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조국의 산하를 걷다)

김상기, 신복룡, 도진순, 한규무, 김용달 (지은이),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arte(아르테)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범의 길 : 강원.충청.전라.경상 편 (조국의 산하를 걷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50975753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8-06-26

책 소개

냉전 시기를 한참 지나 왔지만 이제야 얼어붙어 있던 남북 관계가 회복되어 가는 듯하다. 이러한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백범의 길』의 필자들은 김구가 걸어간 길 위에서 당시의 시대상과 그의 행동과 사상을 돌아보았다. 이는 김구라는 한 인물을 통해 우리의 근현대사를 조망해 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목차

발간사 김구의 숨결, 얼과 혼을 찾아가는 먼 길
서문 당신은 그곳에 가 보았는가?

보은 장안 대도소 최시형을 만나다
탈옥 후 삼남 지방 피신길 발길 닿는 대로, 인연이 이끄는 대로
공주 마곡사 출세간의 길을 가다
공주 공산성과 청양 모덕사 광복된 조국을 기리며
예산 윤봉길 의사 고택 윤봉길 의사 나고 자라난 고향

춘천 가정리 유인석 묘소 존경과 그리움의 여정

무주의 서벽과 김천의 벽서 푸르른 심산유곡에서의 비밀 회동
김천 달이실 마을 거북이, 연꽃 아래 잠행하다
남도 순방과 부산 전재민수용소 새로운 정치적 도약을 위하여
김해 김수로왕릉 난생처음 사모각대를 갖추고
진해 해안경비대 열병식을 참관하고 1호 경비함을 타다
진해 충무공 시비 바다에 맹세하고 산에 다짐하노니
진주 촉석루 촉석루 편액의 위치가 바뀐 사연
통영 한산섬 제승당 편액을 다시 걸고

순천 송광사 사진으로 찾은 김구의 발자취
보성 김광언 가옥 쇠실마을에서 추억에 잠기고
함평 이동범 가옥 토굴과 다락방에서 몸을 숨기던 곳
광주 대성국민학교와 광주여자중학교 환영회와 강연회
광주극장, 전남방직공장, 관음사 광주 시내의 자취를 찾아서
광주 백화마을 전재민을 위한 보금자리
무등산 오방정 노구를 이끌고 무등산에 오르다

