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4970587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목차
045공자가어 2권
卷四
15. 육본六本 (총 21장)
115(15-1) 孔子曰行己有六本焉 여섯 가지 행동
116(15-2) 孔子曰良藥苦於口而利於病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
117(15-3) 孔子見齊景公 늠구 땅을 식읍으로
118(15-4) 孔子在齊 주나라 선왕의 사당에 난 화재
119(15-5) 子夏三年之喪畢 제자들의 삼년상
120(15-6) 孔子曰無禮之禮敬也 종은 치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 소리가 다르다
121(15-7) 孔子見羅雀者 공자가 참새 사냥을 보고
122(15-8) 孔子讀易至於損益 보태고자 하면 손해가 나는 법
123(15-9) 子路問於孔子曰 옛날 도를 버린다니
124(15-10) 曾子耘瓜 증자가 참외 밭을 매다가
125(15-11) 荊公子行年十五 초나라 어린 재상
126(15-12) 子夏問於孔子曰 나보다 하나씩 나은 점이 있는 제자들
127(15-13) 孔子遊於泰山 공자와 영계기
128(15-14) 孔子曰回有君子之道四焉 안회와 사추
129(15-15) 孔子曰吾死之後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서면
130(15-16) 曾子從孔子之齊 노래기가 발을 잘려도 다시 걸어가는 것은
131(15-17) 孔子曰與富貴而下人 자신을 낮추면 남이 따른다
132(15-18) 孔子曰中人之情也 형벌로 다스림을 받는 백성
133(15-19) 孔子曰巧而好度必攻 귀먹은 자를 상대로 북을 두드리는 것과 같다
134(15-20) 孔子曰舟非水不行 배는 물이 있어야 운행하지만
135(15-21) 齊高庭問於孔子曰 선한 일을 했건만
16. 변물辨物 (총 10장)
136(16-1) 季桓子穿井 우물을 파다가 얻은 개 형상
137(16-2) 吳伐越 아주 커다란 뼈
138(16-3) 孔子在陳陳惠公賓之於上館 숙신씨의 화살
139(16-4) ?子朝魯 소호씨가 새로써 벼슬 이름을 삼은 이유
140(16-5) ?隱公朝於魯 예는 생사존망을 결정하는 것
141(16-6) 孔子在陳陳侯就之燕遊焉 사당이 화재를 입으리라
142(16-7) 陽虎旣奔齊 양호가 난을 일으킬 것이다
143(16-8) 季康子問於孔子曰 주력과 하력
144(16-9) 吳王夫差將與哀公見晉侯 듣는 자의 오류
145(16-10) 叔孫氏之車士曰子?商 자서상이 잡은 기린
17. 애공문정哀公問政 (총 4장)
146(17-1) 哀公問政於孔子 다섯 가지 달도
147(17-2) 孔子曰好學近於智 아홉 가지 벼리
148(17-3) 公曰爲之奈何 천하에 펼쳐나가야 할 덕목들
149(17-4) 宰我問於孔子曰 혼과 귀신
卷五
18. 안회顔回 (총 10장)
150(18-1) 魯定公問於顔回曰 동야필의 말 모는 솜씨
151(18-2) 孔子在衛 애처로운 울음소리
152(18-3) 顔回問於孔子曰成人之行若何 어른으로서의 행동
153(18-4) 顔回問於孔子曰臧文仲武仲孰賢 장문중과 장무중
154(18-5) 顔回問於君子 군자에 대한 질문
155(18-6) 仲孫何忌問於顔回曰 지혜로운 한 마디 말
156(18-7) 顔回問小人 소인의 행동
157(18-8) 顔回問子路曰 힘이 덕보다 세면
158(18-9) 顔回問於孔子曰小人之言有同乎 소인은 혀로 말한다
159(18-10) 顔回問朋友之際如何 친구 사이의 교제
19. 자로초견子路初見 (총 9장)
160(19-1) 子路見孔子 자로가 처음 공자를 뵙고
161(19-2) 子路將行 자로가 떠나면서
162(19-3) 孔子爲魯司寇 공자가 사구가 되어
163(19-4) 孔子兄子有孔蔑者 공자의 조카 공멸
164(19-5) 孔子侍坐於哀公 복숭아와 기장밥
165(19-6) 子貢曰陳靈公宣淫於朝 설야의 간언
166(19-7) 孔子相魯 제사를 마치고 나누어주는 번육
167(19-8) 澹臺子羽有君子之容 담대자우
168(19-9) 孔蔑問行己之道 공멸의 질문
20. 재액在厄 (총 4장)
169(20-1) 楚昭王聘孔子 난초가 깊은 산 속에 나서
170(20-2) 子路問於孔子曰 군자도 근심이 있습니까?
