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중세철학 > 아우구스티누스
· ISBN : 9788949715698
· 쪽수 : 736쪽
· 출판일 : 2016-11-30
책 소개
목차
성경책명 약자표
제13권
제1장 죽음의 기원에 대하여 … 717
제2장 죽음의 종류. 영혼의 죽음과 육체의 죽음 … 717
제3장 인류 전체로 퍼진 죽음은 그리스도교인들에게도 죄로 인한 벌일까 … 719
제4장 죄를 용서받았는데도 죽음을 피할 수 없는 그 이유는 무엇인가 … 720
제5장 악인은 율법을 나쁘다 하며 선인은 죽음을 좋은 일이라 한다 … 721
제6장 죽음은 일반적으로 악이다 … 722
제7장 세례를 받기 전 죽음 … 723
제8장 그리스도교인들의 첫 번째 죽음은 두 번째 죽음을 가져오지 않는다 … 724
제9장 ‘죽어간다’이 말은 무슨 뜻일까 … 724
제10장 죽어야 하는 인간의 삶은 삶이라기보다 죽음이라 불린다 … 725
제11장 인간은 삶과 죽음 사이에 있을 수 있는가 … 727
제12장 하느님이 정한 금기를 어긴 최초 인간의 죽음 … 729
제13장 최초 인간이 저지른 죄와 그로 인한 벌 … 730
제14장 자유의지로 인한 타락 … 731
제15장 영혼이 하느님에게 등을 돌려서 찾아오는 첫 번째 죽음 … 731
제16장 영혼과 육체의 분리를 벌이라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의 오류 … 732
제17장 땅 위의 육체는 영원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하고픈 말 … 734
제18장 땅 위의 육체는 하늘에 있을 수 없다는 철학자들 주장 … 737
제19장 죄를짓지 않은 영혼은 육체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하고픈 말 … 738
제20장 부활을 한 뒤 그리스도교인들의 육체는 죄를 저지르기 전의 육체보다 뛰어나다 … 740
제21장 낙원의 영적 의미 … 741
제22장 그리스도교인이 부활한 뒤의 육체 … 743
제23장 육의 몸과 영의 몸에 대해서 … 744
제24장 아담에게 불어 넣으신 하느님의 입김과 주님이 제자에게 주신 성령 … 748
제14권
제1장 인류는 두 번째 죽음을 피할 수 없는가 … 755
제2장 육체를 따르면서 산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 756
제3장 죄의 원인은 육체가 아니라 영혼 속에 있다 … 758
제4장 하느님을 따르면서 산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 760
제5장 플라톤학파의 영혼관?육체관 … 762
제6장 의지는 욕망의 원천이다 … 764
제7장 성경 속 사랑을 뜻하는 말들 … 764
제8장 스토아학파에서 말하는 현자의 욕망 … 767
제9장 그리스도교인들의 바른 욕망 … 770
제10장 죄를 저지르기 전, 최초 인간의 욕망 … 776
제11장 죄 때문에 부패한 자연본성은 창조자만이 치유할 수 있다 … 777
제12장 첫 번째 죄의 성격 … 780
제13장 나쁜 의지가 악행보다 먼저 있다 … 780
제14장 오만함은 죄를 저지르는 것보다 나쁘다 … 783
제15장 따르지 않는 이들이 받는 올바른 벌 … 784
제16장 성적 행위에서 볼 수 있는 욕정의 악 … 786
제17장 최초 인간은 옷을 걸치지 않았다 … 787
제18장 육체적 관계의 부끄러운 감정 … 789
제19장 분노와 욕정은 죄를 저지르기 전 인간에게 없었다 … 789
제20장 견유학파의 외설스러움 … 791
제21장 자손 번영 축복은 죄를 저질러도 사라지지 않는다 … 792
제22장 하느님이 정한 혼인법과 축복 … 793
