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장관 이덕무 연구

청장관 이덕무 연구

안대회, 정우봉, 김대중, 김문식, 정호훈 (지은이), 재단법인 실시학사 (엮은이)
학자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장관 이덕무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장관 이덕무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62471326
· 쪽수 : 426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이덕무가 문학과 학술 분야에서 다채롭게 일궈 놓은 성취를 다섯 개 분야의 전문 연구자가 새로운 시각에서 깊이 있게 분석한 저서다.

목차

간행사 • 실학연구총서를 펴내며 •••••••••••••••••••••••••••••••••••••••••••••••••••••••••••••• 5
이 책을 내면서•••••••••••••••••••••••••••••••••••••••••••••••••••••••••••••••••••••••••••••••••••••••• 9
이덕무의 신시 창작론과 창작의 실제 / 안대회
1. 머리말••••••••••••••••••••••••••••••••••••••••••••••••••••••••••••••••••••••••••••••••••••••••••••••• 23
2. 신시(新詩)의 창작과 자각(自覺)의 시론 •••••••••••••••••••••••••••••••••••••••••••••••• 24
3. 시의 진실과 표현의 신선함 •••••••••••••••••••••••••••••••••••••••••••••••••••••••••••••••• 40
4. 시어의 혁신과 감각적 표현의 깊이 ••••••••••••••••••••••••••••••••••••••••••••••••••••• 48
5. 체물(體物)의 시각과 세완(細玩)의 미학 •••••••••••••••••••••••••••••••••••••••••••••••• 57
6. 맺음말 ••••••••••••••••••••••••••••••••••••••••••••••••••••••••••••••••••••••••••••••••••••••••••••• 72

이덕무 필기소품의 작품 세계 /정우봉
1. 문제 제기 ••••••••••••••••••••••••••••••••••••••••••••••••••••••••••••••••••••••••••••••••••••••••• 79
2. 이덕무의 필기소품 개관 ••••••••••••••••••••••••••••••••••••••••••••••••••••••••••••••••••••• 80
3. 이덕무 필기소품의 작품 세계 ••••••••••••••••••••••••••••••••••••••••••••••••••••••••••••• 95
4. 마무리•••••••••••••••••••••••••••••••••••••••••••••••••••••••••••••••••••••••••••••••••••••••••••••• 131

이덕무—사랑의 박물학 /김대중
1. 실학연구와 ‘사랑’ ••••••••••••••••••••••••••••••••••••••••••••••••••••••••••••••••••••••••••••••• 141
2. 독서행위의 육체성 •••••••••••••••••••••••••••••••••••••••••••••••••••••••••••••••••••••••••••••• 144
3. 책에 대한 쾌락주의적 태도 •••••••••••••••••••••••••••••••••••••••••••••••••••••••••••••••••• 154
4. 박물학의 운동성과 그 명암 •••••••••••••••••••••••••••••••••••••••••••••••••••••••••••••••••• 161
5. 이덕무의 죽음이 남긴 것 •••••••••••••••••••••••••••••••••••••••••••••••••••••••••••••••••••••• 199

청장관 이덕무의 대외인식 /김문식
1. 머리말 ••••••••••••••••••••••••••••••••••••••••••••••••••••••••••••••••••••••••••••••••••••••••••••••• 207
2. 청에 대한 인식 ••••••••••••••••••••••••••••••••••••••••••••••••••••••••••••••••••••••••••••••••••• 209
3. 일본에 대한 인식 •••••••••••••••••••••••••••••••••••••••••••••••••••••••••••••••••••••••••••••••• 235
4. 맺음말•••••••••••••••••••••••••••••••••••••••••••••••••••••••••••••••••••••••••••••••••••••••••••••••• 259