171(20-3) 曾子?衣而耕於魯 은혜는 짐이 된다
172(20-4) 孔子厄於陳 곤궁에 처하면 절개를 바꾸어도 됩니까?
21. 입관入官 (총 2장)
173(21-1) 子張問入官於孔子 군자가 첫 관직에 들어설 때
174(21-2) 故夫女子必自擇絲麻 훌륭한 공인은 재목을 선택한다
22. 곤서困誓 (총 10장)
175(22-1) 子貢問於孔子曰 죽은 다음에나 쉴 수 있는 일들
176(22-2) 孔子自衛將入晉 이 물을 건너지 못하는 것은 나의 운명
177(22-3) 子路問於孔子曰 자신부터 공경하라
178(22-4) 孔子遭厄於陳 군자가 음악을 좋아하는 것은
179(22-5) 孔子之宋 광 땅에서 포위당한 공자 일행
180(22-6) 孔子曰不觀高崖 삼가야 할 세 가지
181(22-7) 子貢問於孔子曰 아랫사람의 도
182(22-8) 孔子適鄭 상갓집 개
183(22-9) 孔子適衛 여기서 이런 곤액을 만나다니
184(22-10) 衛?伯玉賢而靈公不用 거백옥과 미자하
23. 오제덕五帝德 (총 6장)
185(23-1) 宰我問於孔子曰 황제는 삼백 년을 살았다
186(23-2) 宰我曰請問帝?頊 전욱 고양씨
187(23-3) 宰我曰請問帝? 제곡 고신씨
188(23-4) 宰我曰請問帝堯 제요 도당씨
189(23-5) 宰我曰請問帝舜 제순 유우씨
190(23-6) 宰我曰請問禹 하나라 개국군주 우임금
卷六
24. 오제五帝 (총 2장)
191(24-1) 季康子問於孔子曰 오제
192(24-2) 康子曰如此之言 오제와 오행
25. 집비執? (총 4장)
193(25-1) 閔子騫爲費宰 고삐와 채찍
194(25-2) 古之御天下者 고대의 육관
195(25-3) 子夏問於孔子曰 우수와 기수
196(25-4) 子夏曰商聞山書 지리 환경과 생물
26. 본명해本命解 (총 2장)
197(26-1) 魯哀公問於孔子曰 삼종과 칠거지악
198(26-2) 孔子曰禮之所以象五行也 오행과 사시
27. 논례論禮 (총 4장)
199(27-1) 孔子閒居 예에 대한 논의
200(27-2) 言游退子張進曰 예와 음악
201(27-3) 子夏侍坐於孔子曰 오지와 삼무
202(27-4) 子夏曰言則美矣 삼무사
卷七
28. 관향사觀鄕射 (총 3장)
203(28-1) 孔子觀於鄕射 향사례
204(28-2) 孔子曰吾觀於鄕 향사례에서 행하는 의식들
205(28-3) 子貢觀於? 섣달의 제사 사제
29. 교문郊問 (총 3장)
206(29-1) 定公問於孔子曰 교외의 제사 교사
207(29-2) 公曰其言郊何也 교사에 쓰이는 제물들
208(29-3) 公曰天子之郊 교제의 예법
30. 오형해五刑解 (총 2장)
209(30-1) ?有問於孔子曰古者三皇五帝 고대에는 오형을 쓰지 않고도
210(30-2) ?有問於孔子曰先王制法 선왕이 법을 제정할 때는
31. 형정刑政 (총 3장)
211(31-1) 仲弓問於孔子曰 형벌은 천륜에 근거해야
212(31-2) 仲弓曰古之聽訟 죄를 미워하였지 사람은 미워하지 않았다
213(31-3) 仲弓曰其禁何禁 금지하도록 규정한 법률들
32. 예禮 (총 4장)
214(32-1) 孔子爲魯司寇 대동세계
215(32-2) 言偃曰今之在位 무너져가는 예교
216(32-3) 何謂人情 칠정
217(32-4) 先王患禮之不達於下 선왕의 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