 우익의 강화·380

제4장 토지는 더 이상 수익성이 없다 399
1665~72`: 이익의 사망·400 1680`: 차지농들의 파산·401
임금의 저항·411 지대의 하락·413 리브르가 이삭을 죽이다·416
조세의 시의부적절한 공격·425

제5장 야만적인 반란들 431
국왕 만세, 징세관 꺼져라·431 세벤의 광신자들·438
쥐리외의 묵시록·444
발작적이고 예언적인 히스테리·450 납세자들의 반감·465

결론

거대한 농업 사이클 471
시대 구분·471 기술의 막다른 골목과 문화적 장애물·480
진정한 성장의 씨앗·490 문맹의 문제·493


옮긴이의 말 507
참고문헌 509
찾아보기 553

저자소개

에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북서부 노르망디 지방에서 태어났다. 레지스탕스의 일원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열다섯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기도 한다. 중국이 공산화되던 해인 1949년에 공산당에 가입하고, 그해 9월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한다. 1953년 교원자격시험(아그레가시옹)에 합격해 1955년부터 몽펠리에의 한 중등학교(리세)에서 교편을 잡는다. 그해 11월 소련의 헝가리 침공 소식을 듣고 공산당원증을 반납한다. 그 후 통합사회당(P.S.U.)에 가입하여 활동하나, 1963년에 브로델의 추천으로 고등연구원 제6국의 조교수로 옮겨가면서 탈퇴한다. 1955년, 르 루아 라뒤리는 지리학자인 레몽 뒤그랑의 권유를 받아들여 랑그도크 지방에 많이 남아 있는 콩푸아라는 토지대장을 가지고 학위논문을 쓰기로 결심한다. 토지의 집중과 분할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자본주의의 기원을 밝힐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5년간 연구 후에 모습을 드러낸 『랑그도크의 농민들』은 경제사라는 좁은 테두리에 갇히지 않았고, 지리/경제/사회/정치/문화/심리를 두루 포함하는 전체사의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는 1960년에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하고, 1963년 고등연구원 조교수로 임명되어 파리에 올라온다. 1968년에는 새롭게 개편된 『아날』의 공동 편집인이 되며, 1970년에는 소르본 대학 교수, 그 이듬해에는 파리 7대학 교수가 되었다. 1973년에는 브로델의 뒤를 이어 콜레주 드 프랑스의 근대문명사 담당 교수가 된다. 취임 강의 제목인 「움직이지 않는 역사」는 역사학의 본질과 관련해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저서로는 『랑그도크의 농민들』을 비롯하여 『랑그도크의 역사』 『역사가의 영역』 『천년 이후 기후의 역사』 『몽타이유』 『로망의 사육제』 『자스맹의 마녀』 『랑그도크 지방에서의 돈, 사랑, 죽음』 『플라터의 세기』 『생시몽 또는 궁정 체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응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졸업 후 1984년 프랑스 낭트 대학교에서 석사, 1987년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래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인문대학장,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아날학파》(민음사, 1991),《 오늘의 역사학》(공저, 한겨레신문사, 1998), 《아날학파의 역사세계》(아르케, 2001), 《서양의 역사에는 초야권이 없다》(푸른역사, 2005), 《 페르낭 브로델》(살림, 2006), 《서양사 개념어 사전》(살림, 2008), 《관용의 역사》(푸른역사, 2014), 《프랑스혁명사는 논쟁 중》(푸른역사, 2022)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랑스혁명사》(일월서각, 1990), 《16세기의 무신앙 문제》(문학과지성사, 1996), 《고대도시》(아카넷, 2000), 《랑그도크의 농민들》(공역, 한길사, 2009), 《유럽은 어떻게 관용사회가 되었나》(푸른역사, 2015), 《라로슈자클랭 후작부인의 회고록》(한국문화사,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조한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문학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연암재단의 지원으로 프랑스 리옹 3대학에서, 학술 재단의 지원으로 캐나다 토론토 대학에서 교환교수로 연구 기간을 가졌다. 한국어의 프랑스어 번역으로는 ≪열두 띠 이야기≫, ≪쥐돌이는 화가≫, 프랑스어의 한국어 번역으로는 ≪저주의 몫≫, ≪종교이론≫, ≪에로티즘의 역사≫, ≪미덕에 관한 철학적 에세이≫, ≪소수집단의 문학을 위하여≫, ≪비평과 의식≫, ≪에로티즘≫, ≪초현실주의≫ 등이 있고 저서로는 ≪변혁의 시대와 문학≫, ≪서양문예사조≫, ≪한국어 한자-불어 사전≫, ≪라모의 조카≫, ≪프랑스 현대문학의 이해≫ 등이 있다. 논문은 <절대인간 사드-부정의 극단, 극단의 부정>, <미술비평가 디드로와 비평적 태도>, <바타유와 에로티즘>, <리베르탱 소설연구 : 에로티즘 또는 허무주의 철학>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