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47541497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6-10-28
책 소개
목차
서문 연결된, 그러나 사회적이지 않은, 新 개인의 탄생
특별기획 지난 15년, 한국 소비자들은 어떻게 변했나?
Part 1. 가성비: ‘가성비’의 나비효과
1. 돈도 시간도 효율, 또 효율
2. 꼼꼼히 따지고 검색해서 내린 결정
3. 같은 값이면 그래도 브랜드
4. 실속만 챙기겠다, 노 브랜드의 반란
5. 편의점에서 집밥의 향기를 느끼다
6. 똑똑한 소비, B급 제품의 재발견
Part 2. 희소성 vs. 대중성: 샤넬은 왜 온라인 시장에 진출했을까
1. 나도 명품 하나쯤은
2. 새로운 지름의 현장, 면세점
3. 아웃렛, 존재감을 드러내다
4. 더 맛있는 녀석들
Part 3. 리얼리티: 우리가 리얼리티에 열광하는 이유
1. 마음을 터놓기가 어려운 사람들
2. 결혼하지 않음을 선택하다
3. 혼밥, 혼술하며 산다
4. 덕후의 취향, 존중해 주시죠
5. 예능 덕분에 웃습니다
6. 그 영화 봤어?
7. 내 삶이 곧 드라마 아닐까
8. 취향 저격 멜로디
9. 종이책과 전자책 사이
10. 집순이들의 천국
Part 4. 조직 문화 vs. 감정 : 지금, 회사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1. 참을 수 없는 불안의 괴로움
2. 직장 상사, 그 애증의 이름
3. 나도 꿈이 있는 사람이라고요
4.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5. 대학을 생각하다
6. 로봇과의 밥그릇 싸움이 시작됐다
7. 스마트폰에 감염된 좀비들
Part 5. 공동체 붕괴: 타인의 삶에 개입하지 않기
1. 나의 대한민국, 당신의 대한민국
2. 낳는 게 다가 아니잖아요
3. 복지에 대한 여러 생각들
4. 국가가 생활비를 준다고?
5. 헬조선을 떠나고 싶다
6. 날 위한 정치
7. 시끄러운 이웃들
8.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지만
9. 우리 집, 우리 동네 그리고 부동산
10. 사람이 제일 무섭다
11.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그 병
12. 외모가 스펙이 된 시대
미주
_특별부록 《한국 소비자, 15년의 변화를 읽다》
1. 의식주의 변화
2. 정치, 경제, 미래 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
3. 교육, 환경, 직장 생활에 대한 인식 변화
4. 여가 및 인터넷 라이프 관련 인식 변화
5. 결혼, 성(性) 및 인생관 관련 인식 변화
6. 정보 및 광고 수용 태도 관련 인식 변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재 중심적’이면서 ‘개인의 감정과 경험’을 ‘사회관계에서의 역할’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은 지난 15년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변화다. 사회관계의 ‘고정된 역할’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은 ‘대중 시선’에 신경 쓰지 않으면서 ‘자신만의 관점(또는 삶의 태도)’을 지키려는 시도가 과거에 비해 강해진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개성’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말이다. 이 변화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바로 ‘옷을 고를 때’다. _<15년이 지난 오늘, 한국 사회는 어떻게 변했나> 중에서
브랜드의 이름값만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결정하는 소비자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게다가 소비자의 정보력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정확해졌으며, SNS와 블로그 등을 통한 정보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브랜드라는 허울만으로 소비자들을 현혹시키기가 더욱 더 어려워졌다. _<꼼꼼히 따지고 검색해서 내린 결정>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