군산공설운동장 공설운동장을 울리던 사자후
김제 원평과 익산 김홍량 가옥 오래전 발길이 닿았던 곳으로
전주 김형진 가옥과 전주향교 호남제일성으로

연보
참고 문헌
색인

저자소개

도진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중국 베이징대학교, 일본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초빙교수를 지냈다. 현재 창원 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다. 저서로 『한국 민족주의와 남북 관계: 이승만·김구 시대의 정치사』(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수상), 『백범일지』, 『정본 백범일지』, 『백범어록』,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 『강철로 된 무지개: 다시 읽는 이육사』, 『백범의 길: 조국의 산하를 걷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복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청북도 괴산 출신/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동대학원 수료(정치학 박사)/ 건국대학교 교수(1979~2007)/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객원교수(1985~86)/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1999~2000)/ 건국대학교 중앙도서관장·대학원장/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상·학술원상 심사위원(1990, 2002)/ 한국정치학회 학술상 수상(2001)/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회장(2007)/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서훈심사위원(장)(2009~23)/ 한국정치학회 인재 윤천주 학술상 수상(2011)/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좌교수(2007~12) ❙저 서 <한말 개화사상 연구>(평민사, 1987)/ <한국의 정치사상가>(집문당, 1999)/ <大同團實記>(선인, 2003)/ <한국정치사>(박영사, 2003)/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선인, 2006)/ The Politics of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Edison, NJ : Jimoondang International & Seoul : Jimmondang, 2008)/ <한국사에서의 전쟁과 평화>(선인, 2021)/ <이방인이 본 조선의 풍경>(집문당, 2022)/ <잘못 배운 한국사>(집문당, 2022)/ <전봉준평전>(글을 읽다, 2024)/ <해방정국의 풍경>(중앙Books, 2024)/ <한국분단사연구 : 1943~1953>(한울, 2025 : 개정증보판) ❙번역서 <민족자결주의>(National Self‑Determination, 광명출판사, 1968, 공역)/ <칼 마르크스>(Karl Marx, 평민사, 1982)/ <현대정치사상>(Political Ideologies, 평민사, 1984, 공역)/ <묵시록의 4기사>(Four Horsemen, 평민사, 1988)/ <외교론>(Diplomacy, 평민사, 1998)/ <한말외국인기록>(집문당, 1999~2000, 전10책, 23권, 일부 공역)/ <모택동자전>(Red Star over China, 평민사, 2001)/ <갑신정변회고록>(건대출판부, 2006, 공역)/ <군주론>(The Prince, 을유문화사, 2006)/ <정치권력론>(Political Power, 선인, 2006)/ <林董秘密回顧錄>(건국대학교출판부, 2007, 공역)/ <入唐求法巡禮行記>(선인, 2007)/ <삼국지>(집문당, 2021, 5책)/ <플루타르코스영웅전>(을유문화사, 2021, 5책)/ <한국분단보고서>(선인, 2023, 3책, 공역)/ <신·구약성경>(Naver/Blog)
펼치기
한규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사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상임위원을 지냈고, 현재 광주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부 교수이다. 저서로 『일제하 한국기독교 농촌운동』, 『근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모』(공저), 『뒤집어 본 인물 열전』, 『기독교민족운동의 영원한 지도자 이승훈』, 『시선의 탄생』(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성남에서 태어나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근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기념관 연구원과 국가보훈처 연구관, 명지대학교·단국대학교·호서대학교 강사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겸임교수를 지냈다. 북악사학회 회장과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을 거쳐 2019년 현재는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 <한국독립운동사강의>(공저, 1998) <이봉창 의사와 한국독립운동>(공저, 2002) <일제의 농업정책과 조선농회>(2003) <한국독립운동의 인물과 노선>(2004) <사실로 본 한국근현대사>(공저, 2005) <3·1운동기 서대문형무소와 학생운동>(공저, 2007)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8?농민운동>(2009) <일왕 궁성을 겨눈 민족혼 김지섭>(2011) <살신성인의 길을 간 의열투쟁가 김지섭>(2017) <백범의 길, 조국의 산하를 걷다>(공저, 2018)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내특파원」(1999) 「청산리대첩에 대한 임시정부의 대응」(2000) 「안창호와 박은식의 민족운동론」(2003) 「해공 신익희와 대한민국」(2010) 「안창호의 민족운동과 민족운동지도론」(2012) 「광복전후 좌우 독립운동세력의 국가건설론」(2013)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의열단과 의열투쟁의 의의」(2014)
펼치기
김상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와세다대학과 캐나다 UBC 방문교수,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소장과 박물관장을 지냈으며, 2019년 현재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매헌기념관 매헌연구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저서] <한말의병연구>, 일조각, 1997 | <중국동북지역 한국독립운동사>(공저), 집문당, 1997 | <제노사이드와 한국근대>(공저), 경인문화사, 2009 | <한말전기의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공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3 | <윤봉길>, 역사공간, 2013 | <호서유림의 사상과 민족운동>, 지식산업사, 2016 | <한말의병운동-전기,중기의병>, 선인, 2016 | <행동하는 지성, 한국의 독립운동가>(증보판), 충남대 출판문화원, 2019 등 다수
펼치기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기획)    정보 더보기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는 1949년 6월 26일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한 후 조직된 ‘고 백범김구선생국민장위원회’의 위원장 오세창, 부위원장 김규식, 조완구, 이범석, 김창숙, 조소앙, 최동오, 명제세 등의 위원을 중심으로 1949년 8월 6일에 창립한 협회이다. 오직 조국과 민족을 위했 던 백범 김구 선생의 뜻을 이어 가기 위해 전시와 교육, 역사 자료 수집과 편찬 등 의미 있는 기획을 통해 대중들과 만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장소’에 주목한 것은 역사가에게는 현장감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역사의 현장은 영감을 준다. 탐방객들 사이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유행하지만, 그보다는 ‘사랑하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맞다고 느끼기에, 우리는 김구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의 발자취도 사랑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썼다. 역사가든 탐방객이든, 아니면 어느 위인을 추종하는 사람이든 그들의 일차적 동기는 주제에 대한 애정이다. 그 애정의 근원은 “나도 거기에 가 보았어”라는 일체감일 것이다.
-「서문」 에서


동학의 2대 교주인 최시형이 정부의 탄압을 피해 태백산 등 여러 곳에서 피신 생활을 했는데, 이곳 국사봉 서남쪽 끝자락에 있던 가섭암에서도 숨어 지냈다고 한다. 1898년 6월 최시형이 체포되어 사형당했는데,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늦가을, 최시형으로부터 접주 임명을 받은 김구가 피신 생활을 하다가 끝내는 마곡사에 들어가게 되었다.

