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5464581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7-06-12
책 소개
목차
1. 근대 세계의 성서: 고전인가 신성한 텍스트인가
2. 성서는 어떻게 쓰였는가
3. 성서의 형성
4. 신자들 세계의 성서
5. 성서와 비평가들
6. 탈식민 세계의 성서
7.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속의 성서
8. 정치 속의 성서
9. 결론
참고문헌과 독서안내/ 역자 후기/ 도판 목록
책속에서
성서를 이루는 책들은 단일 저자가 몇 년 만에 쓴 작품이 아니다. 오히려 수백 년간 이어져왔을지 모르는 공동구전을 반영하는 편찬물이다. 단일 저자가 쓴 책들의 비중이 훨씬 높은 신약의 경우에도 4복음서는 초창기 그리스도인들의 구전을 보존하는 중요한 공동 생산물이다.
특정한 공동체의 경전들을 모으고 확정하는 과정을 흔히 경전의 정경화(正經化, canonization)라고 한다. 그리스어 낱말 카논(kanon)은 막대기 또는 갈대를 뜻하고, 넓게는 규칙 또는 척도를 뜻한다. 신성한 글들로 이루어진 정경을 만드는 일은 어떻게 보면 공동체의 규범이 될 모음집을 만드는 일이다. 유
념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실은 유대교 경전이나 그리스도교 경전이나 초기부터 여러 언어로 된 역본들을 낳았다는 것이다. 경전을 모으는 과정과 번역하는 과정은 긴밀히 연관되었다. 그렇지만 여기서는 현실적인 이유로 히브리 성서의 형성과 그리스어 역본의 형성을 따로 살펴보는 편이 편리할 것이다.
성서 텍스트의 정경 지위는 다양하고 풍성한 독법을 낳은 원인일 뿐 아니라 서사와 담론 자체가 재형성되어온 이유이기도 하다. 예컨대 앞에서 우리는 중세에 아케다 이야기를 개작하면서 놀랍게도 이사악이 실제로 죽었다고 주장한 R. 에프라임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흔히 성서 해석은 강조와 선택적 읽기의 문제다. 성서 텍스트 중에서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공동체와 공명하는 요소들은 곧 해당 공동체가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거나 경시하면서 강조하는 요소들이다. 그 결과는 이사악 이야기를 직접 개작하는 경우만큼이나 극적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해석 과정을 추동하는 것은 동일한 신념, 즉 성서 텍스트가 공동체의 경험에 규범이 되고 따라서 어떻게든 공동체의 경험을 반영하거나 대변해야 한다는 신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