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주주의
· ISBN : 978893591494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9-08-27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4
《다시 보는 미국의 민주주의》를 읽기 전에 8
서론 30
다시 보는 미국의 민주주의 I
제1장 북아메리카의 외형 38
제2장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기원과 그들의 미래와 관련된 그 기원의 중요성 42
제3장 영국계 아메리카인들의 사회적 조건 50
제4장 아메리카의 국민주권 원칙 55
제5장 연방의 조건보다 먼저 주들의 조건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 58
제6장 합중국의 사법권과 정치사회에 미친 영향 77
제7장 합중국의 정치적 재판권 81
제8장 연방헌법 85
제9장 합중국은 국민통치 원리 108
제10장 합중국의 정당 110
제11장 합중국의 언론자유 112
제12장 합중국의 정치적 결사 116
제13장 합중국의 민주주의 정치 121
제14장 합중국의 민주주의 통치의 장점 137
제15장 합중국에서 다수의 무제한적 권력과 그 결과들 145
제16장 합중국에서 다수의 폭정을 완화시키는 원인들 153
제17장 합중국에서 민주공화정을 유지해주는 주요 원인 162
제18장 합중국에 거주하는 세 종족의 현재와 미래전망 183
다시 보는 미국의 민주주의 II
제1부 민주주의가 아메리카인의 지적행위에 끼친 영향 228
제2부 민주주의가 아메리카인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264
제3부 풍습에 대한 민주주의 영향 293
제4부 민주주의적 사상과 감정이 정치사회에 미치는 영향 339
리뷰
책속에서
영국의 배심원들은 귀족들 중에서 뽑힌다. 영국은 법률을 만들고 집행하고 처벌하는 것이 귀족체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귀족 공화국이다. 그러나 합중국에서는 배심원 제도가 전 국민에 적용된다. 합중국의 모든 국민은 시민으로서 배심원으로 선출된 자격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배심원 제도는 보통선거의 기본 원칙인 국민주권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정치적 제도다. 따라서 배심원 제도는 국민주권의 한 형태로 이해하는 것이 마땅하다. 입법부가 법을 만드는 사람들이라면 배심원은 사법진행의 진행 및 절차를 맡은 사람들이다.
대신에 아메리카인들은 자기가 이해할 수 있는 주변의 사물에 대해서 철저하게 분석하고 이해한다. 아메리카인들은 철학적 방법을 책에서 찾지 않고 자기 자신 안에서 찾는다. 이러한 현상은 아메리카 사회가 갖는 사회적 조건에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