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52236074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7-03-25
책 소개
목차
책을 열며 7
제1부 생활예술 이해의 필수 아이템
예술의 사회적 가치 16
생활예술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뒷받침 42
생활예술 개념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84
생활예술과 법 106
국내 생활예술 관련 정책과 사업(~2010) 174
해외 생활예술 현황 분석 196
2부 생활예술의 현장
성남문화재단의 사랑방문화클럽네트워크 246
사랑방문화클럽을 사례로 한 생활예술공동체 유형 나누기 274
생활예술공동체에서의 문화매개자 역할 분석 308
제3부 생활예술적 관점으로 책 읽기
『래디컬 스페이스』 352
『몰입 flow』 360
『소속된다는 것』과 『공유의 비극을 넘어』 374
『그들의 새마을 운동』 394
부록 401
참고문헌 417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정치철학자 테일러(Charles Taylor)에 따르면 근대의 사회적 진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로 ‘일상생활의 긍정’이다. ……이제 근대의 예술은 특정 소수의 특정한 기예가 아니다. 그것은 말할 수 없는 자와 말할 수 있는 자의 구별, 올바른 재현과 올바르지 않은 재현 사이의 구별을 위협한다. 근대의 민주주의적 예술을 통해 이제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으며, 자신의 감성적 역량을 가지고 공적 토론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예술동호회는 근대사회의 두 가지 혁명의 결합체라고 볼 수 있다. 첫째는 사회 조직의 혁명, 즉 수평적 결사체의 조직으로 사회 구성이 변화한 것이며, 둘째는 감성 혁명, 즉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공적 토론에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예술동호회는…… 마을, 종교와 같은 일상생활을 근거로 결성되므로 예술과 정치, 예술과 경제, 예술과 사회를 자연스럽게 결합시켰다.
생활예술의 많은 사례는 문화산업이 제공하는 이미지와 상품을 재료로 삼고 있다. 하지만 그 재료를 단순히 소비하는 것과 창작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다르다. 예컨대 아이돌 패션을 맹목적으로 따라하는 것은 생활예술이라고 볼 수 없지만, 아이돌의 노래를 개사하고 뮤직비디오를 모방하여 UCC를 만드는 것은 생활예술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내 부모가 영화관 가는 일이 얼마나 되는지를 되돌아보게 되었고, 잔업을 끝내고 퇴근하는 노동자가 공연장에 도착하면 이미 문은 닫힌 후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공교육만으로는 예술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절대 가능하지 않고, 지역문화에 대한 연구와 보존 없이, 시민들의 참여 없이 치러지는 축제가 얼마나 공허한지 알게 되었다. ‘시민 없는 문화’가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