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

신범식, 전재성, 신성호, 이왕휘, 이정환, 김흥규, 최윤정, 장세호, 김태균, 권기수, 김강석, 장지향, 최경준, 박기철, 김흥종, 김치욱 (지은이), 신범식 (엮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7072009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5-09-19

책 소개

글로벌사우스 부상과 국제정치 변동에 관한 주요국들의 인식과 그 부상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사우스의 ‘선발 중견국들’의 대외 전략을 이해하는 동시에 그런 국제정치적 흐름이 한국 외교에 대해 지니는 의미를 검토한다.
세계은행이 발표한 G20 국가들의 2000~2024년 사이 1인당 GDP 성장률에 따르면, 서방 국가들의 경제성장은 그리 좋지 못했다. 반면 G7에 포함되지 않은 비서방 국가들의 경제성장이 눈에 띈다. 이 책은 이러한 현상을 ‘글로벌사우스’의 부상으로 보고, 이것이 국제정치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왔으며 또 앞으로의 상황에 어떠한 변수로 작용할지를 진단한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글로벌사우스의 개념, 역사, 국제정치적 도전에 대한 소개를 바탕으로, 1부에서는 강대국 정치와 글로벌사우스에 대해 논한다. 미국, 중국, 일본 등 큰 나라들의 경제성장과 부진, 그간의 외교 상황, 글로벌사우스의 성장에 따른 해당 국가들의 국제적 위상, 내부 상황 변동 등을 면밀하게 살핀다. 다음으로 2부에서는 글로벌사우스와 브릭스의 확장이라는 주제로, 중국, 인도,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등 본격적인 ‘글로벌사우스’의 성장과 각 나라들만의 경제성장 배경, 전통적 외교정책 및 전략 등 주목할 만한 부분을 짚어 나간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이러한 강대국 정치, 글로벌사우스의 성장 속 한국의 외교에 대해 논한다. 군사협력, 경제안보, 개발협력외교, 공공외교 등의 관점에서 현시대 한국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는지, 부족한 점과 나아가야 할 점을 진단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책은 보다 실제적인 차원에서의 한국의 국제정치에 제언을 내놓는다. 글로벌사우스와의 협력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한국에게 새로운 국제정치의 질서로 나아갈 기회로 다가온다. 한국도 ‘글로벌사우스’의 성장과 유사한 경제성장을 이룬 경험이 있는 나라로서, 거시적이면서도 보다 미시적 차원의 접근으로 여러 나라들과의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 책의 내용이 국제정치 전문가와 정책 전문가, 국제정치를 통해 해외로 뻗어 나갈 한국의 많은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글로벌사우스: 개념, 역사, 그리고 그 국제정치적 도전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 정의하기
III. 글로벌사우스의 역사적 전개
IV. 글로벌사우스 부상과 관련된 주요 논점들
V. 글로벌사우스의 국제정치적 영향과 한계
VI. 한국 외교에의 함의
VII. 책의 구성과 주요 내용

제1부 강대국 정치와 글로벌사우스

제2장 미국과 중국의 국제질서 경쟁과 글로벌사우스
I. 서론
II. 미국 주도 단극패권 체제의 약화와 국제질서의 변환
III. 지정학적 변화 속에서 글로벌사우스 국가들의 변화 과정
IV. 미국과 중국의 질서경쟁과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접근의 차이
V. 글로벌사우스의 전략적 현황과 중국의 전략 내용
VI. 미국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을 둘러싼 현황과 미래의 불확실성
VII. 결론

제3장 글로벌사우스와 미국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III. 미중 경쟁과 글로벌사우스
IV.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정책
V.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정책
VI. 결론

제4장 일본 인도태평양 외교의 변용과 글로벌사우스 전략
I. 서론
II. G7 히로시아 정상회의와 기시다 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III. 일본 인도태평양 외교의 변용과 글로벌사우스
IV. 일본의 글로벌사우스 전략의 구체화와 성격
V. 일본의 다면 외교 전통과 글로벌사우스 전략
VI. 결론: 헷징 전략으로서의 일본의 ‘가교’ 외교와 글로벌사우스

제5장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국제정치경제의 변동
I. 머리말
II. 글로벌사우스의 기원
II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
IV. 서방의 대응
V. 글로벌사우스/노스 대 글로벌사우스/이스트/웨스트: 중국 문제
VI. 글로벌 무역질서
VII. 글로벌 통화질서: 탈달러화
VIII. 글로벌사우스의 한계와 과제
IX. 맺음말

제2부 글로벌사우스와 브릭스의 확장

제6장 중국 외교와 글로벌사우스
I. 글로벌사우스와 중국
II. 글로벌사우스 개념의 수용
III. 글로벌사우스 정책의 발전
IV. 중국과 글로벌사우스 관계의 미래
V. 글로벌사우스와 한국

제7장 국제질서 재편기 인도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I. 머리말
II. 인도 외교정책의 맥락에서 비동맹과 글로벌사우스의 관계
III. 인도 글로벌사우스 전략의 외교적 활용
IV. 맺음말: 인도 글로벌사우스 외교의 전망과 과제

