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자가어 2

공자가어 2

왕숙 (지은이), 임동석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자가어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자가어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87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진한秦漢 이래의 여러 전적에서 공자에 관한 일화 등을 모은 책이다. 한문 원문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을 만큼 내용이 명확하고 문장도 순탄하다. 유가儒家의 발흥을 꾀하기 위해 위나라 왕숙이 정리하여 엮었다. 이 책은 이미 송나라 시대에 공자를 이해하고 그 당시의 시대 상황과 문물제도 등을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서 인정받았다.

목차

045공자가어 2권

卷四

15. 육본六本 (총 21장)
115(15-1) 孔子曰行己有六本焉 여섯 가지 행동
116(15-2) 孔子曰良藥苦於口而利於病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
117(15-3) 孔子見齊景公 늠구 땅을 식읍으로
118(15-4) 孔子在齊 주나라 선왕의 사당에 난 화재
119(15-5) 子夏三年之喪畢 제자들의 삼년상
120(15-6) 孔子曰無禮之禮敬也 종은 치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 소리가 다르다
121(15-7) 孔子見羅雀者 공자가 참새 사냥을 보고
122(15-8) 孔子讀易至於損益 보태고자 하면 손해가 나는 법
123(15-9) 子路問於孔子曰 옛날 도를 버린다니
124(15-10) 曾子耘瓜 증자가 참외 밭을 매다가
125(15-11) 荊公子行年十五 초나라 어린 재상
126(15-12) 子夏問於孔子曰 나보다 하나씩 나은 점이 있는 제자들
127(15-13) 孔子遊於泰山 공자와 영계기
128(15-14) 孔子曰回有君子之道四焉 안회와 사추
129(15-15) 孔子曰吾死之後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서면
130(15-16) 曾子從孔子之齊 노래기가 발을 잘려도 다시 걸어가는 것은
131(15-17) 孔子曰與富貴而下人 자신을 낮추면 남이 따른다
132(15-18) 孔子曰中人之情也 형벌로 다스림을 받는 백성
133(15-19) 孔子曰巧而好度必攻 귀먹은 자를 상대로 북을 두드리는 것과 같다
134(15-20) 孔子曰舟非水不行 배는 물이 있어야 운행하지만
135(15-21) 齊高庭問於孔子曰 선한 일을 했건만

16. 변물辨物 (총 10장)
136(16-1) 季桓子穿井 우물을 파다가 얻은 개 형상
137(16-2) 吳伐越 아주 커다란 뼈
138(16-3) 孔子在陳陳惠公賓之於上館 숙신씨의 화살
139(16-4) ?子朝魯 소호씨가 새로써 벼슬 이름을 삼은 이유
140(16-5) ?隱公朝於魯 예는 생사존망을 결정하는 것
141(16-6) 孔子在陳陳侯就之燕遊焉 사당이 화재를 입으리라
142(16-7) 陽虎旣奔齊 양호가 난을 일으킬 것이다
143(16-8) 季康子問於孔子曰 주력과 하력
144(16-9) 吳王夫差將與哀公見晉侯 듣는 자의 오류
145(16-10) 叔孫氏之車士曰子?商 자서상이 잡은 기린

17. 애공문정哀公問政 (총 4장)
146(17-1) 哀公問政於孔子 다섯 가지 달도
147(17-2) 孔子曰好學近於智 아홉 가지 벼리
148(17-3) 公曰爲之奈何 천하에 펼쳐나가야 할 덕목들
149(17-4) 宰我問於孔子曰 혼과 귀신

卷五

18. 안회顔回 (총 10장)
150(18-1) 魯定公問於顔回曰 동야필의 말 모는 솜씨
151(18-2) 孔子在衛 애처로운 울음소리
152(18-3) 顔回問於孔子曰成人之行若何 어른으로서의 행동
153(18-4) 顔回問於孔子曰臧文仲武仲孰賢 장문중과 장무중
154(18-5) 顔回問於君子 군자에 대한 질문
155(18-6) 仲孫何忌問於顔回曰 지혜로운 한 마디 말
156(18-7) 顔回問小人 소인의 행동
157(18-8) 顔回問子路曰 힘이 덕보다 세면
158(18-9) 顔回問於孔子曰小人之言有同乎 소인은 혀로 말한다
159(18-10) 顔回問朋友之際如何 친구 사이의 교제

19. 자로초견子路初見 (총 9장)
160(19-1) 子路見孔子 자로가 처음 공자를 뵙고
161(19-2) 子路將行 자로가 떠나면서
162(19-3) 孔子爲魯司寇 공자가 사구가 되어
163(19-4) 孔子兄子有孔蔑者 공자의 조카 공멸
164(19-5) 孔子侍坐於哀公 복숭아와 기장밥
165(19-6) 子貢曰陳靈公宣淫於朝 설야의 간언
166(19-7) 孔子相魯 제사를 마치고 나누어주는 번육
167(19-8) 澹臺子羽有君子之容 담대자우
168(19-9) 孔蔑問行己之道 공멸의 질문

20. 재액在厄 (총 4장)
169(20-1) 楚昭王聘孔子 난초가 깊은 산 속에 나서
170(20-2) 子路問於孔子曰 군자도 근심이 있습니까?
171(20-3) 曾子?衣而耕於魯 은혜는 짐이 된다
172(20-4) 孔子厄於陳 곤궁에 처하면 절개를 바꾸어도 됩니까?