제23장 낙원에서 출산이 있었는가 … 794
제24장 육체를 지배하는 의지 … 796
제25장 이 세상에 없는 참된 행복 … 798
제26장 낙원에서의 생활 … 799
제27장 하느님의 섭리를 바꿀 수 있는 이는 없다 … 801
제28장 두 나라의 특징 … 802
제15권
제1장 인류의 두 갈래 계보의 시작과 저마다의 마지막 … 804
1.1 이 권의 내용 … 804
1.2 카인과 아벨로부터 비롯된 두 나라 … 805
제2장 육체에 따른 아이들과 약속에 따른 아이들 … 806
제3장 사라는 하느님의 은혜로 아이를 가졌다 … 807
제4장 지상 나라의 전쟁과 평화 … 808
제5장 지상 나라의 첫 건설자 … 809
제6장 죄의 벌로 받은 병약함 … 810
제7장 카인의 죄의 원인과 그 집요함 … 812
제8장 처음으로 카인이 나라를 세운 이유 … 816
제9장 대홍수가 일어나기 전 인간은 오래 살고 덩치가 컸다 … 818
제10장 히브리어 성경과 우리의 성경 사이에서 다르게 보이는 사람들의 수명 … 820
제11장 므두셀라의 나이 … 821
제12장 세상이 열린 첫 시대 인간이 오래 살았음을 믿지 않는 사람들 … 822
제13장 해를 세는 법에 대해서, 어느 쪽을 따라야 하는가 … 824
제14장 첫 시대에서도 요즘 시대에서도 한 해의 길이는 같다 … 827
제15장 첫 시대의 남성은‘아이가 태어났다’기록할 때까지 여성과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고 믿어야 하는가 … 829
제16장 첫 시대에는 지금과는 다른 혼인법이 있었다 … 831
제17장 한 아버지에게서 태어난 두 조상과 군주들 … 834
제18장 아벨, 셋, 에노스는 그리스도 교회를 상징한다 … 835
제19장 하늘로 돌아간 에녹에서 볼 수 있는 상징 … 836
제20장 아담에서 카인까지의 계보는 8대로 끝나지만 아담에서 노아까지의 계보는 10대에 이른다 … 837
제21장 카인의 아들 에녹의 계보, 셋의 아들 에노스의 계보 대비 … 841
제22장 사람 딸들의 사랑에 포로가 된 하느님 아들들의 타락 … 843
제23장 천사가 아름다운 여성과 결혼해 거인을 낳았다는 말은 믿을 만한가 … 844
제24장 대홍수로 멸망할 이가 이렇게 말했다.‘그들의 날은 120년이 될 것이니라’ … 848
제25장 하느님의 분노에 대해서 … 849
제26장 노아의 방주는 그리스도 교회를 상징한다 … 850
제27장 대홍수와 방주는 역사적 사실에 지나지 않는 게 아니다 … 852
제16권
제1장 하느님 나라, 노아에서 아브라함까지 … 856
제2장 노아의 아들들에게 예언적으로 상징된 것은 무엇인가 … 857
제3장 노아의 세 아들의 자손 … 860
제4장 많은 언어들과 바벨탑 … 863
제5장 바벨탑을 세우는 사람들의 언어를 어지럽히려고 하느님은 하늘에서 내려왔다 … 865
제6장 하느님이 천사에게 말하는 법 … 866
제7장 먼 섬들의 동물도 대홍수에서 구원받은 동물인가 … 867
제8장 괴물 같은 인간들도 아담이나 노아의 자손일까 … 868
제9장 이 땅 반대편에 반대인이 산다고 생각해야 하는가 … 870
제10장 하느님의 나라 계보는 셈의 자손을 지나 아브라함으로 간다 … 871
제11장 히브리어라 불리는 인류 첫 언어는 노아 가족 속에 남았다 … 873
제12장 아브라함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시대 … 876
제13장 데라가 갈대아에서 메소포타미아로 옮겨간 이유 … 877
제14장 하란에서 수명이 다한 데라의 나이 … 878
제15장 아브라함이 하느님의 명령을 따라 하란을 나간 시기 … 879
제16장 아브라함에게 내려진 하느님의 명령과 약속 … 881
