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는 원장 및 국제안보센터(ISC) 소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 외교학과 학사, 미국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 플레처스쿨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정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방부 아태안보연구소(APCSS) 연구교수(2002~2004년),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객원연구원(2009년)과 워싱턴 이스트-웨스트센터(East-West Center) 객원연구원(2010년) 등을 역임했다. 연구 관심은 국제안보와 미국 외교정책, 동아시아 지정학과 한반도, 한미동맹과 남북관계 등이다.
최근에는 역사상 한반도의 주요 전쟁이 동아시아의 지정학 및 세력 전이와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그리고 21세기 미·중 경쟁 및 세계질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집중하고 있다. 이 책은 안보문제의 백화점과도 같은 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에 더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코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평화협정, 한미동맹, 비핵화, 핵무장, 미사일 방어, 군사위기와 같은 정치화되기 쉬운 문제일수록 관련 분야의 정통이론을 통해 과학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구한말 동북아 패권경쟁의 격전장이었던 한반도가 21세기 미·중 경쟁의 험난한 파도를 어떻게 헤쳐나갈지. 모두의 지혜가 필요하다.
펼치기
조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미국 펜실배니아주립대 정치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부원장
주요 논저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국제정치논총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평화학연구 (2019).
“Bringing International Anti-Landmine Norms to Domestic Politics.” Review of Korean Studies (2008).
“Bargaining,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state Disput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009).
펼치기
정경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 University of Maryland 국제정치학 박사, 육군사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체계경영대학원·U.S. Army Command & General Staff College 졸업
현) 한양대 국제대학원 겸임교수
전) 전방 지휘관 및 합참·육본·연합사 근무, 국방대·가톨릭대 초빙교수,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사)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 부설 국제전략연구소 소장, 국방전문가포럼 회장
주요 저서: 『전작권 전환과 국가안보』(2022), 『피스 크리에이션: 한미동맹과 평화창출』(2020), 『통일한국을 향한 안보의 도전과 결기』(2017), 『한국의 구심력 외교안보정책』(2014), 『동북아 재편과 한국의 출구전략』(2009), 『변화시대의 한국군』(2000), 『민족분단의 현장에 서서』(1990), (2020), 『남북통합 추진전략』(편저, 2024).
펼치기
김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신시내티 대학교(University of Cincinnati)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5년 국방관리연구소(현 한국국방연구원)에 들어간 이후 미국연구실장, 지역군사연구실장, 안보전략연구센터장, 국제분쟁연구실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는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미동맹의 미래와 한국의 선택>(공저), <한미동맹 50년 평가와 장기발전 방향>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