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4799812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근대 경제학의 어머니 애덤 스미스
철학, 이 뭣고?
근대 경제학의 어머니
애덤 스미스의 철학적 세계관의 기초: 경험론의 연합의 원리와 공감의 원칙
시장자유주의와 복지주의의 인간관, 그리고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인간관
2장 『국부론』 읽기
철학의 출발점: 나에 대한 의심과 나에 대한 의식의 확립
서로 잘살기 위해 일을 나누어서 하기
자본이 자신의 몸뚱이를 불려 나가는 방법
사물의 자연스러운 진행 과정을 어긴 유럽
상업을 중시할 것인가, 농업을 중시할 것인가?
나라가 있어야 내가 있다
글을 마치며
3장 철학의 이정표
애덤 스미스, 『도덕감정론』
데이비드 흄, 『오성에 관하여』
장 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존 로크, 『통치론』
데이비드 리카도, 『정치경제학과 과세의 원리에 대하여』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
생애 연보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유머라는 정신적 태도,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는 곧 자신의 철학적 세계관을 정립하는 일이다. 철학적 세계관의 정립은 자신이 당연한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에 대한 모든 의심에서 출발한다.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을 통해 어떤 유머를 가지게 되었을까? 그는 무엇을 의심하면서 자신의 주체성을 정립시켜갔을까? 그리하여 나의 유머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는 것, 이것이 바로 고전을 읽는 구체적인 의미이지 않을까? 그 의미를 찾는 여행을 이제 시작해보자.
_서문 중에서
원자화되고 이기적인 인간관과 사회계약(론)에 따른 절대적인 국가와 자본의 등장은 근대의 철학적 세계관의 동전의 양면이다. 근대 철학은 경험론적 세계관과 합리론적 세계관으로 나뉜다. 경험론적 세계관은 이기적인 인간관과 연결되며, 합리론적 세계관은 절대적인 국가와 자본의 등장과 연결된다. 그런데 애덤 스미스는 흄과 마찬가지로 근대적 세계관에 기반해 있지만, 경험론적 세계관과 합리론적 세계관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자 했다. 그러한 결과로 나타난 그의 인간관이 공감의 인간관이다. 그리고 이 인간관에 기반해 『국부론』에서 ‘자유방임주의’(‘보이지 않는 손’, ‘야경국가’), ‘분업화’ 그리고 노동가치설과 임금·이윤·지대의 관계를 논의했다.
_ 1장 「근대 경제학의 어머니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흄과 마찬가지로 애덤 스미스에게 인간은 자연이라는 현실에서 살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마음과 상상력이 빚어낸 현실에서 살아가는 존재였다. 흄과 스미스가 열정(passion)과 감정(sentiment)이라고 부른 정서는 두 사람에게 이성보다 더 그럴듯한 행위의 원천이었고, 좀 더 확실한 경험의 대상이었다. 이것을 토대로 스미스는 1759년 자신의 윤리학 관련 글들을 집대성한 첫 저서 『도덕감정론』을 출간했다.
_ 1장 「근대 경제학의 어머니 애덤 스미스」