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울리뷰오브북스 11호

서울리뷰오브북스 11호

김민재, 김학재, 백승욱, 우동현, 김주희, 권보드래, 홍성욱, 구정연, 이승우, 권석준, 김두얼, 정우현, 박훈, 박진호, 박선영, 진은영, 윤경희, 송지우 (지은이),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은이)
서울리뷰오브북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울리뷰오브북스 11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울리뷰오브북스 11호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91197689772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9-15

책 소개

《서울리뷰오브북스》(이하 《서리북》) 11호가 출간되었다. 11호의 특집 주제는 ‘냉전과 신냉전 사이’이다. 정전 협정 70주년을 상기하며 준비한 이번 특집 리뷰에서는 ‘냉전과 신냉전’을 다각도로 살피는 여섯 권의 책을 소개한다.

목차

편집실에서 ∥ 심채경

특집 리뷰 : 냉전과 신냉전 사이
신냉전 시대, 파란만장한 첸쉐썬의 인생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 김민재
냉전의 역사 서술은 어떤 균형점을 향하고 있는가 ∥ 김학재
중국 시진핑 시대의 방향을 읽어 낼 핵심어 ‘항미원조’ ∥ 백승욱
승리하는 비결 ∥ 우동현
낡은 것은 가지 않고 새것도 아직 오지 않은 ∥ 김주희
『닥터 지바고』와 냉전의 비밀 ∥ 권보드래

이마고 문디 : 이미지로 읽는 세계
과학의 죄를 묻다 ∥ 홍성욱

디자인 리뷰
태도로서 유통을 사유하기 ∥ 구정연

북&메이커
편집자와 저자가 함께 펼치는 ‘정신의 향연’ ∥ 이승우

리뷰
사유 방식으로서의 과학 공부, 그리고 그 한계 ∥ 권석준
분노, 열정, 아쉬움 ∥ 김두얼
유전 vs. 환경, 무엇이 웃음을 닮게 하는가 ∥ 정우현
‘친○ 개혁’의 주체성과 한국 근대사 서술 ∥ 박훈
한 국어학자가 경험한, 우리 말과 글에 대한 연구와 정책의 역사 ∥ 박진호
입문자에게는 자극적인, 정치적인 미식 ∥ 박선영

