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게리 해멀
· ISBN : 9788950934187
· 쪽수 : 411쪽
· 출판일 : 2011-11-18
책 소개
목차
개정판 서문
서문
1 쳇바퀴에서 벗어나라
구조조정을 넘어서ㅣ리엔지니어링을 넘어서ㅣ전략 쇄신ㅣ조직 변혁에서 업계 변혁으로ㅣ새로운 전략관을 향해
2 미래의 경쟁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미래를 향해ㅣ오늘의 경쟁 vs 내일의 경쟁
3 잊어버리는 법을 배우다
경영 프레임ㅣ과거 폐기ㅣ재구축의 필요
4 산업 예측력을 위한 경쟁
예측력의 필요성ㅣ예측력 개발하기ㅣ예측력의 토대
5 전략 아키텍처 기술
전략 아키텍처 만들기ㅣ미래에 헌신하기
6 한계로서의 전략
전략적 의도ㅣ기업 도전ㅣ일치에서 스트레치로
7 레버리지로서의 전략
출발 전제ㅣ자원 레버리지 획득하기ㅣ자원보완하기ㅣ전략 프레임 확대하기
8 미래 형성을 위한 경쟁
미래에 먼저 도달하기ㅣ이동 경로 관리하기ㅣ영향력 점유율 최대화
9 미래로 이르는 길
미래로의 관문ㅣ기업 간의 경쟁ㅣ핵심역량은 무엇인가?ㅣ경쟁력 경쟁의 다양한 레벨
10 핵심역량 관점의 적용
핵심역량을 무시할 때의 리스크ㅣ핵심역량 관점
11 미래 확보를 위한 경쟁
탐험적 마케팅ㅣ글로벌 선제공격의 논리
12 다르게 생각하라
경쟁력을 다르게 사고하기ㅣ차별화된 전략적 사고ㅣ조직을 다르게 생각하기ㅣ최종결론
감사의 말
주
참고문헌
책속에서
전략은 오늘의 산업구조 경쟁보다는 내일의 산업구조 경쟁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오늘의 산업구조 경쟁은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기한다. 상품에 어떤 새로운 특질을 추가할까? 어떻게 더 나은 채널 커버리지를 얻을까? 최대한의 시장점유율 혹은 수익을 위해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할까? 반대로 내일의 산업구조 경쟁은 더 심오한 논의를 제기한다. 누구의 상품 콘셉트가 최종적으로 승리할까? 어떤 표준이 채택될까? 어떻게 제휴를 맺고 제휴 구성원들의 파워 점유율은 무엇이 결정할까? 또한 가장 중요한 다음 문제도 있다. 어떻게 해야 태동기 산업의 출현 양상에 영향을 줄 능력을 늘릴 수 있을까?
미래가 과거의 재현이라는 내재적 가정에 의존하는 것 같다. 그렇지 않다면 1991년 IBM이 연구개발 예산의 3분의 1을 빅 아이런(big iron; 고가의 초대형 컴퓨터)에 쏟아부은 걸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업계가 10년 전과 얼마나 달라졌는지는 잘 지적하면서 10년 후의 변화 가능성을 경계하는 경영자는 소수에 불과하다. 변화 양상에 대한 폭넓은 관점을 키우는 경영자는 더욱 적다.
전략 아키텍처는 미래를 낚아채기 위해 당장 해야 할 일들을 파악한다. 즉 오늘과 내일,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를 연결해준다. 미래를 낚아채려면 당장 어떤 역량을 구축해야 하는지, 어떤 채널을 탐구해야 하는지, 어떤 개발 우선순위가 추구되어야 하는지를 조직에게 보여준다. 또한 전략 아키텍처는 폭넓은 기회에 접근하는 계획이다. 전략 아키텍처가 다루는 질문은 기존 상품시장에서의 수입이나 점유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지가 아니라, 앞으로 출현할 기회의 장에서 미래 수입의 상당한 몫을 차지하기 위해 역량 획득의 관점에서 오늘 무엇을 해야 할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