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지동, 교육에서 청나라의 미래를 찾다

장지동, 교육에서 청나라의 미래를 찾다

(『권학편』의 구상과 「학무강요」의 실천)

장지동 (지은이), 이병인 (편역)
한울(한울아카데미)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0% 0원
360원
35,6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지동, 교육에서 청나라의 미래를 찾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지동, 교육에서 청나라의 미래를 찾다 (『권학편』의 구상과 「학무강요」의 실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4607468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08-31

책 소개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인 장지동은 근대 중국의 나아갈 길을 고민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한 사람으로, 청조를 옹호하면서 옛 문화를 존숭하고 새로운 것을 점진적으로 받아들이는 방식의 근대 개혁을 추구하였다. 편역자 이병인은 이 책을 3부로 나누어 그의 교육관 등의 사상을 정리하였다.

목차

중국근현대사학회 연구총서 간행사
책을 엮으며

제1부 장지동과 교육개혁 _이병인
제1장 장지동의 구상과 그 유산
제2장 『권학편』의 국가 중건 구상과 문화 전환
제3장 장지동과 계묘학제

제2부 『권학편(勸學篇)』 _장지동
서문

권학편 상, 내편
제1장 단합된 마음 /同心
제2장 충성심 교육 /敎忠
제3장 윤리 확립 /明綱
제4장 정체성 인식 /知類
제5장 판단의 기준, 경전 /宗經
제6장 국가권력 확립 /正權
제7장 배움의 순서 /順序
제8장 학문의 핵심 학습법 /守約
제9장 아편 근절 /去毒

권학편 하, 외편
제1장 지혜 증진 /益智
제2장 유학 /游學
제3장 학당 설립 /設學
제4장 학제 /學制
제5장 번역 진흥 /廣譯
제6장 신문 열람 /閱報
제7장 제도 개혁 /變法
제8장 과거제도 개혁 /變科擧
제9장 농학․공학․상학 /農工商學
제10장 군사학 /兵學
제11장 광업학 /鑛學
제12장 철도 /鐵路
제13장 회통 /會通
제14장 군축론 비판 /非弭兵
제15장 종교적 관용 /非攻敎

제3부 계묘학제(癸卯學制)의 「학무강요(學務綱要)」_장백희․장지동․영경

편역을 마무리하며
참고자료 1 『권학편』에서 인용한 서적 소개
참고자료 2 『권학편』에서 언급한 인물 소개
찾아보기

저자소개

장지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나라 말기 양무파 관료. 증국번, 이홍장, 좌종당과 함께 청말 4대 명신으로 꼽힌다. 1863년 전시에서 3등으로 진사로 급제하여 한림원 편수에 제수된 후, 양광(광동성과 광서성) 총독, 호광(호남성과 호북성) 총독, 양강(강남성과 강소성) 총독, 군기대신, 본인각 대학사 등을 역임했다. 공직 진출 초기에는 이홍장 등 양무파를 비판했으나, 1881년 산서순무 시절부터 양무파로 입장을 전향해서 후기 양무파의 주요 인사가 되었다. 재임시절 교육과 치안에 주력했고 근대적 경찰제도 수립을 주도했으며 실업 진흥에도 힘썼다. 특히 1890년대 중반 양무인재 육성을 위해 농업, 공업, 상업, 외국어, 사범 등 분야의 신식학당을 다수 설립했고 일본·영국·프랑스·독일 등지로의 유학생 파견을 주도했다. 양광, 호광 총독시절 유신인사에 호감을 느껴 중용했지만 후에 유신 세력이 성장하자 이들과 갈라섰다. 1895년에 『권학편』을 써서 반反유신의 입장을 표방하고 양무파의 의견을 대변했다. 1901년 청말 신정의 주요 정책을 입안했고, 1903년엔 일본학제를 모방한 근대적 학제인 계묘학제癸卯學制를 설계했다. 1909년 문양공文襄公에 시호를 받았다.
펼치기
장지동의 다른 책 >
이병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근대 중국의 국가와 사회관계, 거버넌스 문제이다. 상해의 상회 같은 민간단체와 국민정부의 관계 등을 연구했다. 최근에는 청 말부터 중화민국 시기의 교육 목표, 교육행정제도, 교육회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근대 상해의 민간단체와 국가』(창비, 2006), 『100가지 주제로 본 중국의 역사』(공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7), 『제국의 학술기획과 만주』(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등의 저역서와 교육회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으며, 중학 역사, 고등 세계사 등 교과서 저술에 참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권학편』은 청 말의 상황에서 출현하고 중국근대사에 영향을 끼친 저작이지만, 장지동이 직면했던 중국 전통 문화의 보존과 전환, 혹은 폐기란 고민은 현재의 중국에서도 여전히 지속되었다. 장지동이 공자의 가르침이 사라질까 고민했다면, 이제 자신감과 경제적 부흥을 달성한 중국은 역으로 중국 문화를 보편적 문화로서 확장시켜 현대 국가의 문화로서 자리 잡게 하려고 노력하는 것처럼 보인다. _ 제1부 제1장_ 장지동의 구상과 그 유산


장지동의 『권학편』은 변화하는 중체서용론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장지동은 중국 학문과 서양 학문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수용해야 할 학문의 범위를 서양의 정치제도로 확장했다. 장지동의 중체서용론은 중국 학문을 개인의 내적인 문제로 한정하여 서양 학문의 수용 가능성을 무한정 확장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 이러한 주장은 장지동이 중국의 문화 보존에 집착하는 양무파적 성격보다 개혁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이처럼 중체서용론의 단계적 구분과 특징 파악은 중국의 지식인들이 개혁을 어떤 방향으로 확대시켜 왔는가를 파악하고, 중체서용적 개혁 구상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제1부 제2장_ 『권학편』의 국가 중건 구상과 문화 전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