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 하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 하

김주용, 리셴즈, 심지연, 은정태, 이신철, 푸더민 (지은이),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기획)
arte(아르테)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범의 길 :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 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5097582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9-06-26

책 소개

한국과 중국의 역사 전문가 11명이 희미하게 남아 있는 김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 그리고 가족들의 발자취를 샅샅이 더듬어 그들이 걸어간 항일 노정을 되밟았다. 하권에서는 우한에서 시안으로, 그리고 다시 상하이로 이어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치 활동과 피난 생활의 흔적을 따라가며 “무엇이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고 변했으며 또 사라졌는지”를 확인했다.

목차

발간사 그 멀고 험난한 가시밭길을 따라

우한·창사
우한 국민정부청사: 전쟁의 시작
창사 백범김구 활동기념관: 혼란스러운 정국의 소용돌이
광저우·포산
광저우 둥산 보위안과 야시야뤼관: 임시정부의 임시 거처
광저우의 쑨원 호법정부: 임시정부가 호법정부를 만나다
광저우, 국공합작의 도시: 혁명과 독립을 꿈꾸던 청춘들
광저우 황푸 강변 학생묘지: 중국혁명의 와중에 스러지다
포산 임시정부 가족 거주지: 불안한 미래와 다급한 피난길
임시정부 가족들의 피난길: 충칭으로 가는 길
구이핑·류저우
싼수이에서 류저우까지: 강물 위에 뜬 망명정부
류저우 임시정부기념관: 일본군의 공습 아래서
류저우 취위안극장: 부상병 위문 공연
충칭·시안
충칭, 투차오와 허상산: 임시정부 가족들의 거처
충칭,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항전을 위해 힘써 일군 터전
한국광복군 전진사령부 기지: 무장 독립 투쟁의 중심
OSS훈련지 미퉈구스: 참전을 위해 땀 흘리던 곳
김구의 충칭 생활기: 독립을 지탱한 버팀목

연보
참고 문헌

저자소개

심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졸업 (정치학박사) 동아일보 기자 역임 국회입법조사처장 역임 한국정당학회 회장 (2001~ 2002년)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 (2003년) 한국정치학회 회장 (2004년) 현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주요저서] 『韓國民主黨 硏究 1』 (풀빛, 1982) 『韓國民主黨 硏究 2 ; 韓國現代政黨論』 (창작과 비평사, 1984) 『민족주의논쟁과 통일정책』 (한울, 1985) 『해방정국논쟁사』I (한울, 1986) 『朝鮮革命論 硏究』 (실천문학사, 1987) 『朝鮮新民黨 硏究』 (동녘, 1988) 『미소공동위원회 연구』 (청계연구소, 1989) 『인민당 연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대구 10월항쟁 연구』 (청계연구소, 1991) 『잊혀진 革命家의 肖像 : 金枓奉硏究』 (인간사랑, 1993) 『허헌 연구』 (역사비평사, 1994) 『송남헌회고록 : 김규식과 함께 한 길』 (한울, 2000) 『역사는 남북을 묻지 않는다』 (소나무, 2001) 『남북한 통일방안의 전개와 수렴』 (돌베개, 2001) 『이강국 연구』 (백산서당, 2006) 『이주하 연구』 (백산서당, 2007) 『최창익 연구』 (백산서당, 2009) 『해방정국의 정치이념과 노선 (증보판)』 (백산서당, 2014) 『조선공산주의자들의 인식과 논리 (증보판)』 (백산서당, 2017) 『한국정당정치사 (제3차증보판)』 (백산서당, 2017) 『33편의 서문』 (백산서당, 2021) 『한국정당정치사 (제4차증보판)』 (백산서당, 2022)
펼치기
김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근대사를 전공하면서 중국 동북지역의 일제침략사, 한인이주사, 한국독립운동사 및 제노사이드 연구를 주로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한국독립운동과 만주』(2018), 『대한독립대장정』(2021), 『함경도지역 애국계몽운동』(2022), 편역서로는 『재만조선인통제(1) - 재만조선인 이주정책과 친일단체 육성』 등이 있다.
펼치기
리셴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이징대학 고고학과와 충칭사범대학 한어국문학과에서 공부했다. 한국 독립기념관 방문 학자를 거쳐 중국 충칭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진열관 부관장을 지냈다. 저서로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실태조사보고서 14: 중국 중남부지역, 미국 중부·동부지역』(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푸더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쓰촨성 충저우 출신이다. 충칭공상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산문이론가이자 작가이다. 충칭시 제1회 중국 현대문학 학술분야 대표. 중국 국무원 지정 정부특수 전문가이다. 현재 중국 작가협회 회원과 중국 산문학회 상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 100여 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산문집 『한국여행수필』, 역사산문집 『백절불굴의 김구』 등이 있다.
펼치기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기획)    정보 더보기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는 1949년 6월 26일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한 후 조직된 ‘고 백범김구선생국민장위원회’의 위원장 오세창, 부위원장 김규식, 조완구, 이범석, 김창숙, 조소앙, 최동오, 명제세 등의 위원을 중심으로 1949년 8월 6일에 창립한 협회이다. 오직 조국과 민족을 위했 던 백범 김구 선생의 뜻을 이어 가기 위해 전시와 교육, 역사 자료 수집과 편찬 등 의미 있는 기획을 통해 대중들과 만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중국과 일본의 전면전이 시작되자 독립운동가들은 이때를 한국이 독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인식하였다. 그 당시까지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던 각 단체들 사이에 연합전선 문제가 대두되었다. 결국에는 민족주의 진영의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와 사회주의 성향의 조선민족전선연맹이 형성되었다. 그중 한커우에서 결성된 조선민족전선은 무장 부대 조직과 대일 항전 참여를 목표로 하였다. 조선민족전선은 1938년 7월 중양군관학교 싱쯔분교 졸업생들이 민족전선 본부가 있는 한커우로 합류해 오면서 본격적으로 무장 부대 조직에 착수하여 1938년 7월 7일 중국군사위원회에 조선의용군 조직을 정식으로 건의하였다. 이 제안은 장제스의 재가를 거쳐 모든 항일 세력의 연합을 전제로 하고, 규모상의 문제로 무장 부대를 ‘군’보다는 ‘대’로 할 것과 조직될 무장 부대를 군사위원회 정치부 관할에 둔다는 조건으로 승인되었다. 1938년 10월 2일 한국 및 중국 양측 대표들은 회의를 개최하여 조선의용대 지도위원회를 조직하였다.
_ 우한·창사-우한 국민정부청사


