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본과 노동

자본과 노동

(마르크스의 숨겨진 자본론 입문)

요한 모스트 (지은이), 오타니 데이노스케, 정연소 (옮긴이), 카를 마르크스
한울(한울아카데미)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4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본과 노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본과 노동 (마르크스의 숨겨진 자본론 입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46056985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4-07-10

책 소개

마르크스는 누누이 노동자를 대상으로 『자본론』을 썼다고 했다. 하지만 그렇게 말하면서도 자신의 풍부한 교양을 억누르지 않고 종횡무진으로 구사하며 엄밀한 과학적 방법으로 서술한 이 책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평범한 노동자가 쉽게 이해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목차

옮긴이의 글
일본어판 서문
범례
이 책의 내력 / 이 책의 주요 표시

[자본과 노동―카를 마르크스 저 <자본론>의 알기 쉬운 다이제스트]

머리말
상품과 화폐
자본과 노동
자본주의적 생산의 기초
노동일
협업과 분업
대공업
공장제도 발전의 여러 결과
임금
자본의 재생산과정과 축적과정
자본주의적 인구법칙
자본주의적 과잉인구의 여러 형태
현대 자본의 기원
맺음말

[<자본과 노동> 제2판의 성립과 마르크스 자용본의 내력]

1. 선동가였던 요한 모스트
2. <다이제스트>의 제작과 인쇄 상황
3. 과학을 이해하는 서술
4. 마르크스에 의한 <다이제스트>의 개정
5. 개정판에 대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태도
6. 마르크스 자용본의 내력에 대해