하루 종일 걸어서 마곡사 남쪽 산꼭대기에 오르니, 해는 황혼인데 온 산에 단풍잎은 누릇누릇 불긋불긋하였다. 가을바람에 나그네의 마음은 슬프기만 한데 저녁 안개가 산 밑에 있는 마곡사를 마치 자물쇠로 채운 듯이 둘러싸고 있는 풍경을 보니, 나같이 온갖 풍진 속에서 오락가락하는 자의 더러운 발은 싫다고 거절하는 듯하였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저녁 종소리가 안개를 헤치고 나와 내 귀에 와서 모든 번뇌를 해탈하고 입문하라는 권고를 들려주는 듯하였다(.『 백범일지』 151쪽)

김구는 마곡사에 도착했을 때의 풍경과 심정을 이렇게 묘사하였다. 위 글은 마치 어느 수필집의 한 구절같이 유려하다. 비록 소설가 춘원의 손을 거쳐 나온 문장이라지만, 김구의 심사가 잘 나타난다. 필자가 김구의 자취를 찾고자 마곡사에 간 것이 11월 어느 날 오후 4시경이었다. 120년 전 김구가 왔던 시각도 비슷한 때였다. 며칠 전 내린 눈으로 남아 있는 단풍도 잎이 누렇게 바래 있었다. 김구가 느꼈을 쓸쓸함이 밀려왔다.

「공주 마곡사-출세간의 길을 가다 」


김구의 사상이나 종교의 편력이 아무리 복잡하다 해도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유교 사상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지 않을 수 없다. 젊은 날에 관서의 유학자인 고능선(高能善, 1842~1922)을 만난 것이 그의 운명을 갈랐다. 김구는 자신이 그를 만난 것은 “젖을 주리던 아이가 젖엄마를 만난 것과 같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고능선의 학맥은 화서학파華西學派로 이어진다. 호는 후조後凋이다. 그는 1880년대 후반에 3년간 강원도 춘성군 가정리의 가정서사柯亭書舍에서 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그는 화서학파 안에서 그리 두드러진 인물은 아니었다. 그 무렵 고능선은 유중교의 집안 조카인 의암 유인석을 만났다. 고능선과 유인석은 동문수학을 한 동갑내기로서 그 사이가 자별했다.
고능선이 어떤 인연으로 춘천을 찾아갔는지는 알 수 없다. 1893년, 그러니까 50세가 넘은 초로에 고능선은 안중근安重根의 아버지인 안태훈安泰勳의 초청으로 황해도 신천에 정착하여 청계동에서 학동을 가르치고 있었다. 이 무렵에 김구는 황해도 팔봉 접주로 동학농민전쟁에 참가한 뒤 안태훈의 주선으로 청계동에 피신하러 가면서 안태훈을 통하여 고능선을 만났다. 김구의 충의를 들은 고능선도 그를 각별히 아꼈다. 이때 김구는 고능선에게서 『화서아언華西雅言』과 『주자백선朱子百選』을 배웠다. 그 뒤 안태훈 일가와 종교적 문제로 갈등하다가 단발령을 계기로 고능선은 청계동을 떠났다. 고능선은 김구를 손주사위로 삼을 생각을 할 만큼 그를 사랑했으나 인연은 거기에서 그쳤다.
고능선은 김구에게 이제 청나라의 복수 전쟁이 곧 일어날 것이니 이때를 이용하여 국모를 죽인 일본에게 항전할 의병 활동을 권고하면서, “나라가 망하는 데도 신성하게 망함과 더럽게 망함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더럽게 망하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조국의 미래를 걱정하며 서로 붙잡고 울 때도 있었다.

「춘천 가정리 유인석 묘소-존경과 그리움의 여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