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7385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2-07-2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1강 사회변동 이론의 조망: 세계체계 분석과 역사적 자본주의(백승욱)
2강 고전적 자유주의에서 케인스주의적 자유주의로(구본우)
3강 케인스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전환(박찬종)
4강 신자유주의적 전환과 금융 세계화(윤종희)
5강 한국 자본주의의 변동: 발전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김명수)
저자소개
책속에서
유럽 중심주의적 시선은 그대로 근대 사회과학에도 드러납니다. 비유럽 세계를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더라도, 유럽의 과거가 비유럽의 현재이고 비유럽의 미래가 유럽의 현재라는 시선으로 모든 문제를 다루기 시작하면서 비유럽 세계는 현재 지금의 사회과학의 분석 범위에서 사실상 사라지게 되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전 지구적 시각에서 파악하는 것은 어려워집니다. 그런데 이처럼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전 지구적 시야를 확보한다는 것이 생각처럼 간단한 일은 아닙니다. 근대 세계체계가 유럽을 중심으로 전 지구적으로 팽창해 오면서 유럽 중심의 근대성을 전 지구적으로 각인시킨 지배적 역사가 아직도 관철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우리의 과제는 이중적인 것이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_1강 사회변동 이론의 조망
20세기 자유주의는 개인이 공동체 내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자유롭게 실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각 개인 사이의 관계를 공동체 차원에서 관리하는 과제를 동시에 추구했습니다. 그런데 좀 더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갈수록 이 두 규범의 공존에는 의문이 발생합니다. 첫 번째는 공동체의 범위 문제입니다. 개인이 자신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것이 있을 때 어떤 공동체가 그것을 보호해 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두 번째는 어떤 개인이 추구하려는 가치를 사회적으로 보호하고, 다른 개인이 중시하는 가치를 사회가 제한해야 한다면 그 기준과 정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_2강 고전적 자유주의에서 케인스주의적 자유주의로
케인스주의가 금융의 억압을 조건으로서 해서 산업적 성장과 고용을 목표로 하는 재정정책을 중심으로 실행되었다면, 신자유주의는 금융의 해방과 자유화를 조건으로 해서 인플레이션 억제와 금융시장의 성장을 목표로 하는 통화정책을 중심으로 실행된다는 것입니다. 통상적으로 오해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둘 사이의 차이가 경제에 대한 국가 개입 여부에 있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국가의 경제 관리는 자본주의의 존재조건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국가 개입의 형태와 양상이지요. _3강 케인스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