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이동환 (지은이)
지식산업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88942391226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3-09-07

책 소개

도학(주자학)은 실천의 측면에 역점을 둔 개념이다. 13세기 말 14세기 초로부터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시작하여 한말에 이르기까지 장장 650-60년이나 지속된 주자학이, 도학으로서 가장 정체를 발하고 역사의 적극적인 기능을 한 시기가 16세기와 17세기 중반 사이다.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은 이동환 교수의 사상사 내지 문학사 구분의 제2기에 해당한다.

목차

책머리에
목은牧隱에게서의 도학사상의 문학적 천발闡發
《동문선東文選》의 선문방향選文方向과 그 의미
회재晦齋의 도학적道學的 시세계
16세기 사림士林에서의 출처관出處觀의 문제
퇴계退溪의 시詩에 대하여
퇴계退溪와 남명南冥 사이의 사상적 대결
16세기 조선 사상계의 동향과 노수신盧守愼
석주石洲의 시인의식의 자유·저항성의 국면과 그 역사적 의미
안동장씨부인安東張氏夫人의 시정신詩精神
선비 정신의 개념槪念과 역사적 전개展開
한국문학에서의 유가문학儒家文學의 이념적理念的 양상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동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상북도 경주 출생.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성균관대학교 조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한문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용재석좌교수 역임.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한문학학회 회장, 한국실학학회 회장, 퇴계학 연구원 부원장, 문화재청 문재위원회 위원, 한국고전번역원장 등 역임. 저서 『실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지식산업사, 2006년), 『고전시대의 사상과 문학』(지식산업사, 2023년), 『도학시대의 사상과 문학』(지식산업사, 2023년), 『번역과 해설 삼국유사』(서연비람, 2023) 등.
펼치기

책속에서

이상으로써 고려 말의 도학자이자 문학가인 목은이 중국으로부터 도학을 수용해와 자신의 사상으로 삼고, 그 사상적 진경進境을 도모하고자 기성 도학의 개념·명제들을 문예양식을 가지고 어떻게 천발闡發했으며, 그 결과 어떤 성과를 얻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작품의 분석·검증을 통해 알아보았다. 앞에서 다룬 3편 이외에 이 논문에서 취하고 있는 시각에서 분석·검증이 요구되는 산문 작품이 아직 많다. 이를테면 <서경풍월루기西京風月樓記>·<징천헌기澄泉軒記>·<가명설可明說>·<지현설之顯說> 같은 작품들을 우선 꼽을 수 있다.
목은은 원나라 국자감에 유학하여 도학에 관한 지식을 본격적으로 대량 섭취하였다. 그러므로 당시 한국의 도학사적道學史的인 국면에서 보았을 때 그의 도학적 역량은 단연 돌출적 존재다. 그러한 도학적 지식을 그는 주로 문예 양식을 통해서 발휘했다. 사상적 지식이 문학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그의 독특한 문학 세계이자 사상 세계를 열어 보였다. 그 결과 위의 검증을 통해 보았다시피 기성 도학의 논리․개념․명제에 걸쳐 과감한 변개가 일어났다. 물론 위에서 말한 수용 초기적인 거칠음이 있지만 목은의 이 변개야말로 한국적 도학의 전개를 가능케 할 시험장이라고 할 만하다. 그런데 목은의 시도는 그의 사후 사뭇 경시되어 온 것 같다. 그것은 수용 초기적인 거칠음이 있었는 데다, 또 철학적 문제 의식을 문예 양식으로 표현한 때문이 아닌가 여겨진다.
-목은에게서의 도학사상의 문학적 천발 중


《동문선》은 밖으로는 한족漢族의 통일제국 명明과의 원만한 사대 관계로 동아질서의 안정을 누리고, 안으로는 세조 이래 강화·안정된 왕권 아래 훈구관료 문화가 극성을 이루었던 15세기 후반 바로 그 관료문화의 결정체다. 우리는 여기에서 주로 비판적인 시각으로 그 선문 방향을 논의하면서 그 선문 주체의 사고양상의 일면을 탐구해 보았거니와 반드시 비판만 받아야 할 책은 물론 아니다.
삼국 이래 선초鮮初까지 우리나라 문학 자료의 나름대로의 집성集成으로서의 의의라는 예거는 그만두고라도, 이 책과 그리고 선문 주체의 사고에는 우리가 상대적으로 긍정으로 보아야 할 측면이 없는 것이 아니다. 모든 사실이 양면성을 갖듯 위의 선문 방향에서 본 사실들도 마찬가지다. 가령 그 실체의 인식에 역사적인 한계는 있지만 자국의 문학 전통을 중국의 그것과 병행적 독자존재로 인식한 것, 그리고 미의식이나 제재·주제에 있어 일정한 편향성을 보였다고는 하나 후대 주자학적朱子學的 문학의 그것들과 상대적으로 보면 오히려 훨씬 다양·다채한, 따라서 의식의 더 넓은 폭도幅度를 보여준 것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불道佛에 대한 일정한 포용성의 문제도 사고나 문화감각의 경직·편협을 부정적으로 본다면 역시 긍정적으로 이해할 여지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이들 문제에 대해 상론할 겨를을 얻지 못한다.
-《동문선》의 선문방향과 그 의미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