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36413064
· 쪽수 : 595쪽
· 출판일 : 2008-02-29
책 소개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책머리에
서론
제1부 토비 세계의 성립배경
I. 토비와 변경
II. 신해혁명기 토비.비밀결사의 성행
III. 1910년대 하남 치안조직의 성립과 성격
IV. 1910년대 후반 하남 치안조직의 운영
V. 1910년대 후반 하남 토비에 대한 통계적 분석
Ⅵ. 소결
제2부 1920년대 군벌혼전의 심화와 토비 세계의 성립
I. 1920년대 초 독군(督軍) 교체파동의 전개
II. 군벌수탈의 강화
III. 1920년대 하남 치안행정의 문란과 토비 세계의 형성
IV. 토비군대〔兵匪〕와 노양인(老洋人)집단
V. 홍창회의 성립과 발전
Ⅵ. 소결
제3부 토비 세계의 내부 구조와 국민혁명
I. 20세기 초 토비은어〔黑話〕와 토비문화
II. 홍창회의 의식과 믿음
III. 토비 세계와 지역엘리뜨
IV. 토비와 국민혁명
V. 홍창회와 국민혁명
Ⅵ. 소결
결론
참고문헌
적요(摘要)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치안당국의 입장에서 볼 때 토벌은 토비발호에 대한 대표적인 현상타개책이라 할 만하였다. 하지만 토벌에 따른 치안조직의 인적.물적 피해는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토비의 규모가 커지고 무장 토비의 군사적 가치가 증가하는 민국 초기 군벌대립의 정치상황에서 직접적 군사충돌이 동반되는 토벌과 함께 토비발호에 대한 평화적 현상대책도 강구될 필요가 있었다.
토비의 군대개편은 군사적 충돌의 위험 부담 없이 토비의 발호를 진정시키고 동시에 그들의 무장력을 이용하여 군대의 군사력을 증가시키거나 여타의 군대 혹은 토비에 대처하는 다방면의 효과를 기할 수 있는 또하나의 현상대책이었다.
토비의 입장에서 본다면 합법적 신분을 획득함으로써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길이기도 했다. 하지만 위에서 살핀 바대로 치안조직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면 굳이 토비를 군대로 개편할 필요가 있었을까? (128쪽, '제1부 토비 세계의 성립배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