사소절의 문제 의식과 도덕 세계 /정호훈
1. 머리말•••••••••••••••••••••••••••••••••••••••••••••••••••••••••••••••••••••••••••••••••••••••••••••••• 265
2. 사소절(士小節)의 형성과 유통 •••••••••••••••••••••••••••••••••••••••••••••••••••••••••• 267
3. 서족의 가훈서 사소절의 기획 : 소학을 넘어서는 규범서 •••••••••••••••••• 278
4. 사소절의 시선과 생활 세계 : 사(士)의 본분과 규범의 현재성•••••••••••••••• 290
5. 사소절의 지식 원천 : 독서와 경험 •••••••••••••••••••••••••••••••••••••••••••••••••••• 308
6. 사소절의 도덕율 : 나, 나와 타인, 나와 공동체의 규범 •••••••••••••••••••••••• 321
7. 맺음말•••••••••••••••••••••••••••••••••••••••••••••••••••••••••••••••••••••••••••••••••••••••••••••••• 339

부록
청장관 이덕무 연구 논저 목록 •••••••••••••••••••••••••••••••••••••••••••••••••••••••••••••••••• 347
청장관 이덕무 연보 ••••••••••••••••••••••••••••••••••••••••••••••••••••••••••••••••••••••••••••••••• 357
청장관 이덕무 연구 집담회 ••••••••••••••••••••••••••••••••••••••••••••••••••••••••••••••••••••• 375
찾아보기 •••••••••••••••••••••••••••••••••••••••••••••••••••••••••••••••••••••••••••••••••••••••••••••••• 413

저자소개

김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학예연구사를 거쳐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한국실학학회 회장,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정약용의 경학과 경세학』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
펼치기
안대회 (해설)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문과대학 학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장과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15년에 제34회 두계학술상을 받았고, 2016년에 제16회 지훈상 국학 부문을 수상했으며, 2023년에는 SKKU-Fellowship 교수로 선정되었다. 2024년에는 제38회 인촌상 인문·사회 부문을 수상하였다. 정밀하면서도 깊이 있는 사유를 바탕으로 옛글을 고증하고 해석해 왔으며, 담백하고 정갈한 문체로 선인들의 글과 삶을 풀어내 왔다. 지은 책으로 『한국시화사』, 『조선의 명문장가들』, 『담바고 문화사』, 『궁극의 시학』, 『천년 벗과의 대화』, 『벽광나치오』, 『조선을 사로잡은 꾼들』, 『정조의 비밀편지』, 『선비답게 산다는 것』,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등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 『채근담』, 『만오만필』(공역), 『해동화식전』, 『한국 산문선』(공역), 『완역 정본 택리지』(공역), 『소화시평』, 『내 생애 첫 번째 시』, 『추재기이』, 『북학의』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정호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7세기 北人系 南人 學者의 政治思想》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이다. 저서로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 《조선의 《소학》: 주석과 번역》, 《교화와형벌: 조선의 범죄대책과 《경민편》》이 있고, 역서로 《선각》, 《대학연의》(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정우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문학, 고전 산문, 비평사, 동아시아 문화 교류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옛사람의 글을 널리 알리는 일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조선 후기의 일기문학》(2016), 《조선후기 시론사의 구도와 전개》(2021), 《조선 사람들, 자기 삶을 고백하다》(2021)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침은 언제 오는가》(2007), 《후쿠나가 미츠지의 장자 내편》(공역,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풍석 서유구 산문 연구>가 있다.
펼치기
재단법인 실시학사 (기획)    정보 더보기
실학사상의 계승·발전을 위한 학술연구와 지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2010년 설립된 공익재단법인이다. 재단은 벽사 이우성 선생이 1990년 서울 대치동에서 문을 연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실학사상의 학술연구팀을 구성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연구 성과를 모아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로 출간하고 있다. 또한 재단은 실학 관련 고전을 번역한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를 속속 출간하고 있고, 실학 관련 연구자들의 업적을 현창하고 신진학자를 격려하기 위한 사업으로 ‘벽사학술상’과 ‘모하실학논문상’을 제정하여 시상하는 등 실학 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한 출판, 행사,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재단은 1990년대부터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해온 ‘경학연구회’와 한국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해온 ‘고전문학연구회’, 두 연구회의 공동학술연구모임 등 재단 산하 연구회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연구자 육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재단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 실학사상이 개화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에 걸쳐서 우리나라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