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52203540
· 쪽수 : 266쪽
· 출판일 : 2005-04-30
책 소개
목차
e시대의 절대사상을 펴내며
1부 시대.작가.사상
1장 <군주론>을 만나다
마키아벨리는 마키아벨리주의자인가?
마키아벨리와의 만남 1
마키아벨리와의 만남 2
2장 마키아벨리와 그의 시대
마키아벨리 당시의 정치적 상황
마키아벨리의 생애와 저술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의 관계
<군주론>의 전반적 개요
3장 <군주론>의 핵심 사상
마키아벨리의 정치 형이상학 : 역사
마키아벨리 정치 철학의 핵심 개념 : 자유/자율
현실주의 정치 사상과 이익 정치의 태동
정치 영역의 독자성과 자율성 : 정치와 윤리
정치에서의 외양과 본질
바르투와 운명
4장 왜 <군주론>을 읽어야 하는가
마키아벨리의 최후
정치와 진리/진실
마키아벨리 사상과 동아시아 정치 사상
2부 본문
1장 헌정사
마키아벨리과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게 올리는 글
2장 마키아벨리의 정치 사상
마키아벨리의 정치 형이상학 : 역사
마키아벨리 정치 철학의 핵심 개념 : 자유/자율
현실주의 정치 사상과 이익 정치의 태동
정치 영역의 독자성과 자율성 : 정치와 윤리
정치에서의 외양과 본질
3장 운명론과 인간관
정치에서 능력(비르투)과 운명
마키아벨리의 인간관
4장 기타 마키아벨리의 주요 사상
마키아벨리의 국가유형 분류
<군주론>에서의 인물 연구
귀족과 인민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평가
법률과 군대의 관계
5장 이탈리아의 해방을 위한 권고
이탈리아 통일을 위한 마지막 권고
3부 관련서 및 연보
관련서
도움 받은 글
마키아벨리 연보
주
책속에서
그러나 운명의 힘이 인간에게 미치는 진정한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이것이 마키아벨리가 <군주론> 제25장에서 제기하는 질문이다. "운명은 인간사에서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운명에 대처해야 하는가." 여기에서 운명에 대한 두 비유가 등장한다. 하나는 운명을 '강'으로 비유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운명을 '여성'으로 비유하는 것이다.
비록 두 비유 모두 인간의 적극적 활동성을 시사하지만, 그것들은 인간의 행위에 대한 모순된 함의를 담고 있다. 먼저 제25장에서 마키아벨리는 많은 사람들이 인간의 능력으로 세상사를 통제할 수 없다고 체념하는 태도에 반발하여 "...인간의 자유의지를 박탈하지 않기 위해 나는 운명이란 우리 활동중 반의 주재자일 뿐이며, 대략 나머지 반은 우리의 통제에 맡긴다는 것이 진실일 수도 있다고 판단한다"(<군주론>, 170~171)고 주장한다.
그러고 나서 마키아벨리는 운명을 위험한 강에 비유한다. "이 강은 노하면 평야를 덮치고, 나무나 집을 파괴하고, 이쪽 땅을 저쪽으로 옮겨 놓기도 한다. 모든 사람들이 그 격류 앞에서는 도망하며, 어떤 방법으로든 제지하지 못하고 굴복하고 만다"(<군주론>, 171).
그러나 만약 계획을 세워 일찍부터 신중하게 대비하면, 예를 들어 "강이 평온할 때 인간이 제방과 둑을 쌓아 예방조치를 취한다면"(<군주론>, 171) 운명의 파괴적인 힘을 통제할 수 있으며 인간사에 있어서 변덕스러운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운명을 '범람하는 강'으로 비유하는 데서 요구되는 인간의 적절한 대비책은 '신중함'이다(Pitkin 1984, 149~151) - 본문 106~10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