제17장 아시리아 왕국은 아브라함 시대에 가장 번성했다 … 882
제18장 아브라함과 두 번째 약속 … 883
제19장 이집트의 아브라함 … 884
제20장 아브라함과 롯의 이별 … 884
제21장 아브라함과 세 번째 약속 … 885
제22장 아브라함의 소돔 승리와 롯 구출. 그리고 멜기세덱 축복 … 886
제23장 하느님의 약속을 믿은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지 않고 뜻이 되었다 … 887
제24장 아브라함이 명령한 희생제사의 의미 … 888
제25장 사라의 계집종 하갈 … 891
제26장 늙은 아브라함이 온 국민의 아버지가 되어 약속의 증표로 할례가 정해졌다 … 892
제27장 할례를 받지 않은 이는 목숨이 끊긴다 … 894
제28장 아브라함과 사라의 개명 … 895
제29장 마므레 나무 곁에서 주님이 아브라함 앞에 나타났다 … 897
제30장 소돔의 멸망. 아비멜렉과 만남 … 898
제31장 약속의 아이 이삭의 이름 유래 … 899
제32장 이삭의 희생. 그리고 사라의 죽음 … 899
제33장 나홀의 손녀 리브가가 이삭의 아내가 된 일 … 902
제34장 아브라함은 사라가 죽은 뒤 크투라를 아내로 삼았다 … 902
제35장 리브가 뱃속의 쌍둥이 … 903
제36장 이삭이 받은 통지와 축복 … 904
제37장 에서와 야곱으로 예견된 깊은 뜻 … 905
제38장 야곱은 아내를 맞이하러 메소포타미아로 갔다 … 907
제39장 야곱이 이스라엘이라 불리는 이유 … 909
제40장 야곱이 75인과 함께 이집트로 간 일 … 910
제41장 야곱이 아들 유다에게 약속한 축복 … 911
제42장 야곱이 요셉의 두 아들에게 준 축복 … 913
제43장 모세, 여호수아, 판관기에서 왕국시대로 … 913
제17권
제1장 예언자 시대 … 916
제2장 가나안 지역에 대한 하느님의 약속으로 이루어진 일 … 917
제3장 예언의 세 가지 의미 … 918
제4장 사무엘의 어머니 한나의 예언 해석 … 920
제5장 하느님의 사람이 제사장 엘리에게 한 이야기의 의미 … 929
제6장 유대의 제사장직과 왕국의 영원성 … 934
제7장 이스라엘 왕국의 분열 … 936
제8장 다윗에게 주어진 약속 … 939
제9장 시편 제89편에 나오는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 … 941
제10장 땅 위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일 … 943
제11장 하느님의 백성 실체는 그리스도이다 … 944
제12장 하느님의 자비를 열망하는 자는 누구인가 … 946
제13장 평화 약속의 이룸 … 949
제14장 다윗과 시편 … 949
제15장 이 책에서 시편을 모두 이야기할 수는 없다 … 951
제16장 시편 제45편 해석 … 951
제17장 시편 제110편과 제22편 … 954
제18장 시편 제3, 41, 16, 68편에 나오는 왕의 죽음과 부활 예언 … 956
제19장 시편 제69편에 쓰인 유대인의 불신과 고집스런 어리석음 … 958
제20장 솔로몬과 예언 … 959
제21장 솔로몬 다음 왕들 … 963
제22장 여로보암의 우상숭배 … 964
제23장 두 왕국의 우위 변화 … 964
제24장 마지막 예언자들 … 965
제18권
제1장 제17권까지 요약과 18권의 주제 … 966
제2장 아브라함 시대 땅의 나라 왕들 … 967
제3장 이삭, 야곱 시대 왕들 … 969
제4장 야곱과 그의 아들 요셉 시대 … 971
제5장 아르고스의 왕 아피스 … 971
제6장 야곱이 죽었을 무렵 왕들 … 972
제7장 요셉의 죽음 … 973
제8장 모세가 태어난 시대 … 973
제9장 아테네 시가 만들어진 시대와 그 이름의 기원 … 975
제10장 아레오파고스라는 이름과 듀칼리온 홍수 … 976
