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46073005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5-03
책 소개
목차
제1장 우주공간의 복합지정학: 전략·산업·규범의 3차원 경쟁_ 김상배
제1부 주요국의 우주전략
제2장 트럼프 행정부 이후 미국 우주정책: ‘뉴스페이스’와 ‘신우주경쟁’에 따른 변화의 추세_ 최정훈
제3장 중국의 우주전략과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_ 김지이
제4장 러시아의 우주전략: 우주프로그램의 핵심 과제와 우주 분야 국제협력의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_ 알리나 쉬만스카
제5장 자강불식의 유럽연합: 우주공간의 전략·산업·규범을 중심으로_ 한상현
제2부우주경쟁의 세계정치
제6장 글로벌 우주 군사력 경쟁과 우주군 창설_ 이강규
제7장 미중 복합 우주경쟁: 경제?안보 연계의 다면성_ 이승주
제8장 위성항법시스템의 국제 경쟁과 국제협력_ 안형준
제9장 미러 우주 항법체계 경쟁에 대한 러시아의 대응: 복합지정학의 시각_ 알리나 쉬만스카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의 우주공간을 냉전기를 배경으로 한 고전 지정학의 시각으로만 보아서는 안 된다. 우주는 기본적으로 일국의 주권적·지리적 경계를 넘어서는 탈지정학의 공간인 데다가, 최근에는 탈지정학 공간으로서 사이버공간과 밀접히 연계되고 있다. 또한 뉴스페이스의 등장은 우주공간을 자유주의적 비지정학의 초국적 비즈니스와 국제협력의 공간으로 인식케 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우주 문제를 안보화하는 구성주의적 비판 지정학의 동학도 작동한다. 이렇듯 우주공간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세계정치의 다양성은 이 글이 복합지정학의 시각을 원용한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_ 제1장 “우주공간의 복합지정학”
주의해야 할 점은, 중국은 우주 공간에 대한 평화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나 실상 우주의 무기화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베이더우 시스템 군사용 버전의 정밀도 향상과 오차범위 축소 노력 등이 있겠다. 따라서 공식적으로는 군사안보 분야에 관한 언급을 꺼리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누구보다 발 빠르게 앞장서고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_ 제3장 “중국의 우주전략과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
우주력은 국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인 동시에 국력의 핵심적 기반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우주력의 강약과 국력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러시아의 위성 운용 능력 감소,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기지 사용이나 위성에 필요한 전자부품의 높은 수입 비율 등 우주영역 전반에 걸친 지나친 해외 의존, 그리고 미국과 유럽연합의 적극적인 우주 외교정책은 러시아의 국력이 흔들리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에 대응해 러시아 정부는 자국의 국력을 제고하고 러시아의 강대국 지위를 다시금 입증하기 위하여 우주역량 회복을 시도하고 적극적인 우주 외교를 진행하고 있다._ 제4장 “러시아의 우주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