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6484048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9-11-30
책 소개
목차
Lesson 01 변화를 이끌어라
Lesson 02 혁신 포트폴리오 관리
Lesson 03 전략적 의도의 중요성
Lesson 04 전략에는 전략이 필요하다
Lesson 05 성공적인 전략 실행 비결
Lesson 06 리스크 관리의 새로운 틀
Lesson 07 리더가 집중할 것에 관하여
Lesson 08 리더십은 곧 대화다
Lesson 09 성장이 멈출 때 대처법
Lesson 10 행동주의 이사회를 동지로 만들어라
리뷰
책속에서
[경영자의 실수1: 조직 내 긴장감을 조성하지 못한다] 성공적인 변화를 이끄는 노력은 시장 내 경쟁 상황과 포지션, 기술 트렌드, 재무 성과를 관찰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중요한 특허권이 소멸하거나, 핵심 사업의 시장이 쇠퇴하는 추세, 관심 갖지 않던 새로운 시장이 등장할 경우 생길 매출 하락에 미리 주목해야 한다. 그렇게 주목해 얻은 정보를 조직 내 구성원에게 알릴 방법을 고민하고, 무엇보다 현재의 위기와 잠재적 위기, 새로운 기회를 늦지 않게 알릴 방법을 고심해야 한다. 이 첫 단계가 매우 중요한데, 성공적 변화를 이루는 과정에 착수하려면 구성원 다수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구성원에게 동기가 부여되지 않으면 협조도 얻지 못하고, 변화 추구 노력이 허사가 된다.
(Lesson 01 〈변화를 이끌어라〉 중에서)
[경영자의 실수6: 단기성과 목표를 체계적으로 계획하지 않는다] ‘단기성과를 낸다’는 ‘단기성과를 낼 것이다’와 다르다. 전자는 능동적이고 후자는 희망에 해당하며 수동적이다. 변화에 성공한 기업의 경영자들은 연차 계획에서 목표를 설정해 달성하고, 그 성과에 공헌한 직원들에게 승진, 상여금 등으로 보상할 수 있는 방안을 언제나 적극적으로 도모한다. (…) 단기성과를 만들어내는 계획은 계속해서 긴장감을 유지시키고, 빈틈을 놓치지 않는 분석적 사고를 가능하게 해 비전을 다듬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Lesson 01 〈변화를 이끌어라〉 중에서)
[한 번 더 혁신하라] 다소 체계적이지 않은 접근법에 익숙한 기업이 통합적으로 혁신을 관리하려면 반드시 혁신이 필요하다. 체계적인 혁신 관리를 해내는 첫걸음은 구성원 전체가 ‘혁신의 필요성, 역할에 동의하는 것’이다. 기업 경영진은 모두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혁신 목적을 설명해야 한다. 그 후 기업에서 벌어지는 혁신의 모습을 총체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종합 감사로 핵심형 혁신, 인접형 혁신, 변혁형 혁신에 시간과 노력, 돈이 얼마나 배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 배분이 자원의 이상적 배분 비율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도 알아내야 한다.
(Lesson 02 〈혁신 포트폴리오 관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