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88949708973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5-01-02
책 소개
목차
오월춘추1/2~2/2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1.《오월춘추》의 찬자撰者 문제
2. 趙曄
3.《吳越春秋》의 流轉과 板本
4.《吳越春秋》의 注釋
5.《吳越春秋》의 내용
134 오월춘추1/2
卷第一 吳太伯傳
001(1-1) 오(吳)나라의 먼 조상 태백(太伯)
002(1-2) 후직(后稷)에서 경절(慶節)까지
003(1-3) 고공단보(古公亶甫)
004(1-4) 고공단보의 세 아들
005(1-5) 구오(句吳)라는 명칭
006(1-6) 고공(古公)을 태왕(太王)으로
007(1-7) 태백으로부터 수몽(壽夢)까지
卷第二 吳王壽夢傳
008(2-1) 천자를 찾아간 수몽
009(2-2) 초(楚)나라와의 전투
010(2-3) 자반을 패배시킴
011(2-4) 초나라의 침입
012(2-5) 무신(巫臣)의 아들을 상국(相國)으로
013(2-6) 수몽의 네 아들
014(2-7) 연릉계자(延陵季子)
015(2-8) 초나라의 재차 침입
016(2-9) 간계(乾谿) 전투
017(2-10) 왕위를 양보한 계찰(季札)
卷第三 王僚使公子光傳
018(3-1) 공자(公子) 광(光)
019(3-2) 오자서(伍子胥)의 선조 오거(伍擧)
020(3-3) 태자(太子) 건(建)의 아내가 될 진(秦)나라 공주
021(3-4) 비무기(費無忌)의 참언
022(3-5) 오사(伍奢)의 두 아들
023(3-6) 아버지의 부름
024(3-7) 망명길에 오른 오자서(伍子胥)
025(3-8) 오자서(伍子胥)와 신포서(申包胥)
026(3-9) 태자 건(建)의 죽음
027(3-10) 태자 건의 아들 백공(白公) 승(勝)
028(3-11) 강가의 어부
029(3-12) 어부의 자결
030(3-13) 빨래터의 처녀
031(3-14) 공자(公子) 광(光)과 오자서
032(3-15) 용사 전저(專諸)
033(3-16) 전저(專諸)의 생선구이
034(3-17) 태자 건의 어머니
035(3-18) 누에치는 처녀들
036(3-19) 초(楚) 평왕(平王)의 죽음
037(3-20) 찬탈의 기회
038(3-21) 생선 속의 비수
039(3-22) 다시 양보한 계찰(季札)
卷第四 闔閭內傳
040(4-1) 오왕 합려(闔閭)
041(4-2) 축성의 규모
042(4-3) 간장(干將)과 막야(莫耶)
043(4-4) 금구(金鉤)라는 무기
044(4-5) 오나라로 망명 온 백희(白喜)
045(4-6) 하상가(河上歌)
046(4-7) 경기(慶忌)에 대한 두려움
047(4-8) 요리(要離)라는 인물
048(4-9) 경기(慶忌)를 처단한 요리(要離)
049(4-10) 손자(孫子)
050(4-11) 총희(寵姬)의 목을 친 손자
051(4-12) 드디어 초나라 정벌
052(4-13) 민심을 수습하는 길
053(4-14) 오왕의 딸 등옥(?玉)
054(4-15) 담로검(湛盧劍)
055(4-16) 자기(子期)와 자상(子常)
056(4-17) 취리(?李) 전투
057(4-18) 보복전
058(4-19) 신임을 잃은 초나라
059(4-20) 당(唐)?채(蔡) 두 나라의 도움
060(4-21) 자상(子常)의 잘못
061(4-22) 합려의 아우 부개(夫?)
062(4-23) 공주를 업고 건넌 인연
063(4-24) 부관참시(剖棺斬屍) 당한 초(楚) 평왕(平王)의 묘
064(4-25) 옛 어부의 아들
065(4-26) 신포서(申包胥)의 충정(忠情)
066(4-27) 오월항쟁(吳越抗爭)의 시작
067(4-28) 진(秦)나라의 초(楚)나라 구원
068(4-29) 당(唐)나라부터 멸망
069(4-30) 당계(堂溪)로 달아난 부개(夫?)
