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7239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7-11-0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전환기의 한국경제,
재도약할 수 있을까
특집: 일본은 한국의 미래인가?
▶ Introduction
01│한국은 일본을 그대로 닮아가는가
02│고령화와 재정: 일본의 경험으로부터 배울 것은?
03│생산성과 경쟁력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기업
04│부동산, 일본과 무엇이 다른가
05│한국도 일본처럼 청년 실업이 없어질까
제1장 중국, 4차 산업혁명 그리고 한국 산업의 미래
▶ Introduction
01│게임 산업, 중국의 비상과 패러다임의 변화
02│4차 산업혁명과 에너지 4.0 시대 한-중 미래 전략
03│바이오 제약 산업의 혁신 트렌드
04│스마트 시티, 한-중 도시 생활을 바꾸다
05│중국의 스마트 농업 혁명과 한국의 기회
06│중국의 스마트 헬스케어, 한국과 무엇이 다른가
07│공유경제의 신모델, 중국에서 배워라
08│핀테크 시장의 핫 키워드, 블록체인과 무현금 사회
09│4차 산업혁명 시대 중국과 한국의 유통 혁신
제2장 세계경제 트렌드
▶ Introduction
01│추격지수로 본 한국경제와 세계경제
02│아베노믹스와 세 개의 화살, 성공한 전략인가
03│브렉시트 과정의 영국, 어디로 갈 것인가
04│무디스는 왜 중국의 신용등급을 강등시켰나
05│중국 핀테크 은행의 화려한 성장과 변화
제3장 국내 경제 이슈와 정책 트렌드
▶ Introduction
01│2018년 한국경제, 시험대에 오르다
02│노동 시장, 일자리의 양과 질을 제고하라
03│사라질 것인가? 살아남을 것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04│2018 부동산 키워드, 금리와 공급 과잉
05│제3의 경제 모델, 사회적 경제
06│‘포용적 성장’의 길, 재벌 개혁
제4장 주요 산업과 산업 정책 트렌드
▶ Introduction
01│친환경 자동차에서 미래를 찾다
02│철강 산업, 새로운 관점의 혁신이 필요하다
03│문화 콘텐츠 산업, 한류를 넘어서야 할 시점
04│의료 산업 활성화와 의료 공공성 사이의 줄다리기
05│중국의 추격과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신산업 정책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경제는 세계에서 일본경제와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정부 주도의 경제, 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 우위의 경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이중 구조, 경직적인 노동 관행, 교육제도 그리고 빠른 인구의 고령화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과 유사한 경제 구조를 가진 한국은 2000년대 이후에 GDP 성장률은 일본처럼 급격하게 하락하지는 않지만,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노동 투입의 기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중략)
한국경제가 일본경제를 답습하지 않는 유일한 방법은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기업이 보다 투자를 많이 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기업이 더 많이 탄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 시스템을 빠르게 전환하는 것이다. 1997년의 아시아 금융위기 때 퇴출한 재벌과 기업들은 많지만, 그 기업들을 대체할 새로운 기업군의 등장은 없었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가진 보다 성장성이 높고 효율적인 기업이 시장에 새롭게 진입하지 않으면 신규 투자 수요를 창출할 수 없고, 하락하는 자본 수익률도 개선할 수 없다. 유효성을 상실한 경제 시스템을 버리고 좀 더 효율적인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새로운 노동, 생산, 자원 배분 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피해와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속가능한 사회보장제도, 의료제도와 교육제도의 개선도 동시에 요구된다.
_ 특집: 일본은 한국의 미래인가? | 01 한국은 일본을 그대로 닮아가는가
중관춘 커피숍에 모여 삼삼오오 짝을 짓고 사업 아이디어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논의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오는 각종 공유경제 회사들, 이들 중에 진주를 발견하고 키우기 위해 눈을 켜고 돈 쓸 준비를 하는 1만 개가 넘는 투자 회사들, 자신의 네트워크 외연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유지를 위해 서슴없이 큰돈을 써가며 스타트업들을 사들이는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와 같은 플랫폼 대기업들, 규제 철폐와 기업 육성에 앞장서는 중국 정부, 이들이 이뤄내는 선순환 구조의 생태계 속에서 수많은 기업들이 태어나고 경쟁에서 탈락해 사라지겠지만, 이 과정에서 디디추싱 같은 적지 않은 기업들이 우버와 경쟁해도 살아남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공무원 시험 준비를 위해 사설 학원 앞에 길게 줄 서 있는 대학생들, 창업자에게 개인 연대보증과 자산 담보를 요청하는 투자 회사, 투자 회사에 창의적 기업가의 발굴이나 육성보다 위탁 자산의 재무적 안전성 확보를 요구하는 기관 투자자, 자체 개발에만 열중하고 M&A에 소극적인 대기업, 이익단체의 입김에 각종 규제 법안들을 쏟아내는 국회, 기존의 국내 산업 보호에만 전전긍긍하는 소극적 관료들이 넘쳐나는 한국과는 묘한 대조를 이룬다.
_ 제1장 중국, 4차 산업혁명 그리고 한국 산업의 미래 | 07 공유경제의 신모델, 중국에서 배워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