제8장 러시아의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인식과 전략
I. 구조: 러시아의 다극질서 추구와 글로벌사우스
II. 자극: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사우스 ‘현상’
III. 담론: 러시아의 긍정 담론 정식화와 ‘세계다수’
IV. 정책: 러시아의 글로벌사우스에 대한 접근 정책과 한계
V. 제16차 카잔 브릭스 정상회담의 의미
V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중간국가’ 한국

제9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대응: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전략과 딜레마
I.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위치권력
II. 글로벌사우스의 행위자로서 아프리카: 위치권력과 딜레마
III. 남아프리카공화국 외교정책: 비동맹원칙과 균형전략
IV.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글로벌사우스 관여정책
V. 맺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 글로벌사우스 전략의 딜레마

제10장 브라질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 국가로서의 브라질의 정체성과 인식
III. 브라질의 전통적 외교정책과 글로벌사우스 전략
IV. 룰라 3기 정부의 글로벌사우스 전략
V. 향후 전망 및 과제

제11장 사우디아라비아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의 강국, 사우디아라비아의 인식과 역할
III. 미중 갈등 속 사우디아라비아의 브릭스에 대한 전략적 고려
IV. 사우디아라비아의 다자연계 전략 추구
V. 결론

제12장 튀르키예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지정학의 지각변동에 맞선 튀르키예의 도전
II. 글로벌사우스 국가 튀르키예의 외줄 타기 균형 전략
III. 글로벌사우스의 리더를 꿈꾸는 튀르키예의 강경한 반이스라엘 정책
IV. 에르도안 대통령의 국내 권력 기반 다지기
V. 나가며

제13장 인도네시아의 글로벌사우스 인식과 전략
I. 서론
II. 인도네시아와 글로벌사우스
III. 강대국 갈등 속 글로벌사우스
IV. 다극 질서와 글로벌사우스
V. 결론

제3부 글로벌사우스의 부상과 한국 외교

제14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군사협력
I. 들어가기 전에
II. 글로벌사우스 군사력 현황과 도전
III. 한국의 군사협력과 고려사항
IV. 맺음말

제15장 글로벌사우스와 한국의 경제안보
I. 글로벌사우스의 범주
II. 글로벌사우스가 경제안보전략에서 중요한 이유
III. 글로벌사우스의 약점과 한계
IV. 한국 경제안보전략의 발전 과정
V. 최근 경제안보전략 평가
VI. 한국의 경제안보전략과 글로벌사우스

제16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개발협력외교
I. 들어가며: 글로벌사우스의 개발협력적 접근
II. 글로벌사우스의 전략적 행보와 국제개발협력의 동향
III. 한국의 글로벌사우스 개발협력외교
IV. 맺으며: 글로벌 커넥터로서의 한국

제17장 글로벌사우스의 도전과 한국의 공공외교
I. 서론
II. 글로벌사우스의 귀환과 한국 외교
III. 한국 공공외교의 성과와 한계
IV. 한국 공공외교의 혁신방안
V. 결론

