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논어 3

논어 3

주희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11,700원 -10% 2,500원
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논어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4970545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임동석 중국사상 시리즈 논어편.「논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문답록으로 그 제자들이 서로 논의하여 편집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공자의 언행록, 즉 인간이나 인생, 정치에 대한 감상이나 의견을 수록한 책이다. 공자의 74년 생애는 불운의 연속이었지만 그 불우한 삶 속에서 좌절하지 않고 의연한 자세로 일관해 자기계발을 잊지 않았던 공자의 삶의 방식과 사상이 그대로 스며들어 있다.

목차

043한시외전3권

卷八 : 총 35 장 (223 - 257)

223(8-1) 越王勾踐使廉稽獻民於荊王 나라마다 다른 풍습
224(8-2) 人之所以好富貴安樂 사람에게 있어서 가장 귀중한 것
225(8-3) 吳人伐楚 나의 생업은 푸줏간 일
226(8-4) 齊崔?弑莊公 임금을 위해 죽는다는 것
227(8-5) 遜而直 간언의 방법
228(8-6) 宋萬與莊公戰 횡포와 용기
229(8-7) 可於君 충과 효의 차이
230(8-8) 黃帝卽位 황제와 봉황새
231(8-9) 魏文侯有子曰擊 위 문후의 두 아들
232(8-10) 子賤治單父 복자천의 행정
233(8-11) 度地圖居以立國 나라의 기틀 세우기
234(8-12) 齊景公使人於楚 높은 누각은 없지만
235(8-13) 傳曰予小子使爾繼邵公之後 아홉 가지 상품
236(8-14) 齊景公謂子貢曰 태산과 같은 공자
237(8-15) 一穀不升謂之겸(食+兼) 흉년의 임금 밥상
238(8-16) 古者天子爲諸侯受封 제후의 봉지
239(8-17) 梁山崩 양산이 무너지다
240(8-18) 晉平公使范昭觀齊國之政 임금을 시험하다니
241(8-19) 三公者何 삼공이 하는 일
242(8-20) 夫賢君之治也 태평시대는 천재지변도 없다
243(8-21) 昨日何生 하루하루의 다짐
244(8-22) 官怠於有成 병은 나아갈 때가 위험하다
245(8-23) 孔子燕居 군자의 휴식
246(8-24) 魯哀公問?有曰 배워야만 됩니까
247(8-25) 曾子有過 증자 아버지의 매질
248(8-26) 齊景公使人爲弓 삼년을 걸쳐 만든 활
249(8-27) 齊有得罪於景公者 끔찍한 선례를 남길 수 없다
250(8-28) 傳曰居處齊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면
251(8-29) 魏文侯問狐卷子曰 사람의 도움이란 한계가 있는 것
252(8-30) 湯作濩 탕 임금의 음악
253(8-31) 孔子曰易先同人 겸손의 도
254(8-32) 昔者田子方出 늙고 병든 말
255(8-33) 齊莊公出獵 당랑거철
256(8-34) 魏文侯問李克曰 남에게 미움을 사지 않는 법
257(8-35) 有鳥於此 갈대 줄기에 둥지를 튼 새
卷九 : 총 28 장 (258 - 285)

258(9-1) 孟子少時誦 맹자 어머니의 가르침
259(9-2) 田子爲相 의롭지 못한 재물
260(9-3) 孔子行聞哭聲甚悲 어버이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
261(9-4) 伯牙鼓琴 백아와 종자기
262(9-5) 秦攻魏破之 천금을 거부한 유모
263(9-6) 子路曰人善我 공자의 제자들
264(9-7) 齊景公縱酒 통치의 근본
265(9-8) 傳曰堂衣若?孔子之門 공자에게 오만한 당의약
266(9-9) 齊景公出? 무슨 죄인지 알려나 줍시다
267(9-10) 魏文侯問於解狐曰 원수를 추천하다
268(9-11) 楚有善相人者 관상은 이렇게 보는 것
269(9-12) 孔子遊少源之野 비녀를 잃고 우는 여인
270(9-13) 傳曰君子之聞道 군자와 소인의 차이
271(9-14) 孔子與子貢子路顔淵遊於戎山之上 소원을 말해 보렴
272(9-15) 賢士不以恥食 명예와 몸과 재물
273(9-16) 孟子妻獨居 아내를 내쫓으려한 맹자
274(9-17) 孔子出衛之東門 상갓집 개
275(9-18) 脩身不可不愼也 요행은 몸을 망치는 무서운 도끼
276(9-19) 君子之居也 군자의 평상시 생활
277(9-20) 田子方之魏 빈천한 자의 교만
278(9-21) 戴晉生弊衣冠而往見梁王 새장에 갇힌 새
279(9-22) 楚莊王使使賚金百斤 부귀영화는 필요 없다
280(9-23) 傳曰昔戎將由余使秦 이웃나라에 성인이 있으면
281(9-24) 子夏過曾子 낭비와 소비
282(9-25) 晏子之妻 늙은이는 버리고
283(9-26) 夫鳳凰之初起也 봉황을 비웃은 참새
284(9-27) 齊王厚送女 못생긴 공주
285(9-28) 傳曰孔子過康子 공자 제자들의 언쟁

卷十 : 총 25 장 (286 - 310)