문학
술병과 찢어진 책들 ∥ 진은영
카프카의 새벽 ∥ 윤경희
비교 불가 시네이드 오코너 ∥ 송지우

지금 읽고 있습니다

신간 책꽂이

저자소개

백승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한신대 중국지역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대중국학회 부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중국의 노동자와 노동 정책』, 『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생각하는 마르크스』, 『자본주의 역사 강의』, 『1991년 잊힌 퇴조의 출발점』, 『연결된 위기』(출간 예정) 등이 있다.
펼치기
권보드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190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이르는 한국의 문학.문화를 공부하면서 '지금 여기의 기원'을 탐사해 왔다. 지금은 번역과 세계성의 변용, 북한문학과 세계문학 등의 주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2000), 『1960년을 묻다』(공저, 2012), 『3월 1일의 밤』(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권보드래의 다른 책 >
홍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과학기술학자. 기술재난을 분석한 『우리는 재난을 모른다』를 출간했다. 토머스 쿤과 브뤼노 라투르의 저서를 번역하고 있으며, 조만간 파놉티콘과 전자감시에 대한 논의를 21세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시기로 확대해서 다룬 『파놉티콘: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출간 예정이다.
펼치기
진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0년 《문학과 사회》 봄호로 등단했다. 시집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우리는 매일매일』 『훔쳐가는 노래』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를 출간했고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천상병 시문학상, 백석문학상 등을 받았다. 실비아 플라스의 소설 『메리 벤투라와 아홉 번째 왕국』과 시집 『에어리얼』을 우리말로 옮겼다.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시를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도쿄대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뒤, 국민대 일본학과를 거쳐 현재 서울대 역사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19세기 일본과 동아시아의 정치체제 비교, 일본인의 대외 인식과 내셔널리즘의 형성 과정을 연구해왔다. 저서로 《위험한 일본책》,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메이지 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등이 있다.
펼치기
구정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술가의 집단적 실천과 지식 생산 및 유통 형태에 관심을 두고 이를 연구한다. 국민대학교 제로원디자인센터에서 큐레이터를 거쳐, 미디어버스와 더 북 소사이어티에서 공동 디렉터로 활동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MMCA 작가연구 총서 및 출판 지침, 한국 근현대 미술 개론서 『한국미술 1900-2020』 등 학술 연구 및 공공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 교육연구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구정연의 다른 책 >
윤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교문학 연구자.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브라운대학교에서 비교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파리8대학교 정신분석학 석사과정과 비교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2017년 현재 박사 논문을 작성하면서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서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펼치기
김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대 차미리사교양대학 교수이자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비온뒤무지개재단의 이사이다. 『레이디 크레딧』(2020), 『디지털 시대의 페미니즘』(2024, 공저), 『‘위안부’ 더 많은 논쟁을 할 책임』(2024, 공저), 『불처벌』(2022, 공저) 등을 썼고, 여성주의 관점에서 한국 자본주의 발전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김주희의 다른 책 >
우동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역사학 및 디지털 역사학 분야 조교수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UCLA에서 아시아언어문화학(한국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인 연구자 최초로 ≪The Historical Journal≫에 논문을 게재했고, 모두 7편의 역서 및 공역서를 펴냈다. 냉전사, 환경사, 핵 역사, 디지털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박진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지 편집위원. 언어학자. 서울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공저로 『한국어 통사론의 현상과 이론』,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사전』, 『인문학을 위한 컴퓨터』 등이 있다.
펼치기
박진호의 다른 책 >
권석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대에서 학・석사, MIT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첨단소재연구본부에서 선, 책임연구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반도체융합공학과, 미래에너지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차세대 반도체 소재 및 공정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대표 저서로는 『반도체 삼국지』 『차세대 반도체』가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전략기술 기획 및 평가 위원회, 기획재정부 공급망안정화위원회 등에 소속되어 한국의 첨단 산업 및 과학기술 관련 정책 기획, 전략 수립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권석준의 다른 책 >
김민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과학 칼럼니스트.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와 킬대학교에서 천체물리학 전공으로 석·박사를 마쳤다. 현재 영국 워릭대학교 물리학과 영국 왕립 학회 펠로우로 근무하고 있으며, 유럽우주국 MIDAS/Rosetta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이언스타임즈》에서 과학 전문 기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승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경기도 수원에서 태어나 성균관대 유학과(儒學科)를 졸업했다. 1995년 ㈜도서출판 한길사에 입사해 기획과 편집, 홍보 업무를 담당했으며, 2003년 현재의 도서출판 길에 입사해 기획실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2008년 한국출판인회의 선정 ‘올해의 출판인’ 편집 부문을 수상한 바 있으며, 2022년에는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이 제정한 제1회 ‘한국출판편집자상’ 대상을 수상했다. 서울예술대 문예창작과 강사로도 있었다.
펼치기
박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학자. 경제학을 사랑한다. 현재 동국대학교 경제학과로 재직 중이다. 이전에 카이스트, 자본시장연구원에서 근무했고, 우리 사회를 위한 경제 정책을 만드는 데 관심이 많다. 잘못된 통념을 바꾸고, 내러티브를 변화시킴으로써 올바른 의제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펼치기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어떤’ 책을 ‘왜’ 읽어야 하는가? 2021년 3월 창간한 서평 전문지 《서울리뷰오브북스》는 그 답을 서평에서 찾는다. 《서울리뷰오브북스》는 ‘한국에도 역사와 전통이 살아 있는 서평지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담아 탄생했다. 사회학, 인류학, 경제학, 자연과학, 역사, 문학, 과학기술학, 철학, 건축학, 언어학, 정치학, 공학, 생물학, 법조, 북디자인, 미술 등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인 17명의 편집위원이 뜻을 모아 함께 만든다. 중요한 책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을 제대로 짚고, 널리 알려졌지만 내용이 부실한 책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며, 주목받지 못한 책은 발굴해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펼치기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부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달 탐사뿐 아니라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신냉전 시대를 우리는 맞이하고 있다. 《서울리뷰오브북스》 11호에서는 정전 협정 70주년을 상기하며 냉전과 신냉전 사이를 다루는 텍스트를 읽는 특집을 마련했다. 냉전의 기원과 종식, 그리고 냉전이 남긴 것에 대해 돌아보고자 함이다. (……) 하나의 주제를 다각도에서 조명하고 다층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 특집 서평의 묘미라면, 이번 호도 틀림없다.
―심채경 「편집실에서」


과학과 공학 그리고 과학자와 공학자들의 미래는 그가 속한 사회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통해서 과학과 정치가 분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과학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따라서 학문을 좌우하는 것은 온전히 학문 그 자체여야 한다.
―김민재 「신냉전 시대, 파란만장한 첸쉐썬의 인생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