포산에서 임정 가족들의 생활은 그동안 누려 왔던 삶과는 거리가 멀었다. 타국이라고는 하지만 그전까지만 해도 일자리가 있어 여유롭지는 않았으나 끼니 걱정은 그럭저럭 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산에서는 일자리를 전혀 구할 수 없었다. 수입이 없어 먹을 것과 입을 것에 늘 신경을 써야 했는데, 그나마 임시정부가 가족 수에 맞춰 생활비를 나누어 주었기에 간신히 기본적인 생계는 이어 갈 수 있었다 . 그렇지만 언제 또다시 피난을 가야 할지 몰라 늘 짐을 쌀 준비를 하며 하루하루를 불안 속에서 보냈다. 이러한 불안은 오래지 않아 현실로 다가왔는데, 중국 해안을 봉쇄하고 있던 일본군이 10월 초 광둥성에 상륙했기 때문이다. 광저우 함락이 눈앞에 닥친 상황에서 더 이상 포산에 머무를 수 없어, 임시정부는 짐을 꾸려 일단 싼수이로 피난을 가게 되었다. 정정화는 당시의 상황을 『장강일기』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_ 광저우·포산-포산 임시정부 가족 거주지


구이핑을 거쳐 류저우에 온 임시정부 요인과 가족들은 모두 120명 정도였다. 각종 기록에 나오는 임시정부 요인들과 가족의 거주지는 장시후이관, 징시로 10호, 타이핑시가 18호, 칭윈로 109호, 그리고 랴오레이공관, 그리고 대한민국임시정부 항일투쟁기념관이 위치한 러췬서 등등이었다. 초기부터 분산 수용되었고, 류저우를 떠날 때까지도 변화는 없었다. 류저우에는 잠시 동안 머물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1939년 4월에 충칭으로 이동하게 된 것은 교통편이 그때서야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즉, 류저우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공식적인 판공처를 설치해 운영했다기보다는 조만간의 이동에 대비해 잠시 대기하던 곳이라 하겠다.
_ 구이핑·류저우-류저우 임시정부기념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0983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