저자소개

김흥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국제대학원 특임교수, 태국 TDRI 국제자문이사, 세계디지털경제기술이사회(WDET) 국제자문위원. 서울대 경제학과 학사·석사·박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2020~2023), 한국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KOPEC) 의장, 한국APEC학회 회장, 아시아태평양EU학회 회장, 한국EU학회 회장, 산업통상자원부 정책자문위원, 외교통상부 FTA 협상 자문위원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김흥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중정책연구소 소장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교안보연구원(현 국립외교원) 교수를 거쳐 성신여대, 아주대에서 재직하였다. 현재 국회 등록 싱크탱크인 (사)플라자 프로젝트 이사장으로서 초당파적인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미래전략을 제안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20여 년 동안 청와대,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국회, 국가정보원, 기획재정부, 합동참모본부 등등 다양한 국가 정책기관에서 정책자문을 해오고 있다. Foreign Policy, Global Times, South China Morning Post 등 해외 신문의 주 기고자이고, 현재 경향신문에 매달 ‘김흥규의 外交萬事’ 코너에 글을 쓰고 있다. 연구 초점은 중국의 외교안보 분야, 북중/한중 관계에서 시작하여 미중 전략경쟁, 동북아 국제정치, 군사안보, 경제안보 등으로 국제정치 전반의 이슈를 망라하고 있다. 현재 연구 분야에서 300여 편이 넘는 논문, 연구 보고서, 기고문 등이 있다. 대표 논문으로는 〈중국의 정책 결정과 민주집중제〉, 〈중국의 동반자 외교小考〉, 〈Prospects for South Korea-China Relations in Xi Jinping’s 3rd Term〉, 〈Between the Eagle & the Dragon〉(Woodrow Wilson Center, 2022) 등이 있다. 저서로는 《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명인문화사, 2021)이 있다. 《중국의 정책결정과 중앙-지방관계》(폴리테이아, 2007)는 2008년 문화관광부 추천 우수학술도서에 선정된 바 있고, 2014년 동북아연구재단(NEAR) 외교안보 부문 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권기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국제지역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서 오랫동안 중남미 경제를 연구했으며, 2017년부터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포르투갈어과에서 강의하며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라틴아메리카 경제의 이해: 자원, 불평등, 그리고 개혁>(공저),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경제환경 변화와 한·MERCOSUR 기업간 협력 활성화 방안>(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2004년부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현재는 원장 및 국제안보센터(ISC) 소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 외교학과 학사, 미국 터프츠대학교(Tufts University) 플레처스쿨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에서 국제정치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방부 아태안보연구소(APCSS) 연구교수(2002~2004년),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 객원연구원(2009년)과 워싱턴 이스트-웨스트센터(East-West Center) 객원연구원(2010년) 등을 역임했다. 연구 관심은 국제안보와 미국 외교정책, 동아시아 지정학과 한반도, 한미동맹과 남북관계 등이다. 최근에는 역사상 한반도의 주요 전쟁이 동아시아의 지정학 및 세력 전이와 어떻게 연계되었는지, 그리고 21세기 미·중 경쟁 및 세계질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집중하고 있다. 이 책은 안보문제의 백화점과도 같은 한국의 혼란스러운 상황에 더 객관적인 시각을 제공코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평화협정, 한미동맹, 비핵화, 핵무장, 미사일 방어, 군사위기와 같은 정치화되기 쉬운 문제일수록 관련 분야의 정통이론을 통해 과학적이고 실증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구한말 동북아 패권경쟁의 격전장이었던 한반도가 21세기 미·중 경쟁의 험난한 파도를 어떻게 헤쳐나갈지. 모두의 지혜가 필요하다.
펼치기
이왕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런던정경대(LSE)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바이든 시기 중국의 다자외교 전망”, “동아시아 지역 정체성의 역사적 변화와 그 국제정치적 함의”, “중국 지경학의 기원-전한 시대 화친(和親)과 기미(羈縻)”, “수렴과 다양성/분기 이분법: 미중 패권 전이 논쟁에 주는 함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치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산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오스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세력확산의 국제정치: 국제 의회네트워크와 글로벌 무역 거버넌스〉, 〈Building Multilateralism on Bilateralism: Evidence from Networked Governance of FDIs in Asia〉 등이 있다.
펼치기
장지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문학사와 정치학 석사 학위를,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아산서원 교수를 지냈고 현재 아산정책연구원의 중동센터장으로 재직하면서 중동 사회의 변화를 감지하고 우리나라와의 정치·경제·사회적 영향과 관계성을 살피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 산업부, 법무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8년부터 <매일경제신문>에 중동 관련 칼럼을 기고하면서 중동 이슈를 전하고 대중의 이해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오랜 시간 중동을 연구하고 분석하고 있지만 빠르게 변하는 세계 속에서 늘 새롭고 들여다볼 주제가 넘쳐난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동 정치경제’, ‘정치 이슬람’, ‘비교 민주주의와 독재’, ‘극단주의 테러와 안보’, ‘국제개발협력’ 등이다. 대표 저서로 《중동 독재 정권의 말로와 북한의 미래》, 클레멘트 헨리(Clement Henry)와 공편한 《아랍의 봄: 민주화로 이어질 것인가?(The Arab Spring: Will It Lead to Democratic Transitions?)》 등이 있다.
펼치기
장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 재직 중이며, 관심 연구 영역은 러시아 권력엘리트, 선거와 정당, 한러관계 등이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겸임교수 등으로 활동 중이다. 장세호 박사는 러시아의 관점을 담고 있는 2장을 책임 집필하였다.
펼치기
최경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정치학 박사 2020, “핀란드와 에스토니아의 중간국 외교: 국가 정체성과 안보·경제 정책.” 『유럽연구』 2019, “Democratic Constitutions Against Democratization: Law and Administrative Reforms in Weimar Germany and Implications for New Democracie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2018, 『법집행의 정치: 신생민주주의 국가의 법집행과 공권력의 변화』 (서울: 도서출판 이조)
펼치기
김태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친 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석사와 사회정책학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고등국제학대학원(SAIS)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와세다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기획처 협력부처장과 아시아-아프리카센터 디렉터를 맡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대외협력실장, 지속가능발전연구소 운영위원, 국제대학원 부원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위원, 한국국제협력단 비상임이사,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UNESCO 컨설턴트, UNRISD 협력연구원, 국제개발협력학회 총무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 주제는 국제개발, 국제정치사회학, 평화학, 글로벌 남반구 연구, 글로벌 거버넌스 등을 포함하며 주요 저서로는 『한국-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 톺아보기: 한국적 이드와 서구적 에고를 넘어』, 『한반도 평화학: 보편성과 특수성의 전략적 연계』(편저), 『한국비판국제개발론: 국제開發의 發展적 성찰』, 『대항적 공존: 글로벌 책무성의 아시아적 재생산』, The Korean State and Social Policy: How South Korea Lifted Itself from Poverty and Dictatorship to Affluence and Democracy(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강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교수로,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중동·아프리카연구분과 위원장, 한국일보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동 국제관계, 중동 현대사이다.
펼치기
최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펼치기
박기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협력전공 겸임교수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