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대혁명 - 중국 현대사의 트라우마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52206619
· 쪽수 : 98쪽
· 출판일 : 2007-07-0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88952206619
· 쪽수 : 98쪽
· 출판일 : 2007-07-05
책 소개
20세기 중국의 모든 모순을 집약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문화대혁명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는 책. 문화대혁명의 발생 원인과 그 경과를 정리하고 있는 한 편 문화대혁명에서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문혁16조'를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살림지식총서 시리즈 293번째 책.
목차
오늘날의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에 이르는 길
당내 정풍에서 홍위병 운동까지
문화대혁명의 확대
문화대혁명의 봉합
문화대혁명이 남긴 것
부록: 문혁16조
저자소개
리뷰
qja*****
★★★★☆(8)
([100자평]어느 정도 지식이 있어야 이해하기 쉬운 책.)
자세히
sce***
★★★☆☆(6)
([마이리뷰]모든 반역은 정당하다! - 그 후 ..)
자세히
인식의*
★★★☆☆(6)
([마이리뷰]모든 반역은 정당하다! - 그 후 ..)
자세히
토닥토*
★★★★☆(8)
([100자평]보다 자세하고 구체적인 책을 찾아보고 싶어졌으니 문고의...)
자세히
ㅎ*
★★★★☆(8)
([마이리뷰][마이리뷰] 문화대혁명 - 중국 ..)
자세히
lea**
★★★★☆(8)
([100자평]문화대혁명을 알기에 정말 알차게 구성되있네요ㅋㅋ처음 공...)
자세히
책속에서
이 16조는 대중적으로 공표된 문화대혁명에 대한 최초의 당의 공식 입장이었으며, 문화대혁명의 본 무대가 대중조직에게 넘어가고 있음을 알리고, 이 운동이 당에 대한 대중조직의 공격으로 전화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계기이기도 했다. 그러나 동시에 16조는 여전히 당이 주도하는 운동이라는 범위에 문화대혁명을 한정하고 있었고, 다만 당의 정풍을 위해 대중의 참여를 확대한다는 범위 내에 머물러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운동이 상부구조에 대한 혁명이라는 틀을 넘어서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p40-41 중에서
문화대혁명은 중국사회주의의 역사적 경험의 가장 정점에 있던 사건이었는데, 이 사건을 통해 우리는 사회주의가 과연 무엇이었는지, 자본주의 세계체계 속에서 개별 사회주의 국가들을 건설한다는 것, 그럼으로써 민족적 공산주의라는 형태로 건립된 개별 사회주의 국가들이 어떤 구조적 제약 하에 놓였고, 그것이 어떤 이데올로기적 왜곡과 정치적 왜곡을 낳았는지를 질문하게 된다.-p91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