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개정 2판)

김상배, 송태은, 안태현, 박종희, 배영자, 전재성, 박성우, 조동준, 신범식, 이승주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개정 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707065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2-05-31

책 소개

기획 단계에서부터 학부생을 위한 교과서를 염두에 두고 집필된 이 책에서는 공공외교의 이론과 역사 이외에도 미디어 외교와 디지털 외교, 개발협력과 과학기술외교 등과 같은 신흥무대 위의 공공외교 이슈들을 다루었다.

목차

개정 2판 책머리에
책머리에

제1장 공공외교의 이론적 이해
I.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II. 공공외교의 개념과 이론
III. 공공외교의 세계정치: 매력론의 시각
IV. 중견국 공공외교 이론의 모색
V. 맺음말

제2장 공공외교의 역사적 이해
I. 공공외교의 시작과 시대적 배경
II. 양차대전기와 냉전기의 국가 프로파간다와 공공외교
III. 탈냉전기의 공공외교의 진화
IV. 미중 패권경쟁 시대의 공공외교

제3장 미디어 공공외교와 세계여론
I. 미디어와 공공외교
II. 미디어와 여론의 관계
III. 미디어 공공외교의 역할
IV. 매스미디어 시대의 공공외교
V.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공공외교
VI.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디어 공공외교

제4장 디지털 외교와 공공외교
I. 정보혁명과 외교의 변화
II. 정보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이해
III.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외교 변환
IV. 디지털 공공외교의 부상
V. 맺음말

제5장 문화외교와 공공외교
I. 들어가며
II. 문화 개념과 사례로 보는 문화외교와 공공외교
III. 맺음말

제6장 개발협력과 경제공공외교
I. 경제적 교류와 공공외교
II. 경제공공외교의 딜레마
III. 경제공공외교와 국가의 역할
IV. 맺음말

제7장 과학기술외교와 공공외교
I. 들어가며
II. 과학기술외교의 부상
III. 주요국 과학기술외교
IV. 한국 과학기술외교와 공공외교
V. 맺음말

제8장 군사외교와 군사공공외교
I. 국가 안보전략의 일환으로서 군사외교와 군사공공외교
II. 군사외교의 개념과 내용
III. 한국의 군사외교
IV. 군사공공외교의 개념과 내용
V. 국제연합(UN)의 평화활동과 군사공공외교
VI. 다자기구 참여를 통한 한국의 군사공공외교
VII. 맺음말

제9장 가치규범의 공공외교
I. 서론: 가치, 규범, 공공외교
II. 평화의 가치규범과 공공외교
III. 인권과 민주주의 가치와 공공외교
IV. 기후변화규범과 공공외교
V. 맺음말: 가치규범 공공외교와 한국

제10장 세계정치의 장(場)과 대규모 행사를 활용한 공공외교
I. 머리말
II. 19세기 지구화와 세계정치의 혁신
III. 현대 세계정치의 장(場)과 공공외교
IV. 대규모 행사(mega-event)와 공공외교
V. 맺음말

제11장 디아스포라와 공공외교
I. 머리말
II. 공공외교 자산으로서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III. 디아스포라의 역할과 공공외교 전략
IV. 한국 디아스포라 공공외교의 실재
V. 맺음말: 한국 디아스포라 공공외교의 과제

제12장 국민외교와 네트워크 공공외교
I. 머리말
II. 세계정치의 변환과 공공외교 패러다임의 변화
III. 네트워크 공공외교: 행위자와 매체의 다양화
IV. 네트워크 공공외교의 국내적 차원
V. 맺음말

저자소개

배영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 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근무하였고 현재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대만국립대학교 방문교수였으며, 외교부 경제안보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통령실 경제안보 자문위원을 지냈고 과학기술과 세계정치가 만나는 주제, 과학기술외교, 반도체의 세계정치, 첨단기술과 경제안보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배영자의 다른 책 >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조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미국 펜실배니아주립대 정치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부원장 주요 논저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국제정치논총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평화학연구 (2019). “Bringing International Anti-Landmine Norms to Domestic Politics.” Review of Korean Studies (2008). “Bargaining,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state Disput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009).
펼치기
조동준의 다른 책 >
박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아렌트, 니체, 스트라우스의 관점에서 플라톤 정치철학을 재조명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조교수, 부교수를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고, 서울대학교 국제정치사상센터장을 맡고 있다. 연구 분야는 고전정치철학과 국제정치사상이며, 양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도 개척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는 ≪국가: 플라톤≫(2022),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2014)가 있으며, 책임 편집한 책으로 ≪동굴 속의 철학자들≫(2021), ≪정치사상사 속 제국≫(2019) 등이 있다. 스트라우스와 관련된 논문으로 “스트라우스의 니체 해석을 통해 본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의도”, “레오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트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2007년 워싱턴대학교(세인트루이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시카고대학에서 정치학과 조교수로 근무했으며 2012년부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국제정치경제와 사회과학 방법론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주제로는 국제무역, 경제안보, 베이지안 사회과학 방법론,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메타분석, 국제뉴스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실험방법을 이용한 외교정책 태도 연구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과학자를 위한 데이터 과학』, 『정치학 방법론 핸드북』(편), 『개발협력의 세계정치』(편)가 있으며 국내외 주요 저널에 다수의 논문(http://jhp.snu.ac.kr 참조)을 발표한바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경제안보클러스터 연구책임자와 국제문제연구소의 국제정치데이터센터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송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외교원 교수이다.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이버작전사령부 자문위원, 한국국제정치학회 신기술·사이버안보연구분과 위원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사이버외교안보연구실장 등을 맡고 있다. 현재 국립외교원 국제안보통일연구부에서 신흥안보 분야와 과학기술외교 분야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데이터 안보의 복합지정학』, 『사이버안보의 국제정치학』,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신흥기술·사이버안보의 국가전략』, 『미래전의 도전과 항공우주산업』 등의 공저를 출간했다.
펼치기
이승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South Korea’s Economic Statecraft in a Risky High-Tech World”(2022), “Changes in Interdependenc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New Dynamics of the East Asian Regional Order”(2022), 『패권의 미래: 미중 전략 경쟁과 새로운 국제 질서』(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주의 다른 책 >
안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플라톤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누스바움 연구의 변화와 특징: 인간과 행복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정치적 해법”(2020), “문화외교와 공공외교(『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 중)”(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