일본어판 후기
찾아보기
옮긴이

저자소개

요한 모스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과 독일어권 아나키즘 운동의 선구자. 1860년대 스위스에서 사회주의 활동가로서 등장해 70년대에는 독일에서 제국의회 의원, 저널리스트, 연설가 등으로 활동. 비스마르크 정권의 「사회주의자 단속법」을 피해 런던으로 건너가 {프라이하이트}를 창간했다. 그 후 뉴욕으로 거점을 옮겨 미국 아나키즘 운동 조직결성을 주도했다. 1906년 미국 신시내티에서 연설 여행 도중 사망했다.
펼치기
오타니 데이노스케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34년 도쿄 출생 1953년 릿쿄 대학(立敎大學) 경제학부 졸업, 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진학 1962년 도요 대학(東洋大學) 조수로 취임, 동 대학 강사, 조교수 1974년 호세이 대학(法政大學) 경제학부 교수 취임 1974~1985년 구루마 사메조(久留間鮫造) 편 『마르크스경제학 렉시콘』 전15권의 편집작업에 협력 1980~1982년 암스테르담의 사회사 국제연구소에서 『자본론』 초고 조사, 이후 『자본론』 초고에 대해 30편 이상의 논고 발표 1994년 논문 「이자 낳는 자본과 신용제도: 『자본론』 제3부 초고의 고증적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 취득 1992년~ 국제마르크스·엥겔스재단(암스테르담) 편집위원 1998년~ 동 재단 일본 MEGA 편집위원회 대표 2001~2007년 경제이론학회(Japan Society of Political Economy) 대표간사 2005년 호세이 대학 정년퇴직, 명예교수 저·편·역서 - マルクス, 『資本論草稿集』, 大月書店(日本語への共訳), 1978~1994 - マルクス, 『資本の流通過程』, 大月書店(日本語への共訳), 1982 - モスト 原著, マルクス改訂 『資本論入門』, 岩波書店(日本語への翻訳), 1986 - 『ソ連の「社会主義」とは何だったのか』, 大月書店(共編著), 1996 - チャトパディアイ, 『ソ連国家資本主義論』, 大月書店(日本語への共訳), 1999 - 『図解 社会経済学』, 桜井書店, 2001 - 『マルクスに拠ってマルクスを編む― 久留間鮫造と 「マルクス経済学レキシコン」』, 大月書店, 2003 - 『21世紀とマルクス― 資本システム批判の方法と理論』, 桜井書店 編著, 2007 - MEGA(Marx-Engels-Gesamtausgabe). Abt.2, Bd.11: Manuskripte zum zweiten Buch des “Kapitals” 1868 bis 1881. Bearbeitet von Teinosuke Otani, Ljudmila Vasina und Carl-Erich Vollgraf. Akademie Verlag, Berlin, 2008
펼치기
정연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27년 경북 포항시 북구 기계 출생 1940년 경북 포항시 북구 기계소학교 졸업, 도일 1949년 구제(舊制) 제3고등학교 이과 1년 수료 1959년 도쿄 대학(東京大學) 경제학부 졸업, 대학원 경제연구과로 진학 1959~1961년 도쿄 대학 대학원 경제연구과 수사과정 수료 1961~1982년 조센 대학(朝鮮大學) 정치경제학부 전임강사, 조교수, 교수 1964~1985년 재일조선인과학자협회 중앙상임위원회 위원 1982~1991년 조센 대학 경영학부 초대 학부장, 교수 1985~1998년 재일조선사회과학자협회 부회장 1991~2001년 조센 대학 강사 저·편·역서 - 「『韓日経済協力』と日本独占資本主義の南朝鮮への再進出」, 『売国的 「韓日条約」は無効である』, 朝鮮にかんする研究資料 第13集, 朝鮮大学校, 1965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国家·社会体制』,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経済法学研究所 編, 在日本朝鮮人科学者協会社会科学部門法制部会 訳, 日本評論社(日本語への共訳), 1966 - 「経済の軍事化が再生産におよぼす影響について」, 経済理論学会 編, 『軍拡と軍縮の政治経済学』, 青木書店, 1985 - 「환태평양 경제권에 대하여」, 『사회과학론문집』, 재일조선사회과학자협회, 1992 - 「현대 자본주의의 변용과 전망」, 한국사회경제학회 편, 『시장과 정치경제학』, 한국사회경제학회, 2002 - 「현대사회가 내포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한국사회경제학회 편, 『금융세계화와 한국적 기업지배구조』, 한국사회경제학회, 2003. - 「‘동아세아 공동체’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1997년 이후 한국사회의 빈곤문제』. 한국사회경제학회, 2005 - 「『朴正熙体制』の経済的 成果に関する 韓国マルクス経済学界の論争」, ≪季刊経済理論≫, 第43巻 第1号, 桜井書店, 2006
펼치기
카를 마르크스 ()    정보 더보기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책속에서

마르크스의 개정작업은 어중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제1판의 부정확한 표현과 서술을 정정한 것은 물론, 중요한 부분에 <자본론>의 내용을 독자에게 정확히 전하기 위하여 마르크스 스스로 많은 내용을 새로 가필했습니다. 또한 <자본론>에서 발췌한 부분이라도 알기 쉽게 또는 정확하게 하기 위해 고쳤습니다. 작은 팸플릿임에도 새로 대폭 가필한 부분 외에도 마르크스가 손을 댄 부분은 300곳을 넘습니다.
- 일본어판 서문에서


인간이 자기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려고 내놓기 위해서는, 그는 무엇보다도 먼저 노동력을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한 사람의 자유로운 인격이라야 합니다. 또한 자유로운 인격으로 계속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는 노동력을 항상 시간당으로 팔 수밖에 없습니다. 노동력을 한 번에 다 팔아버리면 그는 자유인에서 노예로, 상품소지자에서 상품이 되어버리고 말 것입니다.
- 본문(마르크스 가필부분) 중에서


자본가는 재화를 자가소비를 위해서가 아니라 시장용으로 제조합니다. 다시 말해 그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에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가치 총액보다도 큰 가치를 갖는 상품을 제조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자본가는 잉여가치를 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 본문(마르크스 가필부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