286(10-1) 齊桓公逐白鹿 노인의 지혜
287(10-2) 鮑叔薦管仲 포숙이 관중만 못한 다섯 가지
288(10-3) 晉文公重耳亡 죄인을 등용한 진 문공
289(10-4) 傳曰言爲王之不易也 천자의 등극 의식
290(10-5) 君子溫儉以求於仁 주나라 태왕의 세 아들
291(10-6) 齊宣王與魏惠王會田於郊 나라의 진짜 보물
292(10-7) 東海有勇士 진짜 용사
293(10-8) 傳曰齊使使獻鴻於楚 고니를 놓친 사신의 달변
294(10-9) 扁鵲過?侯 편작의 의술
295(10-10) 楚丘先生披蓑帶索 늙은이가 할 수 있는 일
296(10-11) 齊景公遊於牛山之上 사람이 죽지 않는다면
297(10-12) 秦繆公將田 임금의 말을 잡아먹은 사람들
298(10-13) 傳曰卞莊子好勇 변장자의 용맹
299(10-14) 天子有爭臣七人 천자에게 쟁간하는 신하
300(10-15) 齊桓公出遊 복숭아나무를 심은 뜻
301(10-16) 齊桓公置酒 벌주
302(10-17) 齊景公遣晏子南使楚 강남의 귤과 강북의 탱자
303(10-18) 吳延陵季子遊於齊 황금을 거절한 목동
304(10-19) 顔淵問於孔子曰 안연의 미덕
305(10-20) 齊景公出田 심장이 있어야 사지가 움직인다
306(10-21) 楚莊王將興師伐晉 눈앞의 이익
307(10-22) 晉平公之時 화재로 소실된 보물 창고
308(10-23) 魏文侯問里克曰 승리가 나라를 망친다
309(10-24) 楚有士曰申鳴 충과 효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니
310(10-25) 昔者太公望周公旦受封而見 작은 징조를 통해 미래를 본다

부록

저자소개

주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자의 이름은 주희(朱熹, 1130∼1200)이며, 자는 원회(元晦) 또는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시호는 ‘문(文)’이어서 ‘주문공(朱文公)’이라 부른다. 원적은 흡주(翕州) 무원[婺源,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우위안시]인데, 흡주가 남송 때 휘주(徽州)로 개칭되었고, 휘주(지금의 안후이성) 아래쪽에 신안강(新安江)이 흘러서 그의 본관을 ‘신안’이라고 한다. 주자는 공자와 맹자 이후로 중국 역대 최고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북송 5자[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소옹(邵雍)]의 유가 학문을 집대성하면서, 주돈이의 ‘태극(太極)’을 정호의 ‘천리(天理)’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性卽理)’ 사상을 발전시켜 성리학을 완성했다. 또 중국 유가 경전을 정리해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4서로, ≪시경(詩經)≫, ≪상서(尙書)≫,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5경으로 분류했다. 19세 때 진사에 급제한 이후, 고종(高宗), 효종(孝宗), 광종(光宗), 영종(寧宗) 등 네 임금이 차례로 바뀌는 동안 실제로 벼슬을 한 기간은 지방 관리로 8년 여, 황제에게 조언과 강의를 하는 벼슬인 궁중 시강으로 46일, 도합 9년이 채 되지 않는다. 그는 관직 생활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무이산과 부근의 숭안, 건양 등지에서 보냈다. 주자는 강경한 성격과 단호한 태도로 인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았는데, 결국 당시 실세인 한탁주(韓侂冑)의 의도적인 배척과 호굉이 작성하고 심계조(沈繼祖)가 올린 탄핵문에 의해 1196년 시강과 사당 관리직에서 해임되었으며, 1198년에는 ‘위학(僞學)’으로 내몰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일절 금지되었다. 물론 ‘위학’ 규정에 따라 벼슬도 하지 못했다. 그는 향년 71세의 나이로 1200년 음력 3월 9일에 건양 고정(孤亭) 마을의 창주정사(滄州精舍)에서 숨을 거두었다. 사후인 1208년에 시호를 받았고,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1221년이 되어서야 겨우 행장(行狀), 즉 전기가 나올 수 있었다. 그의 사위인 황간(黃榦, 1152∼1221)이 썼다. 1227년에는 ‘태사(太師)’라는 칭호를 받아 ‘신국공(信國公)’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이듬해 ‘휘국공(徽國公)’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그가 편찬한 책은 80여 종, 남아 있는 편지글은 2000여 편, 대화록은 140편에 달하며, 총 자수로는 2천만 자나 된다. 주요 저서로는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 ≪초사집주(楚辭集注)≫, ≪시집전(詩集傳)≫,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등이 있으며,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주자어류(朱子語類)≫, ≪문공가례(文公家禮)≫, ≪주회암집(朱晦庵集)≫ 등이 있다. 그리고 여조겸과 공동 편찬한 ≪근사록(近思錄)≫은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의 글과 말에서 622개 항목을 가려 뽑아 14개의 주제별로 분류 정리한 책으로, 이후 성리학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문헌 중 하나가 되었다. 주자는 경학, 사학, 문학, 불학(佛學)뿐만 아니라 ‘이(理)’가 물질세계의 근원에 존재한다는 차원에서 심지어는 자연과학 서적까지도 고증을 거치고 훈고를 행해 올바른 주석을 달았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