제11장 모세가 하느님 백성을 이집트에서 구한 시기 … 977
제12장 그리스 왕들로부터 시작된 거짓 신들의 제사 … 978
제13장 판관 시대의 신화 … 980
제14장 신학적 시인들 … 981
제15장 라우렌툼 첫 번째 왕 피쿠스 … 982
제16장 디오메데스와 그의 동료 … 983
제17장 바로가 전하는 인간의 변신 … 984
제18장 악령의 계략으로 인한 인간의 변신 … 984
제19장 아이네이아스의 이탈리아 도착 … 987
제20장 판관 시대 뒤 이스라엘 왕권의 계승 … 988
제21장 라티움의 왕들 … 988
제22장 로마 건설 … 989
제23장 에리트라이의 시빌 … 990
제24장 로물루스와 누마 … 993
제25장 일곱 현자 그리고 같은 시대 철학자들 … 994
제26장 포로 생활에서 벗어나다 … 995
제27장 열두 예언자들 시대 … 995
제28장 그리스도 복음에 대한 호세아와 아모스의 예언 … 996
제29장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한 이사야 예언 … 998
제30장 미가, 요나, 요엘의 예언과 신약성서의 일치 … 999
제31장 그리스도의 구원에 대한 오바댜, 나훔, 하박국의 예언 … 1001
제32장 하박국의 기도와 노래에 담긴 예언 … 1002
제33장 그리스도와 이방인 소명에 대한 예레미야와 스바냐의 예언 … 1006
제34장 다니엘과 에스겔의 예언 … 1008
제35장 학개, 스가랴, 말라기의 예언 … 1009
제36장 에스드라와 마카베오서 … 1012
제37장 예언자들은 이교도 철학자들보다 먼저 있었다 … 1013
제38장 정경에 실리지 않은 그리스도교인들의 문서 … 1014
제39장 히브리어에는 처음부터 문자가 있었다 … 1015
제40장 학문이 오래됐다고 자랑하는 이집트인의 거짓 … 1016
제41장 서로 다른 철학적 의견과 성서의 조화 … 1017
제42장 구약성서는 왜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는가 … 1020
제43장 70인 번역의 권위에 대해서 … 1021
제44장 니네베의 파멸 … 1023
제45장 그리스도 탄생 이전까지 유대 민족의 운명 … 1024
제46장 그리스도 탄생과 흩어진 유대인 … 1026
제47장 하느님 나라 시민은 이스라엘 민족 말고도 있다 … 1028
제48장 학개 예언은 그리스도 교회로 이뤄졌다 … 1029
제49장 교회에는 선택받을 사람과 쫓겨날 사람이 섞여 있다 … 1030
제50장 복음은 온 세상에 전해졌다 … 1031
제51장 이단과의 충돌 … 1032
제52장 그리스도를 반대하는 시대에 일어나는 열한 번째 박해 … 1034
제53장 마지막 박해 시대는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다 … 1036
제54장 그리스도교 존속에 대한 이교도들의 거짓 … 1038
제19권
제1장 바로는 가장 높은 선에 대해서 다른 288개 학파가 있다고 말했다 … 1041
제2장 바로는 어떻게 288학파를 3학파로 바꾸었는가 … 1045
제3장 최고선에 대한 바로의 견해 … 1047
제4장 이 비참한 삶 속에서는 누구도 최고선을 찾을 수 없다 … 1049
제5장 많은 괴로움으로 어지러운 인간의 사회생활 … 1054
제6장 재판의 오류로 인한 인간의 불행 … 1056
제7장 언어 차이와 전쟁의 비참함 … 1057
제8장 인간의 우정 … 1058
제9장 천사의 우정 … 1060
제10장 그리스도인들이 받은 보답 … 1060
제11장 가장 높은 선으로서의 영원한 평화 … 1061
제12장 평화의 보편적 경향 … 1062
제13장 평화와 질서 … 1065
제14장 온갖 평화 … 1068
제15장 죄와 노예상태 … 1069