070(4-31) 풀밭에 버려진 해골
071(4-32) 궁겁곡(窮劫曲)
072(4-33) 그리운 옛 처녀
073(4-34) 처음 생선회를 만든 오왕
074(4-35) 파태자(波太子)의 아내 제(齊)나라 공주
075(4-36) 파태자(波太子)의 아들 부차(夫差)
076(4-37) 태자 결정
卷第五 夫差內傳
077(5-1) 제(齊)나라 공략
078(5-2) 뱃속의 병
079(5-3) 사신으로 나선 자공(子貢)
080(5-4) 자공(子貢)의 제(齊)나라 유세
081(5-5) 오왕(吳王)을 만나 자공(子貢)
082(5-6) 월왕(越王)을 만난 자공
083(5-7) 다시 오나라에 온 자공
084(5-8) 진(晉) 정공(定公)을 만난 자공
085(5-9) 불길한 꿈
086(5-10) 왕손락(王孫駱)과 공손성(公孫聖)
087(5-11) 처참한 죽음으로 대신한 꿈 해몽
088(5-12) 오자서의 간언
089(5-13) 간언을 무시한 오왕
090(5-14) 오자서와 피리(被離)
091(5-15) 애릉(艾陵) 전투
092(5-16) 내 눈을 빼어
093(5-17) 오왕 눈에 보이는 헛것
094(5-18) 축하와 저주의 노래가 동시에
095(5-19) 장차 그대에게도 재앙이
096(5-20) 오자서의 자결
097(5-21) 왕손락(王孫駱)의 간언
098(5-22) 당랑포선(螳螂捕蟬)
099(5-23) 고서대(姑胥臺)를 불태우고
100(5-24) 드디어 패자가 된 부차(夫差)
101(5-25) 황지(黃池)로 날아든 급보
102(5-26) 오나라의 참패
103(5-27) 길 가의 참외
104(5-28) 오왕 부차의 최후
135 오월춘추2/2
卷第六 越王無余外傳
105(6-1) 월나라 선군(先君) 무여(無余)
106(6-2) 옛날 요(堯)임금 시절
107(6-3) ≪산해경(山海經)≫
108(6-4) 도산가(陶山歌)
109(6-5) 우(禹)의 치수사업
110(6-6) 요(堯)임금의 칭찬
111(6-7) 사도(司徒)에 올라
112(7-8)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113(6-9) 모임에 늦은 방풍씨(防風氏)
114(6-10) 회계산(會稽山)에 묻힌 우임금
115(6-11) 백익(伯益)과 계(啓)
116(6-12) 우(禹)의 제사를 담당한 무여(無余)
117(6-13) 끊어진 제사와 무임(無壬)
118(6-14) 원상(元常)의 중흥
卷第七 句踐入臣外傳
119(7-1) 월왕 구천(句踐)
120(7-2) 하늘의 역수(曆數)
121(7-3) 선군(先君)의 치욕
122(7-4) 곤액(困厄)을 당한 뒤에야 강해지는 법
123(7-5) 오나라에 입신(入臣)하기 전의 당부
124(7-6) 남아 있는 신하들의 임무
125(7-7) 이별의 노래
126(7-8) 석실(石室)에 갇힌 연금생활
127(7-9) 범려(范?)의 지조
128(7-10) 독비곤(犢鼻?)
129(7-11) 태재(太宰) 백비(伯?)
