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0964955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16-05-11
책 소개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발간사
서문
1부 삶과 죽음
1. 참된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더 나은 삶’은 진실에 담금질된 단순하고 근면한 삶_김성일
‘고슴도치’의 신념으로 ‘여우’처럼 낯설게 살기_이강은
2. 행복이란 무엇인가?
성자와 늙은 괴물 사이에서 평화를 꿈꾼 톨스토이_김성일
개체가 아닌 전 존재의 행복만이 진정한 행복_이강은
3. 사랑이란 무엇인가?
진정한 사랑은 인간의 삶 자체를 고양시키는 법_이강은
4.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의 공포는 그릇된 삶에 대한 공포일 뿐_김성일
영원한 정신적 생명은 죽음과 무관하다_이강은
5. 절망을 극복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절망은 현실 아닌 ‘현실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오는 것_이강은
6. 건강이란 무엇인가?
몸에 대한 집착이 몸을 병들게 한다_이강은
2부 나와 우리
7. 나는 누구인가?
파우스트의 힘과 부처의 자유를 소망한 톨스토이_김성일
‘진실한 인간적 생명’으로 다시 태어나라_이강은
8. 이웃이란 무엇인가?
참된 이웃, 그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어야_김성일
도덕적 자기완성이 마침내 머무는 곳_이강은
9. 가족은 삶의 걸림돌인가, 디딤돌인가?
가족, 완전한 삶을 향한 성찰이 시작되는 곳_이강은
10. 국가란 무엇인가?
불평등과 권력, 그 폭력의 규범으로서의 ‘국가’_김성일
11. 재산이란 무엇인가?
‘나의 것’은 없다. ‘우리의 것’이 있을 뿐_이강은
12. 사회적 실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진정한 자기완성이 사회적 실천의 토대다_이강은
3부 생각과 행동
13. 왜 일을 하는가?
인간이 가장 부끄러워해야 하는 것은 ‘육체적 나태’_김성일
영혼의 계율이 사랑이라면 육체의 계율은 노동_이강은
14. 쾌락이란 무엇인가?
쾌락은 온갖 유익을 가두는 육체의 감옥_김성일
15. 효과적인 의사전달은 어떻게 가능한가?
진심에 기초한 소통의 진실이 중요하다_이강은
16. 반성이란 무엇인가?
자기존재의 현존성을 그 뿌리에서부터 성찰하라_이강은
17. 전쟁은 불가결한 것인가?
모든 전쟁은 궁극적으로 무의미한 사건일 뿐_김성일
18. 출세란 무엇인가?
출세에의 욕망은 자기완성과 사랑으로 승화시켜야_이강은
19. 애국심이란 무엇인가?
세계평화와 인류공존을 도모하는 사랑이 곧 애국심_이강은
4부 철학과 사상
20. 신에 대한 믿음은 필요한가?
신은 진실을 알지만 다만 기다릴 뿐이다_김성일
신이 없다면 세상 그 무엇도 존재하지 않는다_이강은
21. 죄와 용서의 관계는 무엇인가?
영혼의 편을 드는 사람은 행복하다_이강은
22.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은 삶을 바라보는 다양한 창일지니_김성일
예술은 삶의 진실을 드러내는 아름다움이다_이강은
23. 톨스토이는 소설가인가, 예언가인가?
스스로를 고슴도치라고 믿었던 여우의 삶_김성일
24. 비폭력과 무저항주의란 무엇인가?
악을 다스리는 것은 인간의 일이 아닌 신의 일_이강은
25. 톨스토이는 동양의 현자인가?
영혼이 올바로 살아가기 위한 길이 ‘선’이자 ‘도’_김성일
주석
책속에서
개체로서 개인이 생각하는 생명이란 헛된 망상이라고 톨스토이는 말한다. 진정한 생명은 전 세계, 전 존재가 함께 누리고 있는 보편적인 것이다. 따라서 인간이 진정한 행복을 느끼기 위해서는 태어나 소멸하는 육체가 아니라 전 존재의 영원한 생명의 행복을 지향해야 한다.
톨스토이는 인간이 삶의 고통과 절망을 통해 오히려 삶의 본질적 의미를 깨우쳐갈 수 있다고 말한다. 고통과 절망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의 이성적 활동을 촉진하는바, 그것을 통해 인간은 자신과 세계의 모든 고통과 절망에 대한 자신의 원죄의식을 깨닫고 그것을 극복하는 활동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톨스토이의 개성에 대한 이 두 평가 모두에 공통된 특징은 그들이 톨스토이에게 불안이 중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인지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예수의 차분한 추종자가 되는 것과는 거리가 멀고, 그가 갈등의 소산이었고 부단한 투쟁의 소산이며 쉘링의 유명한 말, “투쟁이 있는 곳에 삶이 있다”의 실례가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