제16장 가장의 올바른 지위 … 1071
제17장 두 나라와 땅 위의 평화 … 1072
제18장 회의와 신앙 … 1073
제19장 옷차림과 생활 습관 … 1074
제20장 희망 속 행복 … 1075
제21장 국가와 정의 … 1076
제22장 제물을 바칠 만한 하나뿐인 하느님 … 1078
제23장 신들의 신탁과 포르피리오스의 설명 … 1078
제24장 국민에 대한 다른 정의 … 1084
제25장 참된 신 존경과 참된 덕 … 1085
제26장 땅 위 평화와 그 사용 … 1086
제27장 땅 위 평화와 불완전성 … 1086
제28장 사악한 이들의 마지막 … 1088
제20권
제1장 하느님의 심판 … 1089
제2장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헤아리기 어려운 하느님의 심판 … 1090
제3장 이 세상 허무함에 대한 솔로몬의 말 … 1092
제4장 마지막 심판에 대한 성경의 증언 … 1093
제5장 마지막 심판에 대한 그리스도의 말 … 1094
제6장 첫 번째 부활과 두 번째 부활 … 1097
제7장 요한계시록과 첫 번째 부활 … 1099
제8장 악마의 구속과 해방 … 1103
제9장 그리스도와 성도들의 천 년 동안 지배 … 1106
제10장 혼의 부활 … 1111
제11장 마지막 박해의 곡과 마곡 … 1112
제12장 하늘에서 온 불 … 1113
제13장 그리스도를 반대하는 이들의 박해 … 1114
제14장 악마의 단죄와 죽은 이들의 심판 … 1115
제15장 바다가 만든 죽음과 저승이 보낸 죽은 이들 … 1117
제16장 새로운 하늘과 새로운 땅 … 1119
제17장 새로운 예루살렘의 영광 … 1119
제18장 마지막 심판에 대한 베드로의 예언 … 1121
제19장 그리스도를 반대하는 이들에 대한 바울의 예언 … 1123
제20장 죽은 이의 부활에 대한 바울의 예언 … 1127
제21장 부활과 심판에 대한 이사야의 예언 … 1129
제22장 선택받은 이와 버려진 이 … 1134
제23장 그리스도를 반대하는 이와 부활에 대한 다니엘의 예언 … 1135
제24장 시편에서 보이는 세상의 끝과 마지막 심판 … 1138
제25장 마지막 심판에 대한 말라기의 예언 … 1142
제26장 정의의 제물과 정의롭지 못한 이의 단죄 … 1143
제27장 착한 사람과 나쁜 사람의 구별 … 1145
제28장 모세 율법의 영적인 이해 … 1146
제29장 다시 세상에 온 엘리야와 유대인의 회심 … 1147
제30장 심판자로서의 그리스도 … 1149
제21권
제1장 토론의 순서 … 1155
제2장 육체는 타오르는 불 속에서 영원할 수 있는가 … 1156
제3장 육체적 고통에 신체가 없어지는 것은 마땅한 일인가 … 1156
제4장 고통 속에서도 육체는 계속 살아간다고 가르쳐주는 자연계 이야기 … 1159
제5장 이유를 설명할 수는 없어도 진실임이 분명한 일은 많다 … 1162
제6장 모든 신비한 일이 자연적인 현상은 아니다 … 1165
제7장 기적을 믿는 이유 … 1168
제8장 본성이 알려진 사물에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일이 일어나도 자연에는 어긋나지 않는다 … 1170
제9장 지옥과 영원한 벌의 본질 … 1174
제10장 물질적인 불이 비물질적인 악마를 태울 수 있는가 … 1176
제11장 벌은 죄보다 길어야 한다는 토론 … 1177
제12장 첫 죗값의 크기 … 1179
제13장 죄인들은 죽어서도 꼭 벌을 받게 된다 … 1180
제14장 이 세상의 시간적 벌 … 1181
제15장 하느님의 은혜는 다가올 세상에 평화를 준다 … 1182
제16장 새로운 삶을 받은 이의 생애를 지배하는 은혜의 법 … 1184
제17장 어떤 벌도 영원히 계속되지 않는다 … 1185