21. 입관入官 (총 2장)
173(21-1) 子張問入官於孔子 군자가 첫 관직에 들어설 때
174(21-2) 故夫女子必自擇絲麻 훌륭한 공인은 재목을 선택한다

22. 곤서困誓 (총 10장)
175(22-1) 子貢問於孔子曰 죽은 다음에나 쉴 수 있는 일들
176(22-2) 孔子自衛將入晉 이 물을 건너지 못하는 것은 나의 운명
177(22-3) 子路問於孔子曰 자신부터 공경하라
178(22-4) 孔子遭厄於陳 군자가 음악을 좋아하는 것은
179(22-5) 孔子之宋 광 땅에서 포위당한 공자 일행
180(22-6) 孔子曰不觀高崖 삼가야 할 세 가지
181(22-7) 子貢問於孔子曰 아랫사람의 도
182(22-8) 孔子適鄭 상갓집 개
183(22-9) 孔子適衛 여기서 이런 곤액을 만나다니
184(22-10) 衛?伯玉賢而靈公不用 거백옥과 미자하

23. 오제덕五帝德 (총 6장)
185(23-1) 宰我問於孔子曰 황제는 삼백 년을 살았다
186(23-2) 宰我曰請問帝?頊 전욱 고양씨
187(23-3) 宰我曰請問帝? 제곡 고신씨
188(23-4) 宰我曰請問帝堯 제요 도당씨
189(23-5) 宰我曰請問帝舜 제순 유우씨
190(23-6) 宰我曰請問禹 하나라 개국군주 우임금

卷六

24. 오제五帝 (총 2장)
191(24-1) 季康子問於孔子曰 오제
192(24-2) 康子曰如此之言 오제와 오행

25. 집비執? (총 4장)
193(25-1) 閔子騫爲費宰 고삐와 채찍
194(25-2) 古之御天下者 고대의 육관
195(25-3) 子夏問於孔子曰 우수와 기수
196(25-4) 子夏曰商聞山書 지리 환경과 생물

26. 본명해本命解 (총 2장)
197(26-1) 魯哀公問於孔子曰 삼종과 칠거지악
198(26-2) 孔子曰禮之所以象五行也 오행과 사시

27. 논례論禮 (총 4장)
199(27-1) 孔子閒居 예에 대한 논의
200(27-2) 言游退子張進曰 예와 음악
201(27-3) 子夏侍坐於孔子曰 오지와 삼무
202(27-4) 子夏曰言則美矣 삼무사

卷七

28. 관향사觀鄕射 (총 3장)
203(28-1) 孔子觀於鄕射 향사례
204(28-2) 孔子曰吾觀於鄕 향사례에서 행하는 의식들
205(28-3) 子貢觀於? 섣달의 제사 사제

29. 교문郊問 (총 3장)
206(29-1) 定公問於孔子曰 교외의 제사 교사
207(29-2) 公曰其言郊何也 교사에 쓰이는 제물들
208(29-3) 公曰天子之郊 교제의 예법

30. 오형해五刑解 (총 2장)
209(30-1) ?有問於孔子曰古者三皇五帝 고대에는 오형을 쓰지 않고도
210(30-2) ?有問於孔子曰先王制法 선왕이 법을 제정할 때는

31. 형정刑政 (총 3장)
211(31-1) 仲弓問於孔子曰 형벌은 천륜에 근거해야
212(31-2) 仲弓曰古之聽訟 죄를 미워하였지 사람은 미워하지 않았다
213(31-3) 仲弓曰其禁何禁 금지하도록 규정한 법률들

32. 예禮 (총 4장)
214(32-1) 孔子爲魯司寇 대동세계
215(32-2) 言偃曰今之在位 무너져가는 예교
216(32-3) 何謂人情 칠정
217(32-4) 先王患禮之不達於下 선왕의 예법

저자소개

왕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자옹(子雍)이고 동해군(東海郡) 담[郯: 지금의 산둥성(山東省) 탄청(郯城)] 출신으로, 삼국시대 위(魏)나라 사람이다. 일찍부터 유가의 경전에 두루 주를 달아, 정현(鄭玄) 이후의 유명한 경학대사(經學大師)로 일컬어졌다. 그는 미언대의(微言大意)를 주장하면서, 내용을 고려하지 않고 문자적 뜻에 집착하는 정현의 훈고학적 학문 방법에 반대했다. 벼슬길은 순조로워 황문시랑(黃門侍郞)·산기상시(散騎常侍)를 시작으로, 상시의 신분으로 비서감을 겸임하고 또 숭문관좨주(崇文觀祭酒)를 겸임했으며 광평태수(廣平太守)를 거쳐, 마지막에는 중령군(中領軍)으로 승진하고 여기에 산기상시(散騎常侍)가 더해져, 2200호의 봉읍을 받았다. 집안에 내려오는 학문을 계승하여 ≪상서(尙書)≫·≪시경(詩經)≫·≪논어≫·≪삼례(三禮)≫·≪좌전(左傳)≫·≪역(易)≫ 등을 깊이 연구했고 이들 경전에 관한 많은 저작을 남겼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에 그의 전(傳)이 기록되어 있다.
펼치기
임동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논어의 힘≫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튜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튜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