130(7-12) 불길한 점괘
131(7-13) 오자서(伍子胥)의 극간(極諫)
132(7-14) 오왕 부차(夫差)의 병
133(7-15) 직접 대변을 맛보며
134(7-16) 굴종(屈從)을 참고 견디며
135(7-17) 구밀복검(口蜜腹劍)
136(7-18) 드디어 풀려난 구천
137(7-19) 귀국의 기쁨
卷第八 句踐歸國外傳
138(8-1) 7년만의 귀환
139(8-2) 오나라가 봉해준 땅
140(8-3) 도성(都城)부터 정비
141(8-4) 복철후계(覆轍後戒)
142(8-5) 와신상담(臥薪嘗膽)
143(8-6) 갈포(葛布)
144(8-7) 형벌을 완화하고 세금을 줄이고
145(8-8) 오래 엎드린 새 높이 날리라
卷第九 句踐陰謀外傳
146(9-1) 부유해진 나라
147(9-2) 얻기는 쉬우나 부리기는 어렵도다
148(9-3) 계예(計■(石+兒))의 일갈(一喝)
149(9-4) 강태공(姜太公)과 관중(管仲)의 예
150(9-5) 구술(九術)
151(9-6) 제일술(第一術)
152(9-7) 제이술(第二術)
153(9-8) 오로지 복수심
154(9-9) 서시(西施)와 정단(鄭旦)
155(9-10) 적곡(?穀)
156(9-11) 증미(蒸米)
157(9-12) 처녀시검(處女試劍)
158(9-13) 처녀의 검술
159(9-14) 노(弩)의 명수 진음(陳音)
160(9-15) 노(弩)의 사용법
161(9-16) 진음산(陳音山)
卷第十 句踐伐吳外傳
162(10-1) 천기(天氣)의 응험
163(10-2) 부형들의 간청
164(10-3) 출정(出征) 결단
165(10-4) 격려와 위로
166(10-5) 부차는 황지(黃池)에
167(10-6) 태자를 죽이고
168(10-7) 신포서(申包胥)의 조언
169(10-8) 대부들의 임무와 결의
170(10-9) 엄한 군법(軍法)
171(10-10) 부인과의 약속
172(10-11) 대부들과의 약속
173(10-12) 군법을 어긴 자
174(10-13) 취리(?李)로 이동
175(10-14) 향와식례(向?軾禮)
176(10-15) 함매(銜枚)를 물고
177(10-16) 오자서(伍子胥)의 머리
178(10-17) 부차의 최후
179(10-18) 패자에 오른 월왕
180(10-19) 소녀지도(素女之道)
181(10-20) 다른 욕심을 품은 구천
182(10-21) 토사구팽(兎死狗烹)
183(10-22) 사라진 범려(范?)
184(10-23) 범려(范?)의 소상(塑像)
185(10-24) 멀어져 가는 대부들
186(10-25) 문종(文種)의 운명
187(10-26) 저승에서나 만날 운명
188(10-27) 문종(文種)의 최후
189(10-28) 공자(孔子)가 찾아간 월왕
190(10-29) 조상의 묘
191(10-30) 그래도 패자
192(10-31) 노(魯)나라 삼환(三桓)
193(10-32) 구천(句踐)의 죽음
194(10-33) 그 후의 월나라
195(10-34) 월나라 세계(世系)
부록
Ⅰ ≪吳越春秋≫ 佚文
Ⅱ 序跋 등 관련 자료
1. <吳越春秋序> ……………………………… 元, 徐天祜
2. <重刊吳越春秋序> ………………………… 明, 錢福
3. <四庫全書總目> …………………………… 淸, 永瑢(等)
4. <吳越春秋跋> ……………………………… 徐乃昌(節錄)
5. <四庫提要辨證> …………………………… 余嘉錫
6. <古今僞書考補證> ………………………… 黃雲眉
7. <四庫全書總目提要> ……………………… 紀?(等)
Ⅲ ≪後漢書≫(儒林傳 下) 趙曄傳
Ⅳ ≪史記≫ 중 ≪吳越春秋≫ 관련 世家?列傳
1. <吳太伯世家>
2. <越王句踐世家>
3. <伍子胥列傳>
Ⅴ ≪國語≫ 중 ≪吳越春秋≫ 관련 부분
1. <吳語>
2. <越語>(上下)
Ⅵ ≪十八史略≫ 관련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