제18장 마지막 심판에서 그리스도교인의 중재가 있을 수 있는가 … 1186
제19장 이단이라도 그리스도 육체에 의지한다면 그 죄가 용서되는가 … 1188
제20장 가톨릭교회에서 세례 받은 이는 뒤에 많은 죄를 저질러도 용서받을 수 있는가 … 1189
제21장 가톨릭 신앙에 머무는 사람은 나쁜 생활을 해도 구원받는가 … 1189
제22장 은혜 속에서 저지른 죄는 심판받지 않는가 … 1190
제23장 악마에게도 악인에게도 형벌이 계속되지 않는다는 주장에 대해서 … 1190
제24장 성도들의 간절한 기도의 힘으로 모두 용서받으리라는 생각에 대해 … 1192
제25장 세례를 받은 뒤 이단이나 분파로 옮겨간 이, 또는 나쁜 생활을 계속한 이, 성례의 힘으로 영원한 형벌을 피할 수 있는가 … 1198
제26장 그리스도를 바탕으로 삼는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또 불 속을 지나온 사람처럼 구원받는 이는 누구인가 … 1200
제27장 남에게 베풀면 커다란 죄를 날마다 저질러도 벌을 받지 않는다는 주장에 반박을 하며 … 1205
제22권
제1장 천사와 인간의 창조 … 1213
제2장 하느님의 영원하고도 변하지 않는 의지 … 1215
제3장 그리스도교인에 대한 영원한 행복과 신자가 아닌 이들에 대한 끝없는 형벌의 약속 … 1216
제4장 인간의 육체는 하늘 나라로 올라가지 못한다는 주장에 대해 … 1217
제5장 육체의 부활을 믿지 않는 사람들 … 1218
제6장 로마인은 로물루스를 사랑해서 신으로 받들었지만 교회는 그리스도를 신으로 믿으며 사랑한다 … 1220
제7장 세상이 그리스도를 믿는 것은 하느님의 힘이다 … 1224
제8장 기적은 세상이 그리스도를 믿기 위해 존재한다 … 1225
제9장 순교자의 위대한 기적은 그들의 신앙을 증언한다 … 1238
제10장 순교자가 보여준 기적과 악마가 보여준 기적의 차이 … 1239
제11장 땅 위 육체는 하늘에 있을 수 없다는 플라톤학파의 주장에 대해서 … 1241
제12장 부활신앙을 믿지 않는 이들의 비웃음 … 1244
제13장 유산된 아이는 부활하는가 … 1246
제14장 죽어서 부활한 아이의 육체 … 1246
제15장 부활한 이는 모두 주님의 육체를 닮는다 … 1247
제16장‘그리스도 모습과 닮는다’는 말의 뜻 … 1248
제17장 여성은 부활한 뒤에도 여성인가 … 1248
제18장 완전한 사람 그리스도와 그 육체인 교회 … 1250
제19장 부활한 육체의 완전성 … 1251
제20장 부활한 육체에 부족한 부분은 없다 … 1253
제21장 그리스도교인은 새로운 영적인 육체로 바뀐다 … 1255
제22장 그리스도의 은혜 없이는 그 누구도 비참함과 재앙으로부터 구원받지 못한다 … 1256
제23장 착한 사람이 받는 고통 … 1260
제24장 창조주가 준 이 세상의 선 … 1261
제25장 육체의 부활을 믿지 않는 사람들의 고집스런 어리석음 … 1267
제26장 혼은 육체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는 포르피리오스의 주장 … 1268
제27장 플라톤과 포르피리오스의 견해 차이 … 1270
제28장 플라톤, 라베오, 바로의 주장은 부활을 인정한다 … 1271
제29장 다가올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이 볼 하느님의 모습 … 1272
제30장 하느님의 나라에서 영원한 행복과 안식을 … 1278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편력을 찾아서-추적현 … 1284
아우구스티누스 연보 … 1